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공지

8월에 평화축구는 어떻게 진행되었을까요?

[스토리]
작성자/Author
관리자
작성일/Date
2020-09-10 11:55
조회/Views
4915

# 축구 야외실습은 못했지만, 


코비드-19로 인해 우리 일상의 자유로움이 많이 없어진 요즘이죠? 코비드-19는 우리 생활의 모든 면을 바꿔놓았습니다. 최근까지 평화축구 대학생 프로그램은 어린이를 대상으론 못했지만, 교육 일정 자체는 큰 무리 없이 진행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코비드-19 재확산에 따라 사회적 거리두기가 2.5단계로 격상되면서 예정되었던 실습 교육은 모두 취소되었습니다. 마침 대학생 진행자들이 처음으로 게임을 직접 운영하기로 한 시기여서 아쉬움은 더 진했습니다. 지난 5~7월에 배우고 경험했던 체육을 통한 평화교육 게임을 대학생 진행자들이 하루라도 빨리 직접 해볼 수 있길 바랍니다!


# 온라인 채팅 ZOOM 라이브 ON


야외 실습을 못 한 건 아쉬웠지만, 이론 교육은 온라인 화상 플랫폼으로 진행할 수 있었습다. 뉴 너멀(new normal), 즉 새로운 정상이라는 온라인 만남을 저희 단체에서도 활용하고 있는데요. 물론 직접 만나는 것보단 일방적인 소통의 한계가 있지만, 초반 분위기 세팅과정에서 모두가 집중할 수 있고 서로가 연결되어 있다는 걸 세밀하게 신경쓰면서 교감하려 합니다. 


# 댄 가즌의 <한반도 평화와 스포츠의 연계성>


8월에는 외부 강사가 아닌 평화교육위원인 댄 가즌이 <한반도 평화와 스포츠의 연계성> 대한 이야기를 풀어갔습니다. 2013년 평화축구사업의 첫 발을 떼기 전부터 평화를 이루는 과정에서 스포츠의 역할은 매력적이었다고 하는데요, 수년 동안 하면 할수록 평화 구축 과정에서 스포츠의 순기능에 대한 잠재력뿐만 아니라 문제점과 한계에 대해서도 알 수 있었다 합니다.


# 평화와 통일에 있어 의식이 중요할까, 인간관계가 중요할까?


강의는 위의 질문을 던지는 것에서 시작하며 이를 보는 시각의 관점에 따라 체육을 활용하는 두 개의 다른 노선이 있다는 것을 지적했습니다. 위의 질문에 대한 답으로 당연히 의식과 인간관계 둘 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한반도에 있었던 스포츠 갈등과 교류는 주로 어떤 의미로 다루어졌을까요?


# 냉전 시대의 경쟁을 지나  단일팀 우승에 이르기까지


1960-70년대 냉전 시절 남과 북은 각각 대내외적으로 여러 분야에서 체재 경쟁을 펼쳐왔으며 스포츠 또한 예외가 아니였습니다. 80년대 후반 격변기를 거치면서 남과 북은 체육 교류를 본격적으로 시작했습니다. 1991년 남북 단일팀 “코리아”팀이 탁구세계선수권대회에서 적이었던 상대를 한 순간에 열광적으로 응원하게 되는 모습은 완전히 변형적인 경험이라고 말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극적이였습니다. 마찬가지로 시드니 올림픽에서 분단국가가 공동 입장하는 모습 또한 이런 감동을 자아냈지요.


# 스포츠 행사에 사용되는 다양한 기호


남북 스포츠 행사에 이용됐던 다양한 기호에 대해서도 이야깃거리가 많습니다. 스포츠를 통해 의식을 바꿀 수 있는 상징적인 심볼 말이지요. ‘애국가’ 대신에 “아리랑”, ‘국기’ 대신에 “한반도기”, ‘ROK , DPRK’ 대신에 “코리아” 로 명칭을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통합된 정체성 구축에 얼마나 큰 역할을 하는지도 논의했습니다. 국가가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 미국의 학자 Benedict Anderson이 상상한 공동체 개념에 대해서도 여러 논의를 주고받았습니다.


# 스포츠의 순기능과 역기능 


한편 남북 스포츠 행사의 규모에 비해 저조한 참여자 인원, 일회성의 이벤트 행사로 끝나는 한계, 그리고 평창올림픽 아이스하키 단일팀을 둘러싼 공정성 문제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누었습니다. 대학생 진행자들은 평창올림픽 주제로 다양한 생각을 나누었고, 단일팀 구성 논쟁에 관한 장단점을 논의하였습니다.


# 트랙 2와 풀뿌리 참여


이 맥락에서 엘리트 선수가 아닌 다른 남북 스포츠 교류 사례도 소개하였습니다. 남북 관계가 긴장상태일 때, 트랙2에 해당하는 중간층을 지도하는 민간 스포츠 교류가 정부 간 대화의 기회를 만드는 통로 역할을 주제로 이야기를 풀어갔습니다.


이어서 풀뿌리 평화 구축의 필요성과 인간관계의 중요성을 제시하면서 평화 과정에 평화축구의 미래 역할을 함께 상상하는 것으로 이 온라인 강의를 마쳤습니다.


