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공지

북 주민 영양부족 문제, 다각적인 접근 필요...UN 보고서 [등록일 : 2015-05-13]

[함께읽기]
작성자/Author
관리자
작성일/Date
2017-03-24 17:20
조회/Views
2626
북 주민 영양부족 문제, 다각적인 접근 필요...UN 보고서

북한에 상주하는 유엔 기구가 발표한 최근 보고서 “북한 2015 인도적 필요와 우선순위(DPR Korea 2015 Needs and Priorities)”는 북한 주민들의 영양 부족이 여전히 큰 문제라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북한 주민 한 명에 대한 식량 배급량이 하루 평균 383g에 그쳐 유엔의 권장량에 훨씬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고서는 덧붙였습니다.

그러면 북한 주민의 영양 부족 문제는 식량 공급을 더 늘리는 것으로 해결될 수 있을까요? 유엔 보고서는 오히려 북한 주민들의 영양문제 해결을 위해서도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지적은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을 하는 단체에게도 많은 시사점을 제공해 줍니다.

포괄적인 영양 개선은 단지 식량에 대한 접근뿐만 아니라 영양 안보(nutrition security)에 대한 문제이기도 합니다. 영양 안보는 미소 영양소를 포함해 가용한 식품의 질과 식품 섭취, 안전한 식수에의 접근 등에 영향을 받습니다. 영유아는 만 2살이 되기 전 만성적인 영양실조의 위험이 가장 크기 때문에 이때의 영양 섭취가 매우 중요합니다. 높은 식품 가격과 기후 변화가 취약 계층의 영양 부실을 더욱 악화시킵니다. 특히 여성들과 영유아가 더 큰 위험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은 더욱 특별한 영양을 필요로 합니다.

북한에서는 아직 많은 수의 영유아가 제대로 된 식품을 섭취하지 못하고 식수와 위생도 부실한 상황에서 그들이 받는 의료 서비스도 그 수준이 충분하지 않습니다. 이에 따라 그들은 수인성 질병 등 다양한 질병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또한 만 2살 이후 아무리 영양 상태가 개선된다고 하더라도 24개월에서 36개월 후에는 이전의 영양 부실을 되돌릴 수 없기 때문에 한계가 있습니다. 북한의 영유아는 보통 모유 수유 비율이 높기는 하지만 6개월 후 적당한 이유식을 섭취하지 못하고 깨끗한 식수에 접근하지 못하면 영양이 부실해질 위험이 매우 큽니다. 또한 북한의 영유아는 적정한 시기에 예방주사를 맞지 못할 경우 질병에 걸릴 가능성도 매우 높은 상황입니다.

산모와 영유아에 대한 가정과 사회에서의 적정한 보살핌과 기본적인 공공 서비스 제공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런 부분이 있어야 5세 미만 영유아의 사망률을 낮출 수 있고 급성 및 만성 영양실조, 그리고 관련 질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습니다.
전체 1,393
번호/No 제목/Title 작성자/Author 작성일/Date 조회/Views
공지사항
[알림]2024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사업보고서 발간
관리자 | 2025.04.07 | 조회 3205
관리자 2025.04.07 3205
공지사항
[알림]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성명서 - 윤석열 파면은 주권자 시민의 승리
관리자 | 2025.04.04 | 조회 3645
관리자 2025.04.04 3645
공지사항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2) 해방 80년의 남북관계, 어떻게 풀어나갈 것인가?
관리자 | 2025.03.26 | 조회 6042
관리자 2025.03.26 6042
55
[함께읽기] 유엔 북한팀, 2018 북한 필요와 우선순위 보고서 발표 - 1,030만여명 영양 부족으로 지원 필요
관리자 | 2018.04.16 | 조회 5168
관리자 2018.04.16 5168
54
[함께읽기] 전문가 칼럼: 남북의 ‘마음’은 통할 수 있을까?
관리자 | 2018.01.05 | 조회 4796
관리자 2018.01.05 4796
53
[함께읽기] 우리 단체의 북 주민 접촉 신청, 정부에서 수리
관리자 | 2017.05.30 | 조회 4465
관리자 2017.05.30 4465
52
[함께읽기] 북민협- 대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 정책건의서
관리자 | 2017.04.11 | 조회 4617
관리자 2017.04.11 4617
51
[함께읽기] 최완규 상임공동대표 - 단일국가 방식의 통일담론 극복해야 [등록일 : 2017-01-10]
관리자 | 2017.03.27 | 조회 3683
관리자 2017.03.27 3683
50
[함께읽기] 수해지원 인명진 상임공동대표 한국일보 인터뷰 [등록일 : 2016-10-10]
관리자 | 2017.03.27 | 조회 3790
관리자 2017.03.27 3790
49
[함께읽기] 북 함경북도 지역 수해 상황 2 [등록일 : 2016-09-21]
관리자 | 2017.03.27 | 조회 2965
관리자 2017.03.27 2965
48
[함께읽기] 북 함경북도 지역 수해 상황 1 [등록일 : 2016-09-19]
관리자 | 2017.03.27 | 조회 3197
관리자 2017.03.27 3197
47
[함께읽기] 20주년 기념식, 기념사&감사의 말씀 [등록일 : 2016-06-24]
관리자 | 2017.03.27 | 조회 3498
관리자 2017.03.27 3498
46
[함께읽기] 2015 사업 평가와 우리의 지향 [등록일 : 2016-04-14]
관리자 | 2017.03.27 | 조회 3156
관리자 2017.03.27 3156
45
[함께읽기] '미리내' 주최 볼고그라드 한국문화축제 지역신문 기사 [등록일 : 2015-11-27]
관리자 | 2017.03.27 | 조회 2798
관리자 2017.03.27 2798
44
[함께읽기] 북민협 대북지원 20년 기념 영상
관리자 | 2017.03.24 | 조회 2541
관리자 2017.03.24 2541
43
[함께읽기] 정성제약종합센터 최근 소식 [등록일 : 2015-10-01]
관리자 | 2017.03.24 | 조회 3043
관리자 2017.03.24 3043
42
[함께읽기] FAO, “北 농업에 대한 투자는 9배의 투자수익 기대할 수 있어” [등록일 : 2015-09-22]
관리자 | 2017.03.24 | 조회 2531
관리자 2017.03.24 2531
41
[함께읽기] 남북 어린이를 하나로…‘스포츠 통한 평화교육’ 시동 [등록일 : 2015-08-13]
관리자 | 2017.03.24 | 조회 2619
관리자 2017.03.24 2619
40
[함께읽기] 북 주민 영양부족 문제, 다각적인 접근 필요...UN 보고서 [등록일 : 2015-05-13]
관리자 | 2017.03.24 | 조회 2626
관리자 2017.03.24 2626
39
[함께읽기] 지자체 대북사업, 물자지원 넘어 개발지원으로 진화 [등록일 : 2015-03-23]
관리자 | 2017.03.24 | 조회 2728
관리자 2017.03.24 2728
38
[함께읽기] 대북지원 20년, 무엇을 했고, 무엇을 할 것인가? [등록일 : 2015-03-18]
관리자 | 2017.03.24 | 조회 2812
관리자 2017.03.24 2812
37
[함께읽기] 신년토론회 '2015 남북관계, 돌파구를 열자' <한겨레&오마이뉴스> [등록일 : 2014-03-05]
관리자 | 2017.03.24 | 조회 3199
관리자 2017.03.24 3199
36
[함께읽기] 창립18주년 기념 후원의밤 기사 [등록일 : 2014-12-02]
관리자 | 2017.03.24 | 조회 3026
관리자 2017.03.24 3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