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공지

9월 대학생 피스메이커 평화축구 활동을 진행했습니다!

[스토리]
작성자/Author
관리자
작성일/Date
2020-10-27 16:54
조회/Views
4374

소식을 전달하기 조금 늦었지만 9월에도 대학생 피스메이커 프로그램 활동이 이어졌습니다. 지난 5월부터 11월 까지 ‘평화축구 진행자 되기’ 대학생 프로그램에서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 함께 워크숍을 열어 대학생 참여자들이 다양한 관점으로 평화교육을 고민할 수 있었습니다.


9월은 (사)한국회복적정의협회 사무국장 겸 평화축구 코리아 운영위원 현승민 선생님이 우리 사회에 지배적인 인과응보 개념과 회복적 정의의 기본 가치 그리고 두 개념의 차이를 비교하며 이야기하였습니다. 시나리오를 통해 사건을 어떻게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무엇이 다르고 필요한지 살펴보고, 처벌보다 피해회복에 우선을 두고 해결방법을 찾는 과정을 논의했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 사법정의 가치관을 다시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이 가치관이 평화축구에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생각하고 우리 평화교육 프로그램이 사회 구성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도 성찰할 수 있었지요.


평화축구를 진행할 때는 통제된 환경에서 갈등을 경험할 수 있는 계기가 많습니다. (일부러 평화축구에 갈등 상황을 만들기도 합니다.) 갈등이 일어나고 해결하기 위한 페러다임과 과정을 강조하는 회복적 정의는 평화축구 프로그램이 추구하는 목적과 부합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평화축구와 회복적 정의의 프로그램의 많은 부분이 연결되어 있음을 현승민 국장님의 교육을 통해 배울 수 있었습니다.


이 어서 9월 넷째주 토요일에 용산 아이파크 실내 풋살장에서 대학생 진행자들이 모여 실습 활동을 진행했습니다. 이번에는 그 동안의 세션과 달리 대학생 피스메이커 참여자들이 직접 평화축구 게임을 운영해봤습니다.  


만약 참여자들이 긴장을 하고 어려워했다면 힘들었을 실습도 용기있게 운영했습니다. 평화축구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게 쉬운 일은 아닙니다. 장비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시범과 설명을 통해 진행 방식을 정확하면서 간결하게 참여자에게 전달해야 합니다.  활동을 시작한 후 여러 게임 변경을 통해 평화축구의 핵심 가치를 느낄 수 있게 조정해야 하고, 진행하는 내내 참가자들을 관찰하면서 풍부한 논의의 장이 되도록 촉진하는 역할 역시도 해야 합니다. 이렇게 복합적인 과정을 거쳐 대학생 피스메이커 8명은 멋지게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이번 진행에 참여하지 못한 참여자들은 다음 기회를 통해 역량을 펼치길 기대합니다.


이제 대학생 피스메이커 프로그램의 마지막 실내 교육이 11월 첫째 주에 남았고 이 후 어린이와 함께 평화축구를 운영한다면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마칠 수 있습니다.  코로나-19에도 저희는 진행자 되기 여정을 5월부터 다양한 대학생과 함께 걸어 올  수 있다는 자체만으로도 매우 뿌듯합니다 ^-^


앞으로 대학생 피스메이커들이 초등학생과 함께 평화축구 교실을 운영하는 과정을 많이 응원해주시기 바랍니다.


