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공지

북 주민 영양부족 문제, 다각적인 접근 필요...UN 보고서 [등록일 : 2015-05-13]

[함께읽기]
작성자/Author
관리자
작성일/Date
2017-03-24 17:20
조회/Views
2900
북 주민 영양부족 문제, 다각적인 접근 필요...UN 보고서

북한에 상주하는 유엔 기구가 발표한 최근 보고서 “북한 2015 인도적 필요와 우선순위(DPR Korea 2015 Needs and Priorities)”는 북한 주민들의 영양 부족이 여전히 큰 문제라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북한 주민 한 명에 대한 식량 배급량이 하루 평균 383g에 그쳐 유엔의 권장량에 훨씬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고서는 덧붙였습니다.

그러면 북한 주민의 영양 부족 문제는 식량 공급을 더 늘리는 것으로 해결될 수 있을까요? 유엔 보고서는 오히려 북한 주민들의 영양문제 해결을 위해서도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지적은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을 하는 단체에게도 많은 시사점을 제공해 줍니다.

포괄적인 영양 개선은 단지 식량에 대한 접근뿐만 아니라 영양 안보(nutrition security)에 대한 문제이기도 합니다. 영양 안보는 미소 영양소를 포함해 가용한 식품의 질과 식품 섭취, 안전한 식수에의 접근 등에 영향을 받습니다. 영유아는 만 2살이 되기 전 만성적인 영양실조의 위험이 가장 크기 때문에 이때의 영양 섭취가 매우 중요합니다. 높은 식품 가격과 기후 변화가 취약 계층의 영양 부실을 더욱 악화시킵니다. 특히 여성들과 영유아가 더 큰 위험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은 더욱 특별한 영양을 필요로 합니다.

북한에서는 아직 많은 수의 영유아가 제대로 된 식품을 섭취하지 못하고 식수와 위생도 부실한 상황에서 그들이 받는 의료 서비스도 그 수준이 충분하지 않습니다. 이에 따라 그들은 수인성 질병 등 다양한 질병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또한 만 2살 이후 아무리 영양 상태가 개선된다고 하더라도 24개월에서 36개월 후에는 이전의 영양 부실을 되돌릴 수 없기 때문에 한계가 있습니다. 북한의 영유아는 보통 모유 수유 비율이 높기는 하지만 6개월 후 적당한 이유식을 섭취하지 못하고 깨끗한 식수에 접근하지 못하면 영양이 부실해질 위험이 매우 큽니다. 또한 북한의 영유아는 적정한 시기에 예방주사를 맞지 못할 경우 질병에 걸릴 가능성도 매우 높은 상황입니다.

