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공지

지자체 대북사업, 물자지원 넘어 개발지원으로 진화 [등록일 : 2015-03-23]

[함께읽기]
작성자/Author
관리자
작성일/Date
2017-03-24 17:14
조회/Views
2970
이 글은 평화문제연구소 "통일한국" 2015년 3월 통권 375호에 기고한 글입니다.

지방자치단체, 남북교류 ‘작은 길’ 열자

지자체 대북사업, 물자지원 넘어 개발지원으로 진화

이예정(정책팀 부장)

 

2015년은 분단 70년이 되는 해이며 동시에 외부의 대북지원이 시작된 지 20년이 되는 해다. 북한이 국제사회에 식량지원을 호소했던 지난 1995년 이전까지 남북 간에 이렇다 할 교류가 없었음을 감안하면 올해는 남북교류협력의 역사를 다시 한 번 돌아봄직한 중요한 해라고 할 수 있다.

비록 최근 몇 년 사이 크게 후퇴했지만, 지난 20년간 남북교류협력 사업은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며 그 규모와 영역이 점차 확대되어 갔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중앙정부, 민간단체, 기업, 그리고 지방자치단체가 있었다. 지난 1998년 강원도의 남북교류협력 조례 제정, 1999년 제주도의 북한 감귤지원을 시작으로 지자체들은 관련 조례 제정, 기금 조성, 전담 인력 배치 등 제도적 틀을 갖춰나가며 남북교류협력 사업을 확대해 나갔다.

협력사업 초기, 北 식량증산 위한 농축산업 집중

그간 지자체들이 추진해 온 남북교류협력 사업은 크게 사회문화교류와 대북지원으로 나눌 수 있다. 지난 2000년 6·15 남북공동선언이라는 남북관계의 근본적인 전환을 계기로 지자체들은 저마다의 특성을 살린 사회문화교류 사업을 추진했다. 그러나 북한은 대규모 인적교류를 동반하면서도 가시적 성과에 의문을 가질 수밖에 없는 사회문화교류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로 인해 2000년대 초반 지자체가 추진한 사회문화교류 사업 대부분은 무산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남북 간 접촉이 늘고 신뢰가 쌓여가며 지자체가 북한과 함께 추진한 문화, 체육행사들이 하나 둘 성사되기 시작했고, 6·15 남북공동행사, 부산아시안게임, 대구유니버시아드대회 등 북한이 참여하는 대규모 행사가 성공리에 개최될 수 있었다.

사회문화교류 사업이 여러 우여곡절을 겪었던 반면, 1990년대 후반부터 민간단체들이 이미 길을 터놓은 대북지원 사업은 비교적 순조롭게 진행됐다. 대북지원 사업은 북한으로서는 당장의 인도적 필요를 충족하고 가시적인 성과를 담보할 수 있는 영역이었고, 지자체도 대북지원 사업을 통해 북녘 동포의 고통을 완화하고 북측과의 지속적인 교류협력의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비록 사업시작 시기와 규모는 지자체별로 편차가 있었지만, 2000년대 중반에는 대부분의 광역지자체가 대북지원 사업에 참여할 정도로 대북지원 사업은 지자체 남북교류의 중심이 되었다. 지자체 대북지원 사업은 대체로 북한 식량증산을 목표로 농업축산 분야에 집중됐다. 그러나 강원도의 솔잎혹파리 공동방제 사업, 경기도의 말라리아 공동방역 사업과 같이 남북 공히 이익을 나누는 사업들도 이어졌다.

지자체 남북교류협력 사업은 교류협력을 통한 지역 발전과 지자체 위상 제고라는 내적동기, 6·15 공동선언 이후 남북 화해협력과 통일에 기여하고 북한 동포들의 인도적 요구에 부응해야 한다는 외적동기에 의해 추동되었다. 물론 지자체마다 편차는 있지만 지난 시기 지자체들은 남과 북의 교류협력을 확대하는 데 있어 중요한 한 축을 담당해 왔다. 특히, 지자체는 민간단체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대북지원 사업이 단순 물자지원에서 개발지원 사업으로 전환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또한 경상남도가 추진한 ‘강남군 장교리 소학교 건립’을 위한 기금이 지역 주민들의 모금으로 마련되었던 것처럼 지자체의 남북교류협력 사업은 지역 주민의 참여를 적극 독려하며 지역 차원의 남북화해운동이 되기도 했다.

