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공지

9월 대학생 피스메이커 평화축구 활동을 진행했습니다!

[스토리]
작성자/Author
관리자
작성일/Date
2020-10-27 16:54
조회/Views
4375

소식을 전달하기 조금 늦었지만 9월에도 대학생 피스메이커 프로그램 활동이 이어졌습니다. 지난 5월부터 11월 까지 ‘평화축구 진행자 되기’ 대학생 프로그램에서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 함께 워크숍을 열어 대학생 참여자들이 다양한 관점으로 평화교육을 고민할 수 있었습니다.


9월은 (사)한국회복적정의협회 사무국장 겸 평화축구 코리아 운영위원 현승민 선생님이 우리 사회에 지배적인 인과응보 개념과 회복적 정의의 기본 가치 그리고 두 개념의 차이를 비교하며 이야기하였습니다. 시나리오를 통해 사건을 어떻게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무엇이 다르고 필요한지 살펴보고, 처벌보다 피해회복에 우선을 두고 해결방법을 찾는 과정을 논의했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 사법정의 가치관을 다시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이 가치관이 평화축구에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생각하고 우리 평화교육 프로그램이 사회 구성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도 성찰할 수 있었지요.


평화축구를 진행할 때는 통제된 환경에서 갈등을 경험할 수 있는 계기가 많습니다. (일부러 평화축구에 갈등 상황을 만들기도 합니다.) 갈등이 일어나고 해결하기 위한 페러다임과 과정을 강조하는 회복적 정의는 평화축구 프로그램이 추구하는 목적과 부합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평화축구와 회복적 정의의 프로그램의 많은 부분이 연결되어 있음을 현승민 국장님의 교육을 통해 배울 수 있었습니다.


이 어서 9월 넷째주 토요일에 용산 아이파크 실내 풋살장에서 대학생 진행자들이 모여 실습 활동을 진행했습니다. 이번에는 그 동안의 세션과 달리 대학생 피스메이커 참여자들이 직접 평화축구 게임을 운영해봤습니다.  


만약 참여자들이 긴장을 하고 어려워했다면 힘들었을 실습도 용기있게 운영했습니다. 평화축구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게 쉬운 일은 아닙니다. 장비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시범과 설명을 통해 진행 방식을 정확하면서 간결하게 참여자에게 전달해야 합니다.  활동을 시작한 후 여러 게임 변경을 통해 평화축구의 핵심 가치를 느낄 수 있게 조정해야 하고, 진행하는 내내 참가자들을 관찰하면서 풍부한 논의의 장이 되도록 촉진하는 역할 역시도 해야 합니다. 이렇게 복합적인 과정을 거쳐 대학생 피스메이커 8명은 멋지게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이번 진행에 참여하지 못한 참여자들은 다음 기회를 통해 역량을 펼치길 기대합니다.


이제 대학생 피스메이커 프로그램의 마지막 실내 교육이 11월 첫째 주에 남았고 이 후 어린이와 함께 평화축구를 운영한다면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마칠 수 있습니다.  코로나-19에도 저희는 진행자 되기 여정을 5월부터 다양한 대학생과 함께 걸어 올  수 있다는 자체만으로도 매우 뿌듯합니다 ^-^


앞으로 대학생 피스메이커들이 초등학생과 함께 평화축구 교실을 운영하는 과정을 많이 응원해주시기 바랍니다.