산모와 영유아에 대한 가정과 사회에서의 적정한 보살핌과 기본적인 공공 서비스 제공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런 부분이 있어야 5세 미만 영유아의 사망률을 낮출 수 있고 급성 및 만성 영양실조, 그리고 관련 질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습니다.
전체 1,419
번호/No 제목/Title 작성자/Author 작성일/Date 조회/Views
공지사항
New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6] “차이를 존중하며 지속되는 대화 자체가 중요"
관리자 | 2025.07.14 | 조회 249
관리자 2025.07.14 249
공지사항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7) 2025 DMZ 생명평화 순례 – 해원상생(解冤相生)의 길
관리자 | 2025.07.13 | 조회 746
관리자 2025.07.13 746
공지사항
[알림]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주한 외국 대사관-시민사회 간담회 개최
관리자 | 2025.07.10 | 조회 1705
관리자 2025.07.10 1705
공지사항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5] “청년의 자리에서, 평화를 말하다”
관리자 | 2025.07.07 | 조회 2620
관리자 2025.07.07 2620
공지사항
[스토리]‘새로운 남북관계, 적대 해소를 위한 노력에서부터’ -82차 정책포럼을 마치고
관리자 | 2025.06.27 | 조회 3384
관리자 2025.06.27 3384
공지사항
[알림]우리민족, ‘민간 남북협력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보고서 발간
관리자 | 2025.05.27 | 조회 5286
관리자 2025.05.27 5286
65
[함께읽기] 남북교류협력사업,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하다 (최완규 상임공동대표)
관리자 | 2020.05.20 | 조회 4720
관리자 2020.05.20 4720
64
[함께읽기] 해외 우리민족 어린이들의 꿈을 응원합니다 -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주정숙 단장
관리자 | 2019.05.02 | 조회 4794
관리자 2019.05.02 4794
63
[함께읽기] "스포츠는 우리 삶에 평화를 가져오는 해결책이 될 수 있어요" - <개똥이네 집> 인터뷰
관리자 | 2019.04.29 | 조회 4617
관리자 2019.04.29 4617
62
[함께읽기] 왜 평화 저널리즘인가
관리자 | 2019.04.17 | 조회 4850
관리자 2019.04.17 4850
61
[함께읽기] 평화 공존의 시대, 대북지원의 새로운 방향 - 강영식 사무총장
관리자 | 2019.03.21 | 조회 4385
관리자 2019.03.21 4385
60
[함께읽기] 북 만성영양실조 아동 비율 2012년의 28%에서 2017년 19%로 감소
관리자 | 2018.07.11 | 조회 5510
관리자 2018.07.11 5510
59
[함께읽기] 평화의 분위기(Atmospherics for Peace) - 에리히 와인가트너
관리자 | 2018.05.08 | 조회 5110
관리자 2018.05.08 5110
58
[함께읽기] 2018 남북정상회담에 대한 각계 주요 인사 반응
관리자 | 2018.05.02 | 조회 4484
관리자 2018.05.02 4484
57
[함께읽기] “남북 정상, ‘민간교류 보장, 제도화’ 선언해야” - 강영식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사무총장
관리자 | 2018.04.17 | 조회 6005
관리자 2018.04.17 6005
56
[함께읽기] 남북 정상회담 앞두고 '한반도 평화의 봄을 위한 4가지 원칙' 발표
관리자 | 2018.04.17 | 조회 6221
관리자 2018.04.17 6221
55
[함께읽기] 유엔 북한팀, 2018 북한 필요와 우선순위 보고서 발표 - 1,030만여명 영양 부족으로 지원 필요
관리자 | 2018.04.16 | 조회 5420
관리자 2018.04.16 5420
54
[함께읽기] 전문가 칼럼: 남북의 ‘마음’은 통할 수 있을까?
관리자 | 2018.01.05 | 조회 5076
관리자 2018.01.05 5076
53
[함께읽기] 우리 단체의 북 주민 접촉 신청, 정부에서 수리
관리자 | 2017.05.30 | 조회 4740
관리자 2017.05.30 4740
52
[함께읽기] 북민협- 대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 정책건의서
관리자 | 2017.04.11 | 조회 4896
관리자 2017.04.11 4896
51
[함께읽기] 최완규 상임공동대표 - 단일국가 방식의 통일담론 극복해야 [등록일 : 2017-01-10]
관리자 | 2017.03.27 | 조회 3931
관리자 2017.03.27 3931
50
[함께읽기] 수해지원 인명진 상임공동대표 한국일보 인터뷰 [등록일 : 2016-10-10]
관리자 | 2017.03.27 | 조회 4033
관리자 2017.03.27 4033
49
[함께읽기] 북 함경북도 지역 수해 상황 2 [등록일 : 2016-09-21]
관리자 | 2017.03.27 | 조회 3213
관리자 2017.03.27 3213
48
[함께읽기] 북 함경북도 지역 수해 상황 1 [등록일 : 2016-09-19]
관리자 | 2017.03.27 | 조회 3478
관리자 2017.03.27 3478
47
[함께읽기] 20주년 기념식, 기념사&감사의 말씀 [등록일 : 2016-06-24]
관리자 | 2017.03.27 | 조회 3780
관리자 2017.03.27 3780
46
[함께읽기] 2015 사업 평가와 우리의 지향 [등록일 : 2016-04-14]
관리자 | 2017.03.27 | 조회 3436
관리자 2017.03.27 34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