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공지

NCNK의 코로나 19 브리핑: 현 북한의 상황은?

[함께읽기]
작성자/Author
관리자
작성일/Date
2020-05-20 17:48
조회/Views
4890

The National Committee of North Korea(이하 NCNK)는 미국의 대북 전문가들과 관계자들이 모인 협의체입니다. 2월 24일부터, NCNK는 현 북한의 코로나바이러스 대처 상황과 인도지원 전개 상황에 대한 간략한 브리핑(COVID-19 and North Korea Update)을 NCNK 웹사이트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유엔 관계자와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개발협력 전문가로부터 받은 신뢰성 있는 정보를 토대로 한 브리핑의 일부를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웹사이트에 번역하여 원문과 함께 게재합니다.


1. 북한 내부에서 코로나 19 진단검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까?


- 코로나 19 진단검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얼마나 많이 이루어지는지 혹은 검사 결과가 어떻게 나오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Is testing for COVID-19 underway in North Korea?


- Yes, however, the volume of testing and test results are unknown.


2. 유엔 1718위원회가 북한으로 가는 의료물품의 제재를 면제한 적이 있습니까?


- 그렇습니다. 유엔 1718위원회는 WHO(세계보건기구), WFP(유엔세계식량계획), IFRC(국제적십자연맹), MSF(국경없는의사회)를 대상으로 인도지원물품 제재면제를 승인했습니다.

Has there been any United Nations' sanctions relief so that medical supplies and assistance may be provided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North Korea?

- Yes. In the last 30 days, the UN "1718 Sanctions Committee" which reviews requests to allow exemptions to UN sanctions, approved exemption requests from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the World Food Programme(WFP); International Federation of the Red Cross and Red Crescent Societies (IFRC); and Medicines Sans Frontieres(MSF).


3. 국경 봉쇄와 격리조치로 인해 북한 주민들은 어떤 영향을 받고 있습니까?


- 일단 원유가격과 식량가격이 오르고 있습니다. 북한 주민들이 타 지역으로 자유롭게 이동하지 못하기 때문에 지역 시장에 필요한 물품이 공급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몇몇 지역에서 식량부족문제가 악화되고 식량 가격이 폭등할 위험이 있습니다.


보건의료 차원에서는, 북한의 국경 봉쇄 정책이 결핵(일반 결핵과 다제내성결핵)을 치료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을 어렵게 하고 있습니다.


What is the impact on North Korea's population as a whole as a result of border closures and quarantine implementation?


- Indicate an increase in food and fuel prices in North Korea, among other consequences. Because of internal travel restrictions within North Korea, shortages or price spikes may be more acute in some parts of the country than in others. A prolonged closure of North Korea's border could also complicate international efforts to treat the tuberculosis and multi-drug-resistant tuberculosis epidemic in the country.


4. 북한의 코로나 19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한반도 외부에서 유엔은 어떤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까?


- 유엔 OCHA(인도주의 업무 조정국)는 3월 25일 전 세계적 인도주의 대처 계획(Global Humanitarian Response Plan)을 공개했습니다. 인도주의 대체 계획은 유엔 사무총장, WHO의 Tedros 박사, UNICEF의 Henrietta Fore, OCHA의 Mark Lowcock에 의해 실행되었습니다. 자료의 79페이지에는 북한 코로나바이러스 대응책이 기재되어 있습니다. 이 계획은 20.1억 달러 상당의 자금이 필요로 하며, 대부분의 자금은 인도지원 사무소에 지원됩니다. 더 나아가, 보고서와 관련된 내용이 매달 업데이트 될 것입니다. 현재 북한에 상주하고 있는 인도주의 활동가들이 북한 주민들에게 필요한 물품들을 파악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G20에 보내는 유엔 사무총장의 서한에서 코로나바이러스 대처를 돕기 위한 제재 완화 요청이 있었습니다.


What actions are being taken by the UN outside of the Peninsula to address the COVID-19 situation in the North?


- UN OCHA launched a Global Humanitarian Response Plan for COVID-19. The main body includes cross-cutting issues and the annexes have selected country pages; the DPRK is on page 79.  The plan was launched March 25 by the Secretary-General, with Dr. Tedros (WHO), Henrietta Fore (UNICEF) and Mark Lowcock (OCHA).  It initially calls for USD 2.01 billion, mostly for agencies and will be updated monthly.  The DPRK Humanitarian Country team is looking into the needs and specific asks required.


In addition, in the Secretary-General’s letter to the G20; in the High Commissioner for Human Rights statement and in a joint letter by seven countries to the UN, there were calls to ease sanctions including sectoral, to help the response to the COVID-19 outbreak.


5. 어떻게 북한 내에서 인도주의적 사업들이 진행되고 있습니까?


