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공지

개성공단 금강산관광 재개 범국민운동본부 발족!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도 함께 합니다.

[연대]
작성자/Author
관리자
작성일/Date
2019-10-28 13:55
조회/Views
5303

97개 시민사회노동단체로 구성된 '개성공단 금강산관광 재개 범국민 운동본부'가 발족했습니다. 6.15 남측위원회, 민화협, 민주노총, 한국노총 등 시민사회노동단체 대표자들은 지난 10월 7일 오후 1시 서울 종로구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국제회의장에서 '개성공단·금강산관광재개 범국민운동본부' 발족을 승인하고, 발족식 및 토론회를 진행했습니다.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은 이에 공감하며 참여단체로 이름을 올렸습니다. 대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를 비롯하여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조계종 민족공동체추진본부, 원불교 한민족한삶운동본부 등 종교계,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한국진보연대, 새마을운동중앙회,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전국농민회총연맹, 한국여성단체연합, 흥사단 민족통일운동본부, 겨레하나, 한국YWCA연합회, 한국YMCA전국연맹 등이 함께하고 있습니다.

발족선언문을 통해 "우리는 한반도 평화를 위한 대화들이 교착되어 있고 재개의 가능성이 불투명한 지금, 정부의 각성을 촉구하며 개성공단과 금강산관광 재개, 남북협력의 디딤돌이 되고자 온 국민의 뜻을 모아 시민사회 각계가 모여, 오늘 <개성공단·금강산관광 재개 범국민운동본부>를 발족한다"고 선언했습니다.

또한 "한반도 평화의 가장 절실한 이해 당사자는 바로 남과 북인 만큼, 교착되어 있는 북미관계, 남북관계의 선순환을 다시 이끌어 내기 위한 적극적인 조치가 필요하다"고 하면서 남북 정상이 약속한 '금강산관광, 개성공단 재개는 남북관계 개선의 시금석'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문재인 대통령이 수 차례 재개의지를 밝혔고 김정은 위원장도 연초부터 조건없는 재개 의향을 밝힌 만큼 더 이상 지체하지 말고 재개에 나서야 한다고 하면서 "남북관계가 꽉 막혀 있는 시점에서 금강산관광의 재개는 남북관계 개선의 막힌 혈로를 풀어주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이야기했습니다.

금강산관광 재개를 시작으로 개성공단 운영 재개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정부의 결단을 촉구하고 국회의 협력도 당부했습니다.

유엔과 미국 정부에는 "대북제재의 틀에서 벗어나 남북협력사업의 특수성을 존중해야 한다"며, "관계개선을 위한 조치로서 개성공단과 금강산관광 만큼은 제재의 틀에 더 이상 가두어서는 안되며, 나아가 대북제재 중단을 결단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10월 28일 오후 2시에는 범국민운동본부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금강산관광과 개성공단을 즉각 재개할 것을 정부에 촉구하고자 합니다.

정부는 금강산관광 개성공단 재개를 당장 선언하라!
- 일시 : 2019년 10월 28일(월) 오후2시
- 장소 : 정부종합청사 앞
- 주최 : 개성공단 금강산관광 재개 범국민운동본부

또한, 개성공단과 금강산관광 재개를 위한 범국민 서명운동도 진행하고 있으니 많은 참여 바랍니다.
100만인 서명운동 바로가기(클릭!)


개성공단·금강산관광 재개 범국민운동본부 발족 선언문(전문)


한반도 평화를 위한 길이 참으로 험난하다.
지난 6월 남북미 정상의 판문점 만남과 북미 정상회동으로 북미대화의 실마리가 풀리는가 싶더니 오랜 진통 끝에 최근 열린 북미 실무협의는 합의없이 결렬되고 말았다.
중단되었던 남북대화 역시 소식이 없다.


한반도 평화의 가장 절실한 이해 당사자는 바로 남과 북인 만큼, 교착되어 있는 북미관계, 남북관계의 선순환을 다시 이끌어 내기 위한 적극적인 조치가 필요하다.
판문점선언과 9월 평양공동선언에서 남과 북 두 정상이 약속한 금강산관광, 개성공단 재개는 남북관계 개선의 시금석이다.
양 사업은 군사분계선 동, 서쪽 지역에서 남과 북이 함께 일궈 낸 평화의 공동사업이며, 남과 북 모두에게 이익이 되고 향후 한반도 평화경제를 열어 갈 발판이다.


