소식·공지

울란바토르에서 한반도와 동북아의 평화를 이야기하다

[스토리]
작성자/Author
관리자
작성일/Date
2023-06-28 11:29
조회/Views
5041
울란바토르에서 한반도와 동북아의 평화를 이야기하다

지난 6월 12일부터 19일까지 몽골 울란바토르를 다녀왔습니다. 처음 가보는 몽골. 최근 유명 TV 프로그램에서 소개돼서인지 한국인 관광객이 적잖이 눈에 띄었습니다. 그들 틈에 끼어 넓은 초원을 달리고, ‘쏟아지는 별빛’도 구경하고 싶었지만...이번에는 패스.

6월 13일과 14일에는 UN 정치평화구축국에서 주최하는 ‘여성 평화안보(Women Peace & Secutiry, WPS)’ 회의가 있었습니다. 몽골 외무부가 공동 주최한 이 회의는 평화‧안보 분야에서 여성의 참여를 제고하고, 젠더 관련 이슈의 진전 상황을 공유하는 자리였습니다. 모르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2000년 UN 안전보장이사회는 ‘결의안 1325’를 채택했습니다. 이 결의안은 분쟁 상황에서 여성에 대한 폭력 근절, 분쟁예방 및 해결 과정에서의 여성 참여 확대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후 9개의 후속 결의안이 채택됐는데, 여성에 대한 폭력 근절은 여전히 주요 사안이지만 시간이 지나며 점차 여성을 단순한 보호 대상으로 바라보기보다, 평화를 만들어가는 주요 주체로서 여성의 역할에 주목하게 되었습니다.

이 회의에는 한국을 비롯해 몽골, 일본, 미국, 호주, 그리고 UN 사무국 직원 30여명이 참여했습니다. 평화와 안보라는, 비슷해 보이면서도 너무도 다른 두 영역이 함께 다뤄졌기 때문인지 회의에는 인도지원‧평화‧인권단체 활동가들, 공무원, 군인, 연구자, UN 직원 등 다양한 직군의 전문가들이 함께 했습니다. 관심 주제도 접근법도 저마다 조금씩 달랐지만, 참여자 모두가 동의했던 몇 가지 지점이 있었습니다. 첫째, 평화‧안보 분야에서 여성의 참여는 여전히 저조하다. 둘째, 평화 구축 과정에 더 많은 여성을 비롯, 다양한 관점과 시각이 포함돼야 한다. 셋째, 무언가 변화시키고자 한다면 우리 자신이 변화를 요구해야 한다.

‘그래! 변화를 원한다면 내가 목소리를 내자!’ 다짐하며, 17일부터 19일까지 사흘간 ‘울란바토르 프로세스(Ulaanbataar Process, UBP)’에 참여했습니다. 울란바토르 프로세스는 한반도와 동북아 평화를 위해 일하는 시민사회 인사들이 함께 의견을 나누고 공동의 평화 전략을 논의하는 자리입니다. 무장갈등 예방을 위한 글로벌 파트너십(GPPAC) 동북아위원회가 주관하는 이 회의에는 남측, 북측,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그리고 몽골 등의 시민사회 인사들이 참여합니다. (그리고 UBP의 패럴랠 회의로 1.5트랙인 울란바토르 다이알로그, UBD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2023년 UBD는 UBP 직전인 6월 15일, 16일 양일간 진행됐습니다)

코로나 이후 두 번째 대면 회의로 치러진 이번 회의에 아쉽게도 북측은 참석하지 못했습니다. 북의 방역 규정이 아직은 엄격하기 때문입니다. 그래도 북측 대표단은 작년에 이어 회의 주최측에 서신을 전달, 한반도와 동북아의 평화를 위해 함께 연대하겠다는 뜻을 전해왔습니다. 사흘간 이어진 회의는 울란바토르 다이알로그 주요 내용 브리핑, 미국의 동북아 외교 전략에 대한 세션, 몽골의 비핵무기국가 지위에 대한 세션, 하노이회담 시뮬레이션, 동북아 평화 정착을 위한 시민사회의 공동 전략 모색 및 계획 수립 세션 등으로 구성됐습니다.

개인적으로 가장 흥미로웠던 프로그램은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시뮬레이션이었습니다. 참가자들은 북측과 미측으로 나뉘어 각자의 역할을 부여받고, 많은 양의 배경 자료를 받았습니다. 이와 함께 시뮬레이션 진행자는 한 가지 중요한 지침을 내립니다. ‘양측은 합의를 이루기 위해 최선을 다하라!’ 물론, 합의에 이르든 회담장을 박차고 나가든, 그것은 당사자들의 결정이었습니다. 참가자가 많았던 지라, 북미 각각 두 개의 팀을 만들어 그룹 A와 B가 회담에 임했습니다. 결과는 어땠을까요? 그룹 B는 합의에 이르러 ‘역사적인’ 공동기자회견을 열었습니다. 그러나 그룹 A는 현격한 견해차로 과거 2019년 그랬듯, 합의에 이르지 못했습니다.