- 코로나바이러스가 유행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북한은 국경을 봉쇄하고 격리조치를 시행 중입니다. 일련의 조치 때문에, 유엔의 북한상주조정관 Frode Mauring은 지금도 평양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가 부재한 지금 유니세프 평양사무소 대표 Myo Zin Zyunt가 상주조정관을 대행해서 업무를 보고 있습니다. Frode Mauring은 현재 원격으로 근무하고 있으며, 유엔 본부에서 북한 업무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How are UN humanitarian operations in North Korea being managed?


- Due to DPRK-imposed restrictions connected to the COVID-19, Mr. Frode Mauring, the UN’s Resident Coordinator for North Korea has been unable to return to Pyongyang up to this time.  In his absence, Myo Zin Nyunt, the UNICEF representative in Pyongyang serves as Acting Resident Coordinator, while Mr. Mauring works remotely and engages at the Headquarters’ level.


6. 북한과 북한에 상주하는 유엔 관계자들 사이에 능동적인 토론이 이루어지고 있습니까?


- 그렇습니다. 유엔 관계자들은 북한의 보건성과 외무성과 함께 협업하고 있습니다. 국제사회로부터 오는 지원물품을 전달하기 위해, 그리고 정기적으로 유엔의 관계자와 다른 타국의 실무자들이 북한을 정기적으로 왕래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적절한 지침들을 발전시키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12명에서 15명 정도 가량의 유엔 관계자와 10명 전후의 유럽의 인도주의 NGO 실무자가 아직 북한에 남아있습니다.


Are active discussions underway between North Korean and UN officials?


- Yes, UN representatives interact with officials of the Ministry of Public Health and Ministry of Foreign Affairs. Efforts are underway to develop more timely protocols for the delivery of international assistance, as well as the ability of UN and other international workers to travel in and out of the DPRK on a regular basis. These efforts are also made with DPRK representatives in third countries. In addition to the 12 to 15 UN personnel in North Korea, just over 10 persons representing European humanitarian NGOs remain in the country.


7. 국제 NGO로부터 제공되는 코로나바이러스 방역 물품이 북한으로 잘 들어가고 있습니까?


- 그렇습니다. 적어도 세 인도주의 단체의 방역 물품이 중국을 통해 북한으로 들어갔습니다. 들어간 물품은 10일에 14일 정도 격리된 이후 주민들에게 전달될 것입니다. 그러나 언제 북한에서 국제 NGO 활동가들이 모니터링을 할 수 있을지는 아직 미정입니다.


Is COVID-19 assistance from the international NGO community making its way into North Korea?


- Yes, shipments from at least three organizations have crossed into North Korea from China. Shipments are believed to remain in quarantine for 10 to 14 days after their arrival in North Korea. It remains unknown when North Korean officials will allow representatives of aid organizations to access the supplies and equipment and monitor their use.


8. 북한이 코로나바이러스 방역 물품을 미국으로부터 받고자 하고 있습니까?


- 아닙니다. 북한은 미국에서 지원되는 신종 코로나 방역 물품을 계속해서 거부해 왔습니다. 그러나 북한 공직자들은 미국의 인도주의 단체들과 계속해서 협업하고 있습니다. 또한, 북한은 코로나바이러스 창궐 이전 진행하던 사업에 대해 지원받고 협업하는 것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Will North Korea accept COVID-19 assistance from the United States?


- No. North Korea continues to decline COVID-19 related assistance from the US humanitarian NGO community.  However, North Korean officials continue to work with US NGOs and welcome their assistance on programs and projects which were underway prior to the beginning of the pandemic.


9. 북한 내 코로나바이러스 확진자가 있습니까?


- 북한은 계속해서 자국 내 확진자가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 북한 정치국 회의와 언론에서 주민들이 인식하고 있는 것보다 상황이 더 악화되었을 수도 있다는 위기의식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북한 당국은 국경을 일찍 봉쇄하고, 검역조치를 시행하고,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경각심을 계속해서 일깨우면서 방역에 힘을 쏟았습니다. 이런 조치들이 많은 생명을 구했을 것입니다. 북한 지도부는 이 전염병이 자국의 경제와 사회적 질서, 그리고 국가 안보에 대해서 좋지 않은 결과를 불러올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Are there cases of COVID-19 in North Korea?


- The North Korean government continues to state that there are no confirmed cases in the country. However, the sense of urgency surrounding COVID-19 expressed at the recent Politburo meeting as well as through North Korean media suggests there may be more to the situation than is being publicly acknowledged. Early action closing the border, establishing a series of quarantine measures and promoting a major "anti-epidemic" strategy likely saved many lives. North Korean leaders appear to be cognizant they are faced with a situation similar to other countries in the region and worldwide - an unseen threat which poses potentially devastating consequences for the economy, social order and national security.


