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공지

[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1) 공멸의 경쟁으로부터 전환하기 - 공동안보

[함께읽기]
작성자/Author
관리자
작성일/Date
2025-01-03 16:02
조회/Views
11832
가톨릭동북아평화연구소와 (사)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은 남북관계 개선과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활동의 일환으로 정기 공동 칼럼을 발표합니다. 많은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


공멸의 경쟁으로부터 전환하기 - 공동안보


이대훈 (피스모모 평화교육연구소 소장)


2022년 한국에서 윤석열 정부가 들어서고 우크라이나 내분이 전면전으로 확대되자 국내외에서 많은 정세분석 세미나와 모임이 만들어졌는데, 그 중 하나가 ‘동아시아 공동안보프로젝트’라는 이름의 모임이었다. 노벨평화상 수상자를 다수 배출한 유럽의 국제평화사무국(IPB)과 1950년대부터 미국에서 반핵운동, 반전운동을 전개해 온 비핵공동안보캠페인, 필리핀의 평화운동 지도자들, 한국의 피스모모, 그리고 중국, 일본, 인도 등의 국제정치 전문가들이 모인 그룹이었다.

2022년 말부터 이 그룹은 세계는 다수의 전쟁을 불사하는 대결적 국제정세로 급격히 변모하고 있고, 동북아시아에서의 전쟁 위기가 급격히 고조될 것이라고 보았다. 이 위기는 단순히 군사적, 정치적 위기에 국한되지 않고 AI 무기화, 핵 경쟁 재개, 기후변화, 군사주의 확산, 글로벌 거버넌스의 혼돈, 극단주의 득세, 민주주의의 위기, 인종주의 득세, 젠더 불평등 심화 등과 결합되어 지금까지 인류가 경험해 보지 못한 복합위기로 전개되고 있다는 것이 모임의 중론이었다. 이러한 정세 인식 속에서 모임의 이름을 ‘동아시아 공동안보프로젝트’로 정했다. 동아시아라 함은 남중국해-타이완해협, 한반도, 서태평양이 모두 하나로 연결된 전쟁 발화지점(hot spot)이라는 뜻을 담고 있었다.

그런데 공동안보라는 이름은 1982년 냉전의 절정기에서 따온 것이다. 핵미사일 근접 배치로 실제 핵전쟁 발발 가능성의 두려움에 떨던 1982년, 올로프 팔메(Olof Palme)라는 출중한 정치인은 ‘군축과 안보 문제에 관한 독립위원회’라는 국제전문가 기구를 구성해서 최초의 공동안보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핵 경쟁이 가져올 끔찍한 결과를 폭로한 이 보고서는 당시에, 그리고 한반도에서는 아직까지도 거의 상상조차 못하는 첨단의 논점과 제안을 담고 있었다.

  • (적대국이라고 할 지라도) 모든 국가가 안보에 대한 권리를 갖고 있다.

  • 군사력은 국가 간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정당한 수단이 아니다.

  • 현대의 진영간 군사대립은 핵전쟁으로 치닫게 될 것이다.

  • 핵 억지력이 안보를 제공한다는 주장은 허구이며, 핵전쟁은 어느 쪽에도 승리를 가져오지 못한다 – 모두에게 재앙만 가져올 것이다.

  • 안보는 (적대국, 경쟁국을 포함하여) 상호적으로 보장될 때에만 보장된다.

  • 군비 축소 및 군비 통제가 상호 안보를 위한 필수이다.

  • 한 국가와 국민과 동시에 다른 국가와 국민이 동시에 안전하다고 인식할 때 안보가 성립된다.


유럽의 국제질서가 핵전쟁이라는 심각한 도전과 대립의 위기에 처했던 시점에서 하나의 대안적인 안보 철학과 외교노선이 ‘공동안보’의 이름으로 제시된 것이다. 경쟁국의 안보와 자국의 안보가 공동으로 보장되는 것이 국가와 시민에게 더 나은 안전을 보장한다는 취지이다. 이를 계기로 1985년 유엔총회에서는 “현재의 편의적인 군비를 통한 억지는 공동안보 독트린으로 대체되어야 한다. 국제평화는 상호파괴 위협이 아니라 공동생존에 대한 의지에 기초해야 한다”는 사무총장보고서가 채택되었다. ‘적국과 함께 협력하는 공동의 안보가 최선의 안보’라는 공동안보 원칙이 잠깐 국제적으로 공인된 것이다.