전체 1,414
번호/No 제목/Title 작성자/Author 작성일/Date 조회/Views
공지사항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4] '전쟁'이 사라진다면 '평화'가 올까
관리자 | 2025.06.30 | 조회 2083
관리자 2025.06.30 2083
공지사항
[스토리]‘새로운 남북관계, 적대 해소를 위한 노력에서부터’ -82차 정책포럼을 마치고
관리자 | 2025.06.27 | 조회 2004
관리자 2025.06.27 2004
공지사항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6) 평화, 가까운 미래에도 충분히 실현 가능하다
관리자 | 2025.06.23 | 조회 2755
관리자 2025.06.23 2755
공지사항
[알림] [제82차 평화나눔 정책포럼] 새로운 남북관계 - 정부와 시민사회, 무엇을 해야 하나?
관리자 | 2025.06.13 | 조회 3462
관리자 2025.06.13 3462
공지사항
[캠페인]‘적대를 멈추고 평화로!’ - DMZ 생명평화걷기, 그리고 평화대회
관리자 | 2025.06.10 | 조회 3481
관리자 2025.06.10 3481
공지사항
[알림]우리민족, ‘민간 남북협력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보고서 발간
관리자 | 2025.05.27 | 조회 4016
관리자 2025.05.27 4016
1388
[알림]<참여신청> 제81회 정책포럼 - '유령의 시간' 김이정 작가와 함께하는 북콘서트
관리자 | 2025.03.04 | 조회 9449
관리자 2025.03.04 9449
1387
[함께읽기]우크라이나에 살고 있는 무국적 고려인들의 안타까운 현실을 전합니다.
관리자 | 2025.03.03 | 조회 4046
관리자 2025.03.03 4046
1386
[스토리]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20기 첫 공동대표 회의가 열렸습니다
관리자 | 2025.02.28 | 조회 4595
관리자 2025.02.28 4595
1385
[캠페인]한반도 평화행동,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서한 발송
관리자 | 2025.02.21 | 조회 10388
관리자 2025.02.21 10388
1384
[스토리]학생들이 기부한 헌 교과서, 한민족어린이를 위한 사업기금이 되었습니다
관리자 | 2025.02.20 | 조회 9655
관리자 2025.02.20 9655
1383
[연대]트럼프 대통령에게 보낸 미국 평화 단체 연합의 서한
관리자 | 2025.02.05 | 조회 9299
관리자 2025.02.05 9299
1382
[스토리]알리나 멘샤코바의 김치 담그기 체험, 그 특별한 순간
관리자 | 2025.01.22 | 조회 5157
관리자 2025.01.22 5157
1381
[함께읽기]2025년, 북은 어떤 신년 메시지를 내놓았을까요? - 신년 토론회 후기
관리자 | 2025.01.06 | 조회 11907
관리자 2025.01.06 11907
1380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1) 공멸의 경쟁으로부터 전환하기 - 공동안보
관리자 | 2025.01.03 | 조회 11887
관리자 2025.01.03 11887
1379
[스토리]전쟁의 비극, 고려인 가족의 부서진 집과 끝나지 않는 피난 생활
관리자 | 2024.12.24 | 조회 6467
관리자 2024.12.24 6467
1378
[연대]동북아의 여성 평화활동가들, 더 나은 미래를 꿈꾸다!
관리자 | 2024.12.19 | 조회 4221
관리자 2024.12.19 4221
1377
[알림]위난에 처한 재외동포 지원방안 모색 토론회 후기
관리자 | 2024.12.19 | 조회 5705
관리자 2024.12.19 5705
1376
[알림]위난에 처한 재외동포 지원방안 모색 토론회를 개최합니다.
관리자 | 2024.12.16 | 조회 7873
관리자 2024.12.16 7873
1375
[알림]2025년 북 신년 메시지 분석과 정세 전망 토론회
관리자 | 2024.12.11 | 조회 10742
관리자 2024.12.11 10742
1374
[알림]2024년 기부금영수증 발급 안내
관리자 | 2024.12.10 | 조회 12564
관리자 2024.12.10 12564
1373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0) 비상계엄과 민주주의, 그리고 평화
관리자 | 2024.12.09 | 조회 9401
관리자 2024.12.09 9401
1372
[알림]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성명서 - 한반도 평화는 굳건한 민주주의에서 시작된다
관리자 | 2024.12.04 | 조회 9482
관리자 2024.12.04 9482
1371
[스토리]홍옥사나의 한국어 이야기_우연이라는 문
관리자 | 2024.11.25 | 조회 5821
관리자 2024.11.25 5821
1370
[스토리]평양개성탐구학교 답사 기행... 교동 무학리 은행나무 이야기
관리자 | 2024.11.25 | 조회 5607
관리자 2024.11.25 5607
1369
[알림]경기도무용단 <세종> 공연에 우리민족 회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관리자 | 2024.11.19 | 조회 9424
관리자 2024.11.19 9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