전체 1,416
번호/No 제목/Title 작성자/Author 작성일/Date 조회/Views
공지사항
[알림]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주한 외국 대사관-시민사회 간담회 개최
관리자 | 2025.07.10 | 조회 1257
관리자 2025.07.10 1257
공지사항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5] “청년의 자리에서, 평화를 말하다”
관리자 | 2025.07.07 | 조회 2262
관리자 2025.07.07 2262
공지사항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4] '전쟁'이 사라진다면 '평화'가 올까
관리자 | 2025.06.30 | 조회 3472
관리자 2025.06.30 3472
공지사항
[스토리]‘새로운 남북관계, 적대 해소를 위한 노력에서부터’ -82차 정책포럼을 마치고
관리자 | 2025.06.27 | 조회 3164
관리자 2025.06.27 3164
공지사항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6) 평화, 가까운 미래에도 충분히 실현 가능하다
관리자 | 2025.06.23 | 조회 3836
관리자 2025.06.23 3836
공지사항
[알림]우리민족, ‘민간 남북협력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보고서 발간
관리자 | 2025.05.27 | 조회 5076
관리자 2025.05.27 5076
103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3] 다양한 모습으로 존재하는 ‘분단’
관리자 | 2025.06.09 | 조회 3297
관리자 2025.06.09 3297
102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2] ‘우리는 적대와 혐오, 편견을 넘을 수 있을까?’
관리자 | 2025.05.31 | 조회 3631
관리자 2025.05.31 3631
101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1] ‘통일은 먼 이야기지만, 평화는 그렇지 않습니다'
관리자 | 2025.05.25 | 조회 3452
관리자 2025.05.25 3452
100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4) <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를 준비하는 마음가짐
관리자 | 2025.05.12 | 조회 4954
관리자 2025.05.12 4954
99
[함께읽기]'아이들은 어떻게 평화를 배우지?' - 계수초 선생님의 평화축구 수업후기
관리자 | 2025.04.28 | 조회 6976
관리자 2025.04.28 6976
98
[함께읽기]'아일랜드 청년이 바라본 한반도와 그 너머의 평화'
관리자 | 2025.04.22 | 조회 7342
관리자 2025.04.22 7342
97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3) 예측 불가능이 희망의 근거
관리자 | 2025.04.21 | 조회 7066
관리자 2025.04.21 7066
96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2) 해방 80년의 남북관계, 어떻게 풀어나갈 것인가?
관리자 | 2025.03.26 | 조회 9444
관리자 2025.03.26 9444
95
[함께읽기]우크라이나에 살고 있는 무국적 고려인들의 안타까운 현실을 전합니다.
관리자 | 2025.03.03 | 조회 4128
관리자 2025.03.03 4128
94
[함께읽기]2025년, 북은 어떤 신년 메시지를 내놓았을까요? - 신년 토론회 후기
관리자 | 2025.01.06 | 조회 11986
관리자 2025.01.06 11986
93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1) 공멸의 경쟁으로부터 전환하기 - 공동안보
관리자 | 2025.01.03 | 조회 11953
관리자 2025.01.03 11953
92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0) 비상계엄과 민주주의, 그리고 평화
관리자 | 2024.12.09 | 조회 9500
관리자 2024.12.09 9500
91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9) 격변을 예고하는 ‘트럼프시즌 2’, ‘우리 민족’은 어디로
관리자 | 2024.11.15 | 조회 11259
관리자 2024.11.15 11259
90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8) 오직 평화!
관리자 | 2024.10.24 | 조회 13549
관리자 2024.10.24 13549
89
[함께읽기]볼고그라드에 사는 18세 고려인 청년 한막심이 사물놀이와 만난 이야기
관리자 | 2024.09.23 | 조회 6385
관리자 2024.09.23 6385
88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6) 그럼에도 불구하고 평화가 우선이다
관리자 | 2024.09.19 | 조회 13494
관리자 2024.09.19 13494
87
[함께읽기]<한겨레21> 인터뷰 '오물풍선 시대, 말라리아 공동방역의 추억'
관리자 | 2024.08.05 | 조회 8759
관리자 2024.08.05 8759
86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2) 전쟁을 넘어 평화로
관리자 | 2024.06.25 | 조회 6905
관리자 2024.06.25 6905
85
[함께읽기]“아이들의 ‘다른 남북 관계’ 상상 능력, 가장 큰 평화의 힘입니다” - 양두리 부장 한겨레신문 인터뷰
관리자 | 2024.01.12 | 조회 9444
관리자 2024.01.12 9444
84
[함께읽기]평화축구를 경험한, 학교 선생님들의 소감은?
관리자 | 2023.12.15 | 조회 7906
관리자 2023.12.15 7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