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공지

(2019 북 필요와 우선순위 이모저모 1) 북 2018년 식량 생산 10년래 최저, 식량불안 증가 우려

[스토리]
작성자/Author
관리자
작성일/Date
2019-04-10 11:15
조회/Views
4236


[2019 북 필요와 우선순위 내용1]


2018년 식량 생산 10년래 최저, 식량불안 증가 우려


[편집자 ]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은 평양에 상주하는 유엔 기구들과 국제 NGO로 구성된 유엔 북한팀이 작성, 지난 36일 공개한 2019 DPRK NEEDS AND PRIORITIES보고서를 번역해 홈페이지 자료실에 게재했다. DPRK NEEDS AND PRIORITIES(북 필요와 우선순위)보고서는 지난 2011년 유엔 북한팀이 국제사회에 모금을 호소하기 위해 만든 자료로, 2013년부터 매년 초에 공개되고 있다. 이 보고서는 최근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이 10여 년 전에 비해 크게 위축된 상황에서 북한의 전반적인 인도적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유용한 자료가 되고 있다.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은 이 보고서의 주요 내용을 몇 차례에 걸쳐 요약, 연재한다.




지난 2018년 북한의 식량 총생산량은 495만톤에 그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7년의 545만톤에 비해 9% 감소한 것이며, 2016년에 비해서는 16%나 줄어든 것이다. 유엔 북한팀이 지난 3월 공개한 ‘「2019 북 필요와 우선순위」 보고서(이하 보고서)’는 북한 당국의 통계를 인용, 2018년 북한의 식량 총생산이 10여년 만에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면서, 이로 인해 올해 북한의 식량불안이 증가할 것으로 우려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쌀과 밀의 생산량은 전년도 대비 12-14% 감소한 데 반해 감자와 콩의 경우 감소 규모가 각각 34%와 39%로 그 폭이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북한의 식량 총생산량은 목표치보다 약 100만톤 미달하는 것이다. 보고서는 경지 부족과 낙후된 농기계와 비료, 그리고 반복되는 자연재해가 생산량 감소의 이유라고 지적했다. 2018년 7~8월 북한의 곡창지대로 여겨지는 지역에서 평균 기온보다 11도 이상 높은 폭염이 발생했으며, 이에 더해 8월 말에 발생한 태풍 솔릭은 함경남도와 강원도에 폭우와 홍수를 발생시켰다고 설명했다.



북한의 식량불안을 악화시키는 또다른 요소는 식품 다양성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이 점이 대부분의 북한 주민들이 겪는 주요 우려사항이라고 전하면서, 게다가 농촌 주민과 도시 주민 사이에 존재하는 영양상태 격차 역시 지속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세계기아지수(GHI)에 따르면 북한의 기아지수는 ‘심각’과 ‘위험’ 상태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수가 측정된 전체 119개국 중 109위를 차지하고 있다. 악화되고 있는 북한의 식량안보 상황은 그 지수가 2017년의 28.2점에서 2018년 34점으로 2000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는 점에서 드러난다.