“南 지자체와 北 경제개발구 협력 가능할 수도”

그러나 한반도는 이슈면에서 여전히 정치·군사적인 부분에 집중되어 있으며 동시에 중앙정부의 대북정책이 남북관계를 압도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지자체가 남북교류협력의 길을 열어가기란 쉽지 않아 보인다. 그러나 반대로 지자체나 민간단체가 정치·군사적 이슈와 상관없는 분야에서 독립성을 가지고 사업을 수행할 수 있었다면 현재의 남북관계가 조금은 달라지지 않았을까? 수년간 대북지원 민간단체들이 끊임없이 정부에 던져 왔던 질문이다.

지난 20년간 대북지원 사업에 헌신하며 스위스개발협력처 평양사무소장을 지내기도 한 케시 젤버거(Kathi Zellweger)는 “북한은 최근 몇 년 동안 외부에서 상상하는 것 이상으로 변화했다.”며 “이제는 이러한 변화에 맞는 대북사업을 고민해야 한다.”고 충고한다. 그런가 하면 남한의 한 대북 전문가는 북한의 경제개발구를 언급하며, 다시 남북교류가 정상화된다면 향후 교류협력 사업에서 북한 지방 주체들의 위상은 예전과는 확연히 달라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어쩌면 남한 지자체와 특정 지역의 경제개발구를 엮는, 남북교류협력 초기부터 지자체들이 그리도 원했던 자매결연에 준하는 협력사업이 가능해 질지도 모를 일이다.

현재 상황에서 앞으로의 남북관계를 예측하기란 쉽지 않아 보인다. 그러나 교류협력의 길은 다시 열릴 것이다. 그 외에 길이 없다는 것을 남과 북 모두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지자체들 사이에 남북교류협력을 위한 지자체 협의회 구성 논의가 한창 진행 중이라고 한다. 이러한 논의과정을 통해 남북화해와 한반도 평화를 위한 지자체 역할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기를, 그래서 남북교류협력의 길을 넓혀가는 데 지자체들이 앞장설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지자체나 민간단체가 정치·군사적 이슈와 상관없는 분야에서 독립성을 가지고 사업을 수행할 수 있었다면 현재의 남북관계가 조금은 달라지지 않았을까? 수년간 대북지원 민간단체들이 끊임없이 정부에 던져 왔던 질문이다.