이달에는 평화축구 운영위원이자 현승민 선생님(회복정정의협회 사무국장)께서 회복적정의에서 다루는 평화교육 중 참여자의 태도와 의식이 어떻게 역동적으로 변화하는지 실제 경험했던 풍부한 사례를 소개합니다. 여러 어려움이 있지만, 대학생 진행자들과 평화축구는 버티는 것에 그치지 않고 또 다른 방법을 찾아내고 한 걸음씩 나아갈 것입니다. 다음 소식도 많은 기대와 응원 부탁드립니다!

전체 1,414
번호/No 제목/Title 작성자/Author 작성일/Date 조회/Views
공지사항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4] '전쟁'이 사라진다면 '평화'가 올까
관리자 | 2025.06.30 | 조회 1382
관리자 2025.06.30 1382
공지사항
[스토리]‘새로운 남북관계, 적대 해소를 위한 노력에서부터’ -82차 정책포럼을 마치고
관리자 | 2025.06.27 | 조회 1472
관리자 2025.06.27 1472
공지사항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6) 평화, 가까운 미래에도 충분히 실현 가능하다
관리자 | 2025.06.23 | 조회 2337
관리자 2025.06.23 2337
공지사항
[알림] [제82차 평화나눔 정책포럼] 새로운 남북관계 - 정부와 시민사회, 무엇을 해야 하나?
관리자 | 2025.06.13 | 조회 3190
관리자 2025.06.13 3190
공지사항
[캠페인]‘적대를 멈추고 평화로!’ - DMZ 생명평화걷기, 그리고 평화대회
관리자 | 2025.06.10 | 조회 3228
관리자 2025.06.10 3228
공지사항
[알림]우리민족, ‘민간 남북협력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보고서 발간
관리자 | 2025.05.27 | 조회 3762
관리자 2025.05.27 3762
1408
[알림][제82차 정책포럼 자료집] 새로운 남북관계 - 정부와 시민사회, 무엇을 해야 하나?
관리자 | 2025.06.26 | 조회 948
관리자 2025.06.26 948
1407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3] 다양한 모습으로 존재하는 ‘분단’
관리자 | 2025.06.09 | 조회 2990
관리자 2025.06.09 2990
1406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2] ‘우리는 적대와 혐오, 편견을 넘을 수 있을까?’
관리자 | 2025.05.31 | 조회 3283
관리자 2025.05.31 3283
1405
[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5) 남북관계는 끝난 걸까?
관리자 | 2025.05.31 | 조회 3417
관리자 2025.05.31 3417
1404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1] ‘통일은 먼 이야기지만, 평화는 그렇지 않습니다'
관리자 | 2025.05.25 | 조회 3115
관리자 2025.05.25 3115
1403
[연대]북민협∙민화협∙시민평화포럼과 더불어민주당 선대위가 서명한 정책협약서(전문)
관리자 | 2025.05.22 | 조회 1805
관리자 2025.05.22 1805
1402
[연대]북민협∙민화협∙시민평화포럼, 더불어민주당 선대위와 정책협약 체결
관리자 | 2025.05.22 | 조회 1433
관리자 2025.05.22 1433
1401
[연대]차기 정부에 전달하는 남북관계와 평화통일분야 정책제안 토론회
관리자 | 2025.05.22 | 조회 1615
관리자 2025.05.22 1615
1400
[연대]<초대합니다> 남북관계 및 평화통일분야 정책토론회 - 차기 정부에 바란다!
관리자 | 2025.05.16 | 조회 3442
관리자 2025.05.16 3442
1399
[연대]6.6 모이자 임진각으로! - DMZ순례단과 함께하는 한반도 평화대회
관리자 | 2025.05.15 | 조회 4996
관리자 2025.05.15 4996
1398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4) <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를 준비하는 마음가짐
관리자 | 2025.05.12 | 조회 4408
관리자 2025.05.12 4408
1397
[함께읽기]'아이들은 어떻게 평화를 배우지?' - 계수초 선생님의 평화축구 수업후기
관리자 | 2025.04.28 | 조회 6424
관리자 2025.04.28 6424
1396
[함께읽기]'아일랜드 청년이 바라본 한반도와 그 너머의 평화'
관리자 | 2025.04.22 | 조회 6829
관리자 2025.04.22 6829
1395
[알림]'평화, 미래를 만나다' - 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참가자를 모집합니다!
관리자 | 2025.04.22 | 조회 8467
관리자 2025.04.22 8467
1394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3) 예측 불가능이 희망의 근거
관리자 | 2025.04.21 | 조회 6790
관리자 2025.04.21 6790
1393
[알림]2024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 실적 명세서
관리자 | 2025.04.14 | 조회 3702
관리자 2025.04.14 3702
1392
[알림]2024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사업보고서 발간
관리자 | 2025.04.07 | 조회 6503
관리자 2025.04.07 6503
1391
[알림]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성명서 - 윤석열 파면은 주권자 시민의 승리
관리자 | 2025.04.04 | 조회 7136
관리자 2025.04.04 7136
1390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2) 해방 80년의 남북관계, 어떻게 풀어나갈 것인가?
관리자 | 2025.03.26 | 조회 9281
관리자 2025.03.26 9281
1389
“아버지의 이야기이자 딸 지형의 성장기” - '유령의 시간' 작가와 함께 한 북 콘서트
관리자 | 2025.03.20 | 조회 3820
관리자 2025.03.20 3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