진행자는 그룹 B에게 합의에 이른 결정적인 요인을 물었습니다. 그룹 B의 참가자들은 ‘양측 모두 합의를 이루고자 하는 의지가 컸다’는 점을 꼽았습니다. ‘이것은 비단 ‘허구적 환경’에서만 가능한 일일까? 한반도와 동북아에서의 긴장 고조와 교착 국면의 장기화는 어려운 현실 너머를 상상하지 못하는, 그래서 평화를 향한 의지마저 꺾여버렸기 때문이 아닐까?‘ 조금은 씁쓸하지만, 그래도 작은 희망을 발견하며 인천행 비행기에 올랐습니다.

* 이예정 사업국장

전체 1,419
번호/No 제목/Title 작성자/Author 작성일/Date 조회/Views
공지사항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6] “차이를 존중하며 지속되는 대화 자체가 중요"
관리자 | 2025.07.14 | 조회 1100
관리자 2025.07.14 1100
공지사항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7) 2025 DMZ 생명평화 순례 – 해원상생(解冤相生)의 길
관리자 | 2025.07.13 | 조회 1421
관리자 2025.07.13 1421
공지사항
[알림]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주한 외국 대사관-시민사회 간담회 개최
관리자 | 2025.07.10 | 조회 1956
관리자 2025.07.10 1956
공지사항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5] “청년의 자리에서, 평화를 말하다”
관리자 | 2025.07.07 | 조회 2762
관리자 2025.07.07 2762
공지사항
[스토리]‘새로운 남북관계, 적대 해소를 위한 노력에서부터’ -82차 정책포럼을 마치고
관리자 | 2025.06.27 | 조회 3455
관리자 2025.06.27 3455
공지사항
[알림]우리민족, ‘민간 남북협력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보고서 발간
관리자 | 2025.05.27 | 조회 5376
관리자 2025.05.27 5376
1413
[알림]창립 30주년 앞두고 우리민족 미래 설계 위한 워크숍 개최
관리자 | 2025.07.14 | 조회 412
관리자 2025.07.14 412
1412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4] '전쟁'이 사라진다면 '평화'가 올까
관리자 | 2025.06.30 | 조회 3823
관리자 2025.06.30 3823
1411
[알림][제82차 정책포럼 자료집] 새로운 남북관계 - 정부와 시민사회, 무엇을 해야 하나?
관리자 | 2025.06.26 | 조회 1860
관리자 2025.06.26 1860
1410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6) 평화, 가까운 미래에도 충분히 실현 가능하다
관리자 | 2025.06.23 | 조회 4282
관리자 2025.06.23 4282
1409
[알림] [제82차 평화나눔 정책포럼] 새로운 남북관계 - 정부와 시민사회, 무엇을 해야 하나?
관리자 | 2025.06.13 | 조회 4050
관리자 2025.06.13 4050
1408
[캠페인]‘적대를 멈추고 평화로!’ - DMZ 생명평화걷기, 그리고 평화대회
관리자 | 2025.06.10 | 조회 4070
관리자 2025.06.10 4070
1407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3] 다양한 모습으로 존재하는 ‘분단’
관리자 | 2025.06.09 | 조회 3466
관리자 2025.06.09 3466
1406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2] ‘우리는 적대와 혐오, 편견을 넘을 수 있을까?’
관리자 | 2025.05.31 | 조회 3809
관리자 2025.05.31 3809
1405
[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5) 남북관계는 끝난 걸까?
관리자 | 2025.05.31 | 조회 3986
관리자 2025.05.31 3986
1404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1] ‘통일은 먼 이야기지만, 평화는 그렇지 않습니다'
관리자 | 2025.05.25 | 조회 3676
관리자 2025.05.25 3676
1403
[연대]북민협∙민화협∙시민평화포럼과 더불어민주당 선대위가 서명한 정책협약서(전문)
관리자 | 2025.05.22 | 조회 2165
관리자 2025.05.22 2165
1402
[연대]북민협∙민화협∙시민평화포럼, 더불어민주당 선대위와 정책협약 체결
관리자 | 2025.05.22 | 조회 1893
관리자 2025.05.22 1893
1401
[연대]차기 정부에 전달하는 남북관계와 평화통일분야 정책제안 토론회
관리자 | 2025.05.22 | 조회 2101
관리자 2025.05.22 2101
1400
[연대]<초대합니다> 남북관계 및 평화통일분야 정책토론회 - 차기 정부에 바란다!
관리자 | 2025.05.16 | 조회 3977
관리자 2025.05.16 3977
1399
[연대]6.6 모이자 임진각으로! - DMZ순례단과 함께하는 한반도 평화대회
관리자 | 2025.05.15 | 조회 5569
관리자 2025.05.15 5569
1398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4) <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를 준비하는 마음가짐
관리자 | 2025.05.12 | 조회 5059
관리자 2025.05.12 5059
1397
[함께읽기]'아이들은 어떻게 평화를 배우지?' - 계수초 선생님의 평화축구 수업후기
관리자 | 2025.04.28 | 조회 7183
관리자 2025.04.28 7183
1396
[함께읽기]'아일랜드 청년이 바라본 한반도와 그 너머의 평화'
관리자 | 2025.04.22 | 조회 7574
관리자 2025.04.22 7574
1395
[알림]'평화, 미래를 만나다' - 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참가자를 모집합니다!
관리자 | 2025.04.22 | 조회 9162
관리자 2025.04.22 9162
1394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3) 예측 불가능이 희망의 근거
관리자 | 2025.04.21 | 조회 7456
관리자 2025.04.21 74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