 
전체 1,416
번호/No 제목/Title 작성자/Author 작성일/Date 조회/Views
공지사항
[알림]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주한 외국 대사관-시민사회 간담회 개최
관리자 | 2025.07.10 | 조회 1255
관리자 2025.07.10 1255
공지사항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5] “청년의 자리에서, 평화를 말하다”
관리자 | 2025.07.07 | 조회 2260
관리자 2025.07.07 2260
공지사항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4] '전쟁'이 사라진다면 '평화'가 올까
관리자 | 2025.06.30 | 조회 3470
관리자 2025.06.30 3470
공지사항
[스토리]‘새로운 남북관계, 적대 해소를 위한 노력에서부터’ -82차 정책포럼을 마치고
관리자 | 2025.06.27 | 조회 3162
관리자 2025.06.27 3162
공지사항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6) 평화, 가까운 미래에도 충분히 실현 가능하다
관리자 | 2025.06.23 | 조회 3835
관리자 2025.06.23 3835
공지사항
[알림]우리민족, ‘민간 남북협력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보고서 발간
관리자 | 2025.05.27 | 조회 5074
관리자 2025.05.27 5074
63
[함께읽기] "스포츠는 우리 삶에 평화를 가져오는 해결책이 될 수 있어요" - <개똥이네 집> 인터뷰
관리자 | 2019.04.29 | 조회 4604
관리자 2019.04.29 4604
62
[함께읽기] 왜 평화 저널리즘인가
관리자 | 2019.04.17 | 조회 4836
관리자 2019.04.17 4836
61
[함께읽기] 평화 공존의 시대, 대북지원의 새로운 방향 - 강영식 사무총장
관리자 | 2019.03.21 | 조회 4376
관리자 2019.03.21 4376
60
[함께읽기] 북 만성영양실조 아동 비율 2012년의 28%에서 2017년 19%로 감소
관리자 | 2018.07.11 | 조회 5495
관리자 2018.07.11 5495
59
[함께읽기] 평화의 분위기(Atmospherics for Peace) - 에리히 와인가트너
관리자 | 2018.05.08 | 조회 5100
관리자 2018.05.08 5100
58
[함께읽기] 2018 남북정상회담에 대한 각계 주요 인사 반응
관리자 | 2018.05.02 | 조회 4472
관리자 2018.05.02 4472
57
[함께읽기] “남북 정상, ‘민간교류 보장, 제도화’ 선언해야” - 강영식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사무총장
관리자 | 2018.04.17 | 조회 5996
관리자 2018.04.17 5996
56
[함께읽기] 남북 정상회담 앞두고 '한반도 평화의 봄을 위한 4가지 원칙' 발표
관리자 | 2018.04.17 | 조회 6208
관리자 2018.04.17 6208
55
[함께읽기] 유엔 북한팀, 2018 북한 필요와 우선순위 보고서 발표 - 1,030만여명 영양 부족으로 지원 필요
관리자 | 2018.04.16 | 조회 5409
관리자 2018.04.16 5409
54
[함께읽기] 전문가 칼럼: 남북의 ‘마음’은 통할 수 있을까?
관리자 | 2018.01.05 | 조회 5063
관리자 2018.01.05 5063
53
[함께읽기] 우리 단체의 북 주민 접촉 신청, 정부에서 수리
관리자 | 2017.05.30 | 조회 4729
관리자 2017.05.30 4729
52
[함께읽기] 북민협- 대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 정책건의서
관리자 | 2017.04.11 | 조회 4874
관리자 2017.04.11 4874
51
[함께읽기] 최완규 상임공동대표 - 단일국가 방식의 통일담론 극복해야 [등록일 : 2017-01-10]
관리자 | 2017.03.27 | 조회 3927
관리자 2017.03.27 3927
50
[함께읽기] 수해지원 인명진 상임공동대표 한국일보 인터뷰 [등록일 : 2016-10-10]
관리자 | 2017.03.27 | 조회 4025
관리자 2017.03.27 4025
49
[함께읽기] 북 함경북도 지역 수해 상황 2 [등록일 : 2016-09-21]
관리자 | 2017.03.27 | 조회 3208
관리자 2017.03.27 3208
48
[함께읽기] 북 함경북도 지역 수해 상황 1 [등록일 : 2016-09-19]
관리자 | 2017.03.27 | 조회 3465
관리자 2017.03.27 3465
47
[함께읽기] 20주년 기념식, 기념사&감사의 말씀 [등록일 : 2016-06-24]
관리자 | 2017.03.27 | 조회 3763
관리자 2017.03.27 3763
46
[함께읽기] 2015 사업 평가와 우리의 지향 [등록일 : 2016-04-14]
관리자 | 2017.03.27 | 조회 3425
관리자 2017.03.27 3425
45
[함께읽기] '미리내' 주최 볼고그라드 한국문화축제 지역신문 기사 [등록일 : 2015-11-27]
관리자 | 2017.03.27 | 조회 3032
관리자 2017.03.27 3032
44
[함께읽기] 북민협 대북지원 20년 기념 영상
관리자 | 2017.03.24 | 조회 2777
관리자 2017.03.24 27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