보고서는 식량생산 감소와 폭염 그리고 홍수로 인해 올해 북한의 식량불안이 가장 취약한 계층을 중심으로 증가할 것으로 우려했다. 식량불안과 영양부족이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식량 접근성 및 가용성에 가해지는 그 어떠한 부정적인 영향도 광범위하고 장기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전체 1,414
번호/No 제목/Title 작성자/Author 작성일/Date 조회/Views
공지사항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4] '전쟁'이 사라진다면 '평화'가 올까
관리자 | 2025.06.30 | 조회 1534
관리자 2025.06.30 1534
공지사항
[스토리]‘새로운 남북관계, 적대 해소를 위한 노력에서부터’ -82차 정책포럼을 마치고
관리자 | 2025.06.27 | 조회 1582
관리자 2025.06.27 1582
공지사항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6) 평화, 가까운 미래에도 충분히 실현 가능하다
관리자 | 2025.06.23 | 조회 2390
관리자 2025.06.23 2390
공지사항
[알림] [제82차 평화나눔 정책포럼] 새로운 남북관계 - 정부와 시민사회, 무엇을 해야 하나?
관리자 | 2025.06.13 | 조회 3243
관리자 2025.06.13 3243
공지사항
[캠페인]‘적대를 멈추고 평화로!’ - DMZ 생명평화걷기, 그리고 평화대회
관리자 | 2025.06.10 | 조회 3273
관리자 2025.06.10 3273
공지사항
[알림]우리민족, ‘민간 남북협력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보고서 발간
관리자 | 2025.05.27 | 조회 3810
관리자 2025.05.27 3810
1408
[알림][제82차 정책포럼 자료집] 새로운 남북관계 - 정부와 시민사회, 무엇을 해야 하나?
관리자 | 2025.06.26 | 조회 1013
관리자 2025.06.26 1013
1407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3] 다양한 모습으로 존재하는 ‘분단’
관리자 | 2025.06.09 | 조회 3010
관리자 2025.06.09 3010
1406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2] ‘우리는 적대와 혐오, 편견을 넘을 수 있을까?’
관리자 | 2025.05.31 | 조회 3365
관리자 2025.05.31 3365
1405
[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5) 남북관계는 끝난 걸까?
관리자 | 2025.05.31 | 조회 3456
관리자 2025.05.31 3456
1404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1] ‘통일은 먼 이야기지만, 평화는 그렇지 않습니다'
관리자 | 2025.05.25 | 조회 3147
관리자 2025.05.25 3147
1403
[연대]북민협∙민화협∙시민평화포럼과 더불어민주당 선대위가 서명한 정책협약서(전문)
관리자 | 2025.05.22 | 조회 1890
관리자 2025.05.22 1890
1402
[연대]북민협∙민화협∙시민평화포럼, 더불어민주당 선대위와 정책협약 체결
관리자 | 2025.05.22 | 조회 1597
관리자 2025.05.22 1597
1401
[연대]차기 정부에 전달하는 남북관계와 평화통일분야 정책제안 토론회
관리자 | 2025.05.22 | 조회 1634
관리자 2025.05.22 1634
1400
[연대]<초대합니다> 남북관계 및 평화통일분야 정책토론회 - 차기 정부에 바란다!
관리자 | 2025.05.16 | 조회 3469
관리자 2025.05.16 3469
1399
[연대]6.6 모이자 임진각으로! - DMZ순례단과 함께하는 한반도 평화대회
관리자 | 2025.05.15 | 조회 5018
관리자 2025.05.15 5018
1398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4) <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를 준비하는 마음가짐
관리자 | 2025.05.12 | 조회 4421
관리자 2025.05.12 4421
1397
[함께읽기]'아이들은 어떻게 평화를 배우지?' - 계수초 선생님의 평화축구 수업후기
관리자 | 2025.04.28 | 조회 6434
관리자 2025.04.28 6434
1396
[함께읽기]'아일랜드 청년이 바라본 한반도와 그 너머의 평화'
관리자 | 2025.04.22 | 조회 6838
관리자 2025.04.22 6838
1395
[알림]'평화, 미래를 만나다' - 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참가자를 모집합니다!
관리자 | 2025.04.22 | 조회 8479
관리자 2025.04.22 8479
1394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3) 예측 불가능이 희망의 근거
관리자 | 2025.04.21 | 조회 6798
관리자 2025.04.21 6798
1393
[알림]2024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 실적 명세서
관리자 | 2025.04.14 | 조회 3721
관리자 2025.04.14 3721
1392
[알림]2024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사업보고서 발간
관리자 | 2025.04.07 | 조회 6514
관리자 2025.04.07 6514
1391
[알림]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성명서 - 윤석열 파면은 주권자 시민의 승리
관리자 | 2025.04.04 | 조회 7152
관리자 2025.04.04 7152
1390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2) 해방 80년의 남북관계, 어떻게 풀어나갈 것인가?
관리자 | 2025.03.26 | 조회 9287
관리자 2025.03.26 9287
1389
“아버지의 이야기이자 딸 지형의 성장기” - '유령의 시간' 작가와 함께 한 북 콘서트
관리자 | 2025.03.20 | 조회 3826
관리자 2025.03.20 3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