전체 1,414
번호/No 제목/Title 작성자/Author 작성일/Date 조회/Views
공지사항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4] '전쟁'이 사라진다면 '평화'가 올까
관리자 | 2025.06.30 | 조회 2096
관리자 2025.06.30 2096
공지사항
[스토리]‘새로운 남북관계, 적대 해소를 위한 노력에서부터’ -82차 정책포럼을 마치고
관리자 | 2025.06.27 | 조회 2011
관리자 2025.06.27 2011
공지사항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6) 평화, 가까운 미래에도 충분히 실현 가능하다
관리자 | 2025.06.23 | 조회 2763
관리자 2025.06.23 2763
공지사항
[알림] [제82차 평화나눔 정책포럼] 새로운 남북관계 - 정부와 시민사회, 무엇을 해야 하나?
관리자 | 2025.06.13 | 조회 3463
관리자 2025.06.13 3463
공지사항
[캠페인]‘적대를 멈추고 평화로!’ - DMZ 생명평화걷기, 그리고 평화대회
관리자 | 2025.06.10 | 조회 3483
관리자 2025.06.10 3483
공지사항
[알림]우리민족, ‘민간 남북협력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보고서 발간
관리자 | 2025.05.27 | 조회 4018
관리자 2025.05.27 4018
1408
[알림][제82차 정책포럼 자료집] 새로운 남북관계 - 정부와 시민사회, 무엇을 해야 하나?
관리자 | 2025.06.26 | 조회 1229
관리자 2025.06.26 1229
1407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3] 다양한 모습으로 존재하는 ‘분단’
관리자 | 2025.06.09 | 조회 3063
관리자 2025.06.09 3063
1406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2] ‘우리는 적대와 혐오, 편견을 넘을 수 있을까?’
관리자 | 2025.05.31 | 조회 3440
관리자 2025.05.31 3440
1405
[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5) 남북관계는 끝난 걸까?
관리자 | 2025.05.31 | 조회 3510
관리자 2025.05.31 3510
1404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1] ‘통일은 먼 이야기지만, 평화는 그렇지 않습니다'
관리자 | 2025.05.25 | 조회 3229
관리자 2025.05.25 3229
1403
[연대]북민협∙민화협∙시민평화포럼과 더불어민주당 선대위가 서명한 정책협약서(전문)
관리자 | 2025.05.22 | 조회 1936
관리자 2025.05.22 1936
1402
[연대]북민협∙민화협∙시민평화포럼, 더불어민주당 선대위와 정책협약 체결
관리자 | 2025.05.22 | 조회 1732
관리자 2025.05.22 1732
1401
[연대]차기 정부에 전달하는 남북관계와 평화통일분야 정책제안 토론회
관리자 | 2025.05.22 | 조회 1933
관리자 2025.05.22 1933
1400
[연대]<초대합니다> 남북관계 및 평화통일분야 정책토론회 - 차기 정부에 바란다!
관리자 | 2025.05.16 | 조회 3678
관리자 2025.05.16 3678
1399
[연대]6.6 모이자 임진각으로! - DMZ순례단과 함께하는 한반도 평화대회
관리자 | 2025.05.15 | 조회 5091
관리자 2025.05.15 5091
1398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4) <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를 준비하는 마음가짐
관리자 | 2025.05.12 | 조회 4495
관리자 2025.05.12 4495
1397
[함께읽기]'아이들은 어떻게 평화를 배우지?' - 계수초 선생님의 평화축구 수업후기
관리자 | 2025.04.28 | 조회 6488
관리자 2025.04.28 6488
1396
[함께읽기]'아일랜드 청년이 바라본 한반도와 그 너머의 평화'
관리자 | 2025.04.22 | 조회 6891
관리자 2025.04.22 6891
1395
[알림]'평화, 미래를 만나다' - 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참가자를 모집합니다!
관리자 | 2025.04.22 | 조회 8514
관리자 2025.04.22 8514
1394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3) 예측 불가능이 희망의 근거
관리자 | 2025.04.21 | 조회 6820
관리자 2025.04.21 6820
1393
[알림]2024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 실적 명세서
관리자 | 2025.04.14 | 조회 3748
관리자 2025.04.14 3748
1392
[알림]2024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사업보고서 발간
관리자 | 2025.04.07 | 조회 6533
관리자 2025.04.07 6533
1391
[알림]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성명서 - 윤석열 파면은 주권자 시민의 승리
관리자 | 2025.04.04 | 조회 7187
관리자 2025.04.04 7187
1390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2) 해방 80년의 남북관계, 어떻게 풀어나갈 것인가?
관리자 | 2025.03.26 | 조회 9306
관리자 2025.03.26 9306
1389
“아버지의 이야기이자 딸 지형의 성장기” - '유령의 시간' 작가와 함께 한 북 콘서트
관리자 | 2025.03.20 | 조회 3843
관리자 2025.03.20 38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