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공지

대학생 여러분 다 함께합시다! 평화를 알아가는 코치 참여 후기

[스토리]
작성자/Author
관리자
작성일/Date
2020-12-29 11:59
조회/Views
4695

5월에 시작한 [스포츠를 통한 평화교육 피스메이커 3기]를 11월 말에 마쳤습니다.  당초 계획은 교육 후 바로 어린이 평화축구교실에 진행자로 활동 할  계획이었으나, 코로나 때문에 진행할 수 없었습니다. 대신 평화교육 프로그램을 장기간 운영하면서 뜻밖의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는데요.  11월엔 드디어 평화축구를 어린이들과 함께 할 수도 있었습니다! 


다양한 평화교육 워크숍과 실습을 경험했던 코치 4명의 생생한 후기를 들어볼까요?


(아래 나오는 사진들은 대학생 코치님의  # MY THREE PICKED PICS! 입니다)

#처음 만난 날 #반가워

#즐거운 게임 배우기  #날 잡을수 있으면 잡아봐.

평화축구 대학생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가장 기억에 남았던 것 혹은 인상 깊었던 순간이 있다면?

남혜원 : 고척스카이돔 풋살장에서 한 첫 번째 활동이 가장 기억에 오래 남는 것 같습니다. F4P의 첫 시작이기도 하고, 앞으로 함께 활동할 사람들을 만나는 시간이었기 때문입니다. 또한 평화축구의 가치를 몸소 경험하며 익힐 수 있었던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유아름 : 용산에서 진행한 실외교육은 정말 웃음이 끊기지 않았던 활동이었습니다. 함께 아이들에게 진행될 프로그램을 직접 하면서 서로 많이 웃고, 동심으로 돌아간 기분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첫 활동이었던 평화 축구 개론(워크숍) 때도 평화 가치, 평화교육에 대해 생각을 많이 해보면서 다양한 시각으로 볼 수 있었던 활동이었습니다.

김태엽 : 처음 실외수업 했을 때가 기억에 남습니다. 이론을 들었을 때도 평화축구가 아이들 사회성과 체력에 상당히 좋은 교육 컨텐츠라는 것을 느꼈는데 풋살장에서 ‘아 이렇게도 평화의 가치를 전달할 수 있구나’하고 신선한 충격을 받았습니다.

실내수업은 최근 수업인 심은보 선생님 강의가 기억에 남습니다. 아이들의 변화과정을 눈으로 직접 볼 수 있어서 더 깊이 와 닿았습니다.

김선진 : 많은 순간들이 기억에 남습니다. 개인적으로 체육활동을 통해 나와 다른 생각을 가진 이들과 소통하고, 친해지는 매개체가 되길 바랬습니다. 따라서 첫 교육에 평화 축구의 활동 내용을 처음 세부적으로 들었을 때 내가 바라는 활동이 이미 이뤄지고 있다는 것이 굉장히 인상적이었습니다.

# 더워서 앉았는데  #급 단체샷

#평화레고 #디렉터 #건설자 #관찰자 

평화축구는 몸으로 배우는 평화교육인데요, 활동하면서 인상 깊거나 기억나는 내용은 무엇인가요?

유아름 : 참가자들이 합의하는 모습을 많이 볼 수 있어서 인상이 깊었습니다.

특히 심판 없는 게임으로 진행되는데, 처음에는 참가자 친구들이 합의보단 일방적인 ‘양보’를 한 모습이었는데, 활동이 진행되면서 5가지 가치들을 바탕으로 서로 대화를 통해 합의하며 해결하는 모습을 보면서 활동의 취지가 잘 전달되어 좋았습니다.


김선진 : 축구 게임을 진행하는 과정이 가장 인상적이었습니다. 축구라는 스포츠가 우리에게는 굉장히 친숙한 게임이며 승부욕을 불러오는 게임이라는 것을 알고있기에, 평화 가치를 배우며 진행하는 축구는 기존의 틀과 굉장히 달랐습니다. 이런 체험은 학생들에게 새로운 가르침을 주는 역할을 했습니다. 다름에서 오는 어색함과 차이를 극복하며 새롭게 평화가치 배우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인상적이었습니다.


김태엽 : 각 활동단계가 끝날 때마다 피드백 준 것이 가장 인상 깊었습니다. 단계별 과제를 수행하면서 느낀 점들을 아이들 스스로 생각할 수 있게 하고, 대답이 나올 수 있도록 질문을 구성하는 것도 좋았습니다.