촛불항쟁으로 새로운 정부가 들어선지 2년반이 지났음에도, 여전히 개성공단과 금강산관광은 '대북제재'로 간주되어 재개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금강산관광은 대북제재의 대상 조차 아니라는 점에서 언제라도 재개할 수 있는 만큼, 정부는 금강산관광을 시작으로 개성공단 재개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결단해야 한다.


문재인 대통령은 임시정부 100주년 기념식 등에서 수차례에 걸쳐 재개의 의지를 밝혔고, 북한도 연초부터 조건없이 재개할 의향을 밝힌 만큼, 더 이상 시간을 지체하지 말고 재개에 나서야 한다.
남북관계가 꽉 막혀 있는 시점에서 금강산관광의 재개는 남북관계 개선의 막힌 혈로를 풀어주는 계기가 될 것이다.
국회는 한반도 평화를 위한 가장 기본적인 조치인 이 사업들을 정쟁의 대상으로 막을 것이 아니라, 신속하게 재개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협력, 지원해야 할 것이다.
유엔과 미국 정부 또한 대북제재의 틀에서 벗어나 남북협력사업의 특수성을 존중해야 한다.
관계개선을 위한 조치로서 개성공단과 금강산관광 만큼은 제재의 틀에 더 이상 가두어서는 안되며, 나아가 대북제재 중단을 결단해야 한다.


한반도 평화를 위한 진전을 시민의 힘으로 만들어 내자.
우리는 한반도 평화를 위한 대화들이 교착되어 있고 재개의 가능성이 불투명한 지금, 정부의 각성을 촉구하며 개성공단과 금강산관광 재개, 남북협력의 디딤돌이 되고자 온 국민의 뜻을 모아 시민사회 각계가 모여, 오늘 <개성공단·금강산관광 재개 범국민운동본부>를 발족한다.


우리는 개성공단, 금강산관광 재개를 위한 범국민적 여론을 다시금 불러일으켜, 조속한 시일내에 사업들이 재개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경주해 나갈 것이다.
양 사업의 재개를 촉구하는 각계 연속 선언과 범국민 서명운동을 통해 남북관계 개선을 열망하는 국민적 의지와 열망을 다시금 결집해 내는 것은 물론, 개성과 금강산으로 가는 길목에서 각계 대표들이 참여한 가운데 평화회의를 개최하여 재개의 길을 열어나갈 것이다.
국회와도 적극 협력하여 사진전을 비롯하여 국회 결의안 채택 등을 위한 노력을 함께 기울여 나갈 것이다. 각계에서 진행중인 방문단 모집, 관광 사전 신청 등의 활동을 모아 방문을 성사시켜 나갈 것이다.
민간의 이같은 노력에 남북 당국도 적극적으로 호응하기를 기대한다.


중단된 대화의 톱니바퀴를 돌리려는 노력없이, 저절로 평화와 관계개선이 이뤄질 것이라 기대할 수 없다.
하루 빨리 개성공단, 금강산관광을 재개하여 오랜 기간 지속되어 온 퇴보와 정체 국면을 마감하고, 더 많은 남북협력사업을 실현하자. 남과 북이 굳게 손을 잡고 새로운 한반도 평화와 통일시대를 앞당겨 나아가자.