1980년대 유럽에서의 공동안보 개념은 무한 핵군비경쟁과 상호확증파괴라는 냉전시기 군비전략과 억지전략의 한계에서 대두되었다. 전통적 안보의 실패(위협 경쟁, 동맹-세력균형, 억지 균형)를 인정하고 그 안보딜레마를 거부하고자 하는 실천적 의지가 바탕이 되었다. 그 개념은 단일하게 정식화되지 않았지만, 그 원칙은 여기 아시아태평양 지역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적대국, 경쟁국의 안보 필요성을 인정하고 이들을 동등한 국가로 인정하며 서로 안보를 위해서 협력하는 방향이 최선의 안보라는 인식이 형성될 수 있을까?



2022년 만들어진 동아시아 공동안보프로젝트 그룹은 2년간의 세미나와 논의 끝에 올해 11월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는 최초로 ‘인도태평양 지역 공동안보’라는 이름의 정세보고서 및 정책 제안서를 발간하였다 (아래 링크). 이 보고서에서는 전쟁 확산, 글로벌 안보위기, 진영 대립이 전개되는 상황에서 공동안보 원리에 입각한 평화운동과 시민들의 요구가 시급하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지구 생명공동체와 인류의 운명을 보호하기 위해 시급하고 포괄적인 조치가 필요하다는 점을 역설하면서 그러한 구체적인 제안을 세세히 담고 있다. 공멸을 향한 경주로부터 서로 안전을 보장하기로 전환하기 위해서 참고가 되었으면 한다.

* 인도태평양 지역 공동안보 보고서 링크

* 이미지: 사진 1) 올로프 팔메(Olof Palme)  사진 2)「2024 인도태평양지역 공동안보 보고서」(2024 Common Security in the Indo Pacific Region)