남혜원 : 전반적인 활동에 있어서 어린 친구들이 서로 양보하고, 갈등을 스스로 해결하는 모습들이 인상 깊었어요. 평화축구의 코치진의 입장으로서 평화축구의 가치를 친구들에게 알려주는 역할이었지만, 그 과정 속에서 저 또한 5가지 가치에 대해서 다시 한 번 더 깊게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앞으로 나가자 #평화축구 #공 앞에선 모두 즐겁다.

# 완벽했던 만남♡

11월에 어린이와 활동하면서 어려운 점은요?

김선진 : 어린이들과 함께하는 활동은 많은 부분을 대비해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생각하지 못했던 변수들이 존재했고, 이로 아이들이 실망하게 될까 불안했습니다. 활동을 진행하며 한가지 어려운 점이 있다면 아직 아이들의 열정을 감당할 자신이 부족한 것 같습니다


유아름 : 11월 어린이 평화축구교실에서 대학생 코치로 2번 활동했습니다. 코치로 활동하면서 전날 게임에 대한 시뮬레이션도 혼자 해보고 혹여나 실수할까 준비하면서 걱정했는데, 참가자 친구들이 너무 잘 따라 와주고 추운 날씨에 너무 밝게 열심히 뛰어줘서 저도 흥이 올라 엄청난 텐션으로 아이들과 파이팅을 외칠 수 있었습니다.


활동하면서 내가 이런 교육과 활동을 조금 일찍 알았다면 하는 아쉬움이 있었지만, 지금이라도 알게 되어서 너무 좋았습니다. 모두 밝고 열정이 가득한 분위기로 활동하는 내내 에너지를 얻을 수 있어서 즐거웠습니다.


조금 아쉬웠던 점은 대학생 코치로 활동할 수 있던 기회가 코로나로 취소되어 직접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었던 기회가 많이 없어 아쉬웠습니다. 그래도 어려운 상황에서도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 영광적인 순간~!

#도봉구평화축구교실 #첫 코치 활동 #아이들과 만남

평화축구 관련 전반적인 소감을 나눠 주세요~

남혜원 : 평화축구의 5가지의 가치들을 몸소 겪으며 배우고, 이를 아이들에게 알려주는 활동 그 자체만으로 굉장히 유익했고, 의미 있던 시간이었습니다. 처음에는 아이들에게 어떠한 가치를 정확하게 알려주어야 할지 걱정이 많았는데, 어린 친구들이 평화축구를 배우는 모습을 직접 보면서 알려주고, 가치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시간이 충분했기 때문에 오히려 제가 더 많이 배웠습니다^^!


김선진 : 서로 다른 환경에 있던 사람들이지만 스포츠를 통한 평화 가치를 배우는 과정에서 많은 성장을 이루게 되었습니다. 다양한 평화교육을 통해 새로운 시각으로 타인을 바라보게 되었고, 그런 학교 교육으로는 깨닫지 못했던 부분을 배우게 되었습니다.


김태엽 : 전반적으로 어떤 곳에서도 적용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일반적인 학교든, 사설체육이든, 해외봉사활동이든 모든 체육활동에 적용하여 아이들이 스스로 생각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만들어 줌으로써 미래에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렇게 하면서 좀 더 나은 미래사회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유아름 : 평화에 대한 강의를 들으면서 많은 생각을 했습니다. 과거의 나를 반성하기도 했고, 앞으로는 이렇게 하면 모두가 행복할 거야 하는 생각도 하면서 저 나름대로 성장할 수 있었던 기회였습니다. 그리고 이곳은 ‘어떤 이야기도 좋은 생각이야.’ 라고 이야기해 주셔서 열정이 막 샘솟아 열심히 준비할 수 있었습니다. 코로나로 답답했던 시기에 가장 많이 웃고 긍정적으로 보냈던 한 해였습니다.


#마무리 #다들 수고했다!

긴 일정 동안 참여해주신 대학생 진행자분들께 감사한 마음을 담아 앞으로도 평화축구코리아와 함께 다양한 활동을 함께 할 수 있길 기대합니다!