2019년 10월 7일
 개성공단·금강산관광 재개 범국민운동본부

전체 1,414
번호/No 제목/Title 작성자/Author 작성일/Date 조회/Views
공지사항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4] '전쟁'이 사라진다면 '평화'가 올까
관리자 | 2025.06.30 | 조회 2081
관리자 2025.06.30 2081
공지사항
[스토리]‘새로운 남북관계, 적대 해소를 위한 노력에서부터’ -82차 정책포럼을 마치고
관리자 | 2025.06.27 | 조회 2002
관리자 2025.06.27 2002
공지사항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6) 평화, 가까운 미래에도 충분히 실현 가능하다
관리자 | 2025.06.23 | 조회 2753
관리자 2025.06.23 2753
공지사항
[알림] [제82차 평화나눔 정책포럼] 새로운 남북관계 - 정부와 시민사회, 무엇을 해야 하나?
관리자 | 2025.06.13 | 조회 3462
관리자 2025.06.13 3462
공지사항
[캠페인]‘적대를 멈추고 평화로!’ - DMZ 생명평화걷기, 그리고 평화대회
관리자 | 2025.06.10 | 조회 3481
관리자 2025.06.10 3481
공지사항
[알림]우리민족, ‘민간 남북협력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보고서 발간
관리자 | 2025.05.27 | 조회 4016
관리자 2025.05.27 4016
39
[연대]북민협∙민화협∙시민평화포럼과 더불어민주당 선대위가 서명한 정책협약서(전문)
관리자 | 2025.05.22 | 조회 1936
관리자 2025.05.22 1936
38
[연대]북민협∙민화협∙시민평화포럼, 더불어민주당 선대위와 정책협약 체결
관리자 | 2025.05.22 | 조회 1729
관리자 2025.05.22 1729
37
[연대]차기 정부에 전달하는 남북관계와 평화통일분야 정책제안 토론회
관리자 | 2025.05.22 | 조회 1932
관리자 2025.05.22 1932
36
[연대]<초대합니다> 남북관계 및 평화통일분야 정책토론회 - 차기 정부에 바란다!
관리자 | 2025.05.16 | 조회 3673
관리자 2025.05.16 3673
35
[연대]6.6 모이자 임진각으로! - DMZ순례단과 함께하는 한반도 평화대회
관리자 | 2025.05.15 | 조회 5079
관리자 2025.05.15 5079
34
[연대]트럼프 대통령에게 보낸 미국 평화 단체 연합의 서한
관리자 | 2025.02.05 | 조회 9299
관리자 2025.02.05 9299
33
[연대]동북아의 여성 평화활동가들, 더 나은 미래를 꿈꾸다!
관리자 | 2024.12.19 | 조회 4221
관리자 2024.12.19 4221
32
[연대]8.15 통일 독트린 평가 토론회 – ‘적대의 완화’가 가장 중요하다
관리자 | 2024.09.13 | 조회 6029
관리자 2024.09.13 6029
31
[연대]7.27 평화대회 – 다시 평화를 이야기하다!
관리자 | 2024.07.29 | 조회 7400
관리자 2024.07.29 7400
30
[연대]7.27 한반도 평화 행동의 날, 임진각에서 만나요~
관리자 | 2024.07.09 | 조회 16572
관리자 2024.07.09 16572
29
[연대][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 오물 풍선과 회심
관리자 | 2024.06.03 | 조회 8721
관리자 2024.06.03 8721
28
[연대]리빌딩(Rebuilding) 포럼, ‘희망 재건’을 위해 모이다
관리자 | 2024.05.17 | 조회 6264
관리자 2024.05.17 6264
27
[연대]러시아 볼고그라드 청소년 한국문화센터 '미리내'의 2024년 1분기 활동
관리자 | 2024.04.29 | 조회 6343
관리자 2024.04.29 6343
26
[연대]22대 총선, 각 당은 “남북관계 개선과 교류협력”에 대해 어떤 공약을 내놓았을까요?
관리자 | 2024.04.04 | 조회 13903
관리자 2024.04.04 13903
25
[연대]독일 하인리히 뵐 재단이 사무실을 방문했습니다
관리자 | 2024.03.04 | 조회 9038
관리자 2024.03.04 9038
24
[연대]‘서로의 어깨를 토닥이며...’ - 4.27 온라인 평화회의
관리자 | 2023.05.12 | 조회 5051
관리자 2023.05.12 5051
23
[연대]2022 대북협력 국제회의, 미국 워싱턴과 뉴욕에서 성황리에 개최했습니다
관리자 | 2022.12.15 | 조회 4920
관리자 2022.12.15 4920
22
[연대]국제 파트너들과 함께 대북협력 재개, 한반도 평화의 길을 모색합니다
관리자 | 2022.10.04 | 조회 5842
관리자 2022.10.04 5842
21
[연대]한반도 평화를 위해 유엔 사무총장에게 서한 발송
관리자 | 2022.07.29 | 조회 4781
관리자 2022.07.29 4781
20
[연대]민화협, 2022 통일정책포럼 '6·15공동선언과 한반도 전환기의 평화 모색' 개최
관리자 | 2022.05.31 | 조회 6265
관리자 2022.05.31 62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