* 단체 소개

가톨릭동북아평화연구소는 분단의 현장에 자리하고 있는 천주교의정부교구가 2015년 9월에 설립하였으며, 가톨릭교회뿐 아니라 이웃 종교인들, 그리고 시민 단체들과 연대하면서 이 땅의 화해와 평화 정착 방안을 연구하고 실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사)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은 북한의 식량난이 가장 극심했던 1996년 6월, 천주교, 개신교, 불교 등 6대 종단 및 시민사회 인사들이 함께하는 국민운동으로 시작했습니다. 이후 인도적 대북지원과 남북교류협력사업,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다양한 정책사업, 시민참여활동, 국제연대사업 등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전체 1,414
번호/No 제목/Title 작성자/Author 작성일/Date 조회/Views
공지사항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4] '전쟁'이 사라진다면 '평화'가 올까
관리자 | 2025.06.30 | 조회 531
관리자 2025.06.30 531
공지사항
[스토리]‘새로운 남북관계, 적대 해소를 위한 노력에서부터’ -82차 정책포럼을 마치고
관리자 | 2025.06.27 | 조회 1137
관리자 2025.06.27 1137
공지사항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6) 평화, 가까운 미래에도 충분히 실현 가능하다
관리자 | 2025.06.23 | 조회 2099
관리자 2025.06.23 2099
공지사항
[알림] [제82차 평화나눔 정책포럼] 새로운 남북관계 - 정부와 시민사회, 무엇을 해야 하나?
관리자 | 2025.06.13 | 조회 3036
관리자 2025.06.13 3036
공지사항
[캠페인]‘적대를 멈추고 평화로!’ - DMZ 생명평화걷기, 그리고 평화대회
관리자 | 2025.06.10 | 조회 3109
관리자 2025.06.10 3109
공지사항
[알림]우리민족, ‘민간 남북협력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보고서 발간
관리자 | 2025.05.27 | 조회 3570
관리자 2025.05.27 3570
1288
[알림][사전등록] 제78회 평화나눔 정책포럼 <남북 교류협력의 원칙과 제도 - '촉진'이냐, '제약'이냐?>
관리자 | 2023.11.08 | 조회 9540
관리자 2023.11.08 9540
1287
[함께읽기]아이들이 평화가치를 몸으로 실천해보는 기회 - 계수초 3학년과의 평화축구
관리자 | 2023.11.02 | 조회 7505
관리자 2023.11.02 7505
1286
[함께읽기]러시아 볼고그라드의 한글학교 봄학기에 109명이 졸업했습니다.
관리자 | 2023.11.01 | 조회 5615
관리자 2023.11.01 5615
1285
[함께읽기]2023 평양/개성 탐구학교, 졸업여행 다녀왔어요!
관리자 | 2023.11.01 | 조회 6335
관리자 2023.11.01 6335
1284
[함께읽기]‘다시 만난’ 모든 분들, 정말 감사합니다! - 2023 후원의 밤을 마치고
관리자 | 2023.10.30 | 조회 9613
관리자 2023.10.30 9613
1283
[알림]2023 주한 외국 대사관-시민사회 간담회 개최
관리자 | 2023.10.13 | 조회 7066
관리자 2023.10.13 7066
1282
[알림]창립 27주년 기념 후원의 밤 <다시 만날 결심> 개최
관리자 | 2023.09.26 | 조회 11000
관리자 2023.09.26 11000
1281
[스토리]경기도 일산을 찾은 개성탐구학교! - 개강식 및 1강 개최 소식
관리자 | 2023.09.25 | 조회 7963
관리자 2023.09.25 7963
1280
[스토리]소통과 경험 나눔의 자리 … 2023 평화통일교육박람회 참여
관리자 | 2023.09.25 | 조회 7162
관리자 2023.09.25 7162
1279
[인터뷰]"기부는 자신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일" - '생일 기부'로 후원한 20대 차소민씨의 이야기!
관리자 | 2023.09.25 | 조회 5875
관리자 2023.09.25 5875
1278
[스토리]'민간 남북협력의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 - 정전 70년 기념 정책토론회 후기
관리자 | 2023.09.22 | 조회 7573
관리자 2023.09.22 7573
1277
[스토리]“우리를 잊지 않아줘서 고맙습니다” - 우크라이나 고려인 긴급지원사업 결과 보고
관리자 | 2023.09.06 | 조회 10437
관리자 2023.09.06 10437
1276
[스토리]"물과 공기가 이렇게 많이 오염되었는지 몰랐어요" - 초등학생의 '작지만 확실한 실천'
관리자 | 2023.09.06 | 조회 8005
관리자 2023.09.06 8005
1275
[알림]참여신청 - 정전 70년 기념 정책토론회
관리자 | 2023.09.05 | 조회 8821
관리자 2023.09.05 8821
1274
[알림]개성탐구학교[경기도]가 개강합니다! (20명 선착순 모집)
관리자 | 2023.09.04 | 조회 6087
관리자 2023.09.04 6087
1273
[스토리]“군비통제(arms control)” 논의를 두려워하지 말라 - 제77회 평화나눔 정책포럼
관리자 | 2023.08.30 | 조회 6221
관리자 2023.08.30 6221
1272
[함께읽기](워싱턴포스트) 미국이 북한에 양보해야 하는 이유
관리자 | 2023.08.16 | 조회 5059
관리자 2023.08.16 5059
1271
[알림]제77회 평화나눔 정책포럼 <한반도 안보 위기와 남북관계 전망>(8.29 화)
관리자 | 2023.08.16 | 조회 5815
관리자 2023.08.16 5815
1270
[스토리]한국어 선생님과 제자의 만남! 고려인 한글문화센터 수강생의 한국 방문
관리자 | 2023.08.16 | 조회 5667
관리자 2023.08.16 5667
1269
[스토리]내 손으로 만드는 식물 도감! - 다산생태공원 탄소중립 체험학습 및 역사기행 후기
관리자 | 2023.08.14 | 조회 5253
관리자 2023.08.14 5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