#대외 활동  #평화축구진행자 되기 #보람을 느끼는 활동 #평화에 대한 생각
전체 1,414
번호/No 제목/Title 작성자/Author 작성일/Date 조회/Views
공지사항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4] '전쟁'이 사라진다면 '평화'가 올까
관리자 | 2025.06.30 | 조회 530
관리자 2025.06.30 530
공지사항
[스토리]‘새로운 남북관계, 적대 해소를 위한 노력에서부터’ -82차 정책포럼을 마치고
관리자 | 2025.06.27 | 조회 1137
관리자 2025.06.27 1137
공지사항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6) 평화, 가까운 미래에도 충분히 실현 가능하다
관리자 | 2025.06.23 | 조회 2096
관리자 2025.06.23 2096
공지사항
[알림] [제82차 평화나눔 정책포럼] 새로운 남북관계 - 정부와 시민사회, 무엇을 해야 하나?
관리자 | 2025.06.13 | 조회 3035
관리자 2025.06.13 3035
공지사항
[캠페인]‘적대를 멈추고 평화로!’ - DMZ 생명평화걷기, 그리고 평화대회
관리자 | 2025.06.10 | 조회 3109
관리자 2025.06.10 3109
공지사항
[알림]우리민족, ‘민간 남북협력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보고서 발간
관리자 | 2025.05.27 | 조회 3570
관리자 2025.05.27 3570
1408
[알림][제82차 정책포럼 자료집] 새로운 남북관계 - 정부와 시민사회, 무엇을 해야 하나?
관리자 | 2025.06.26 | 조회 738
관리자 2025.06.26 738
1407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3] 다양한 모습으로 존재하는 ‘분단’
관리자 | 2025.06.09 | 조회 2893
관리자 2025.06.09 2893
1406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2] ‘우리는 적대와 혐오, 편견을 넘을 수 있을까?’
관리자 | 2025.05.31 | 조회 3036
관리자 2025.05.31 3036
1405
[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5) 남북관계는 끝난 걸까?
관리자 | 2025.05.31 | 조회 3067
관리자 2025.05.31 3067
1404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1] ‘통일은 먼 이야기지만, 평화는 그렇지 않습니다'
관리자 | 2025.05.25 | 조회 2719
관리자 2025.05.25 2719
1403
[연대]북민협∙민화협∙시민평화포럼과 더불어민주당 선대위가 서명한 정책협약서(전문)
관리자 | 2025.05.22 | 조회 1521
관리자 2025.05.22 1521
1402
[연대]북민협∙민화협∙시민평화포럼, 더불어민주당 선대위와 정책협약 체결
관리자 | 2025.05.22 | 조회 1332
관리자 2025.05.22 1332
1401
[연대]차기 정부에 전달하는 남북관계와 평화통일분야 정책제안 토론회
관리자 | 2025.05.22 | 조회 1551
관리자 2025.05.22 1551
1400
[연대]<초대합니다> 남북관계 및 평화통일분야 정책토론회 - 차기 정부에 바란다!
관리자 | 2025.05.16 | 조회 3392
관리자 2025.05.16 3392
1399
[연대]6.6 모이자 임진각으로! - DMZ순례단과 함께하는 한반도 평화대회
관리자 | 2025.05.15 | 조회 4957
관리자 2025.05.15 4957
1398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4) <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를 준비하는 마음가짐
관리자 | 2025.05.12 | 조회 4378
관리자 2025.05.12 4378
1397
[함께읽기]'아이들은 어떻게 평화를 배우지?' - 계수초 선생님의 평화축구 수업후기
관리자 | 2025.04.28 | 조회 6398
관리자 2025.04.28 6398
1396
[함께읽기]'아일랜드 청년이 바라본 한반도와 그 너머의 평화'
관리자 | 2025.04.22 | 조회 6772
관리자 2025.04.22 6772
1395
[알림]'평화, 미래를 만나다' - 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참가자를 모집합니다!
관리자 | 2025.04.22 | 조회 8439
관리자 2025.04.22 8439
1394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3) 예측 불가능이 희망의 근거
관리자 | 2025.04.21 | 조회 6775
관리자 2025.04.21 6775
1393
[알림]2024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 실적 명세서
관리자 | 2025.04.14 | 조회 3668
관리자 2025.04.14 3668
1392
[알림]2024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사업보고서 발간
관리자 | 2025.04.07 | 조회 6475
관리자 2025.04.07 6475
1391
[알림]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성명서 - 윤석열 파면은 주권자 시민의 승리
관리자 | 2025.04.04 | 조회 7093
관리자 2025.04.04 7093
1390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2) 해방 80년의 남북관계, 어떻게 풀어나갈 것인가?
관리자 | 2025.03.26 | 조회 9253
관리자 2025.03.26 9253
1389
“아버지의 이야기이자 딸 지형의 성장기” - '유령의 시간' 작가와 함께 한 북 콘서트
관리자 | 2025.03.20 | 조회 3799
관리자 2025.03.20 37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