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공지

결국엔 평화밖에 답이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댄 가즌입니다.

[캠페인]
작성자/Author
관리자
작성일/Date
2024-07-25 09:42
조회/Views
15991
안녕하세요,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전문위원 댄 가즌이라고 합니다. 저는 20대 초반, 영국에서 대학을 졸업한 지 1년 만에 한국에 왔습니다. 사회생활 경험의 대부분인 지난 15년을 한국에서 보냈고, 이제 한국은 제가 정말 사랑하는 곳이 되었습니다. 그 15년 중 13년 동안 저는 여러 형태로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과 연결되어 활동했습니다. 인턴을 시작으로, 자원봉사자, 평화 축구 코치, 후원자, 그리고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상근 활동가로도 함께 했습니다. 짧지 않은 시간,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에서 얻은 뜻깊은 인상과 소중한 배움에 대해 여러분께 소개하고 싶습니다.

(사진) 북중 접경 지역에서 찍은 사진, 댄 가즌 본인 제공

저는 한국에 오기 전에 대학에서 평화학을 전공했습니다. 풀기 어려운 갈등 속에서 ‘우리’와 ‘그들’을 분리하는 서사가 세대를 거쳐 수십 년 동안 어떻게 이어져 내려오는지 이해하고 싶었습니다. 그 당시에는 한반도에 대해서 전혀 알지 못했습니다. 한국에 와서야 반공 교육이라든가 ‘빨갱이 콤플렉스’ 같은 국민에 대한 극단적인 국가 폭력의 역사에 대해 배울 수 있었습니다. 한국 민중이 그러한 서사를 극복하고 민주주의를 구축했다는 사실은 저에게 정말 큰 영감을 주었습니다. 한국 시민사회의 현대사는 매우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인상 깊었던 것은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과 같은 민간 단체들의 활동입니다. 그들은 갈등의 분열을 넘어 상대에게 다가가고, ‘그들도 우리와 같은 사람’이며 악마가 아니라는 것을 알리기 위해 투쟁하고, 한반도의 미래에 전쟁이 아닌 다른 비전을 제시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이들의 역할은 굉장히 중요합니다. 1990년대 한국에서 북한에 대한 관점을 바꾸고 남과 북이 함께 할 수 있다는 새로운 시각을 만들어낸 것은 정부가 아니었습니다. 도움이 필요한 북한 동포들을 돕고자 전국적인 운동을 만들어 모든 대한민국 국민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한 것도 정부가 아니었습니다. 차이를 인정하고 북한 주민들을 존중하며 여러 사업 현장에서 그들과 협력한 것도 정부가 아니었습니다. 물론 정부만 할 수 있는 일도 있습니다. 하지만 평화를 위해서 시민단체만이 할 수 있고, 또 꼭 해야 하는 중요한 일도 있으며 이를 잊어서는 안 됩니다. 평화를 만드는 길고 긴 과정에 시민단체가 참여하지 않는다면, 문제가 발생했을 때 그간 이어왔던 평화 구축 과정이 바로 무너지고 맙니다.

남북 관계가 경색된 지금이야말로, 그 어느 때보다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의 활약이 필요한 시기입니다. 군사적 긴장이 발생할 때마다 저는 긴장이 급격히 고조될 경우 어떤 일이 벌어질지 걱정합니다. 핵무기 사용은 상상할 수 없는 끔찍한 결과를 가져올 것입니다. 그런데 왜 우리는 미사일 발사 버튼에 손가락을 대고 있는 군인들의 변덕에 인질이 되어야만 할까요? 결국엔 평화밖에 답이 없습니다.

(사진) 어린이 평화축구교실을 진행 중인 댄 가즌

남북 갈등의 장기화, 과거 정부가 추진한 평화 프로세스의 실패와 그에 따른 실망, 사회에 퍼진 갈등의 부정적 영향과 그에 대한 적응. 최근의 이러한 문제들은 시민들로 하여금 ‘삶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려면 남북 관계에 대해 둔감해야 한다’고 생각하게 만드는 것 같습니다. 정부는 강경하고 야당은 관심이 적고 젊은이들은 무관심한 지금, 일반 시민과 국내외의 여러 단체, 다양한 전문가들을 연결하여 한반도 긴장에 대해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고 평화를 옹호하는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는 시점입니다. 이제까지의 성과를 보호하고 앞으로의 활동을 보장할 수 있도록 더 많은 응원과 지원이 필요합니다.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사무처의 추진력에 대해서도 여러분께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사무처는 규모가 그리 크지 않습니다. 하지만 그들보다 몇 배 더 거대한 조직만큼이나 큰 사업을 완성도 높게 만들어냅니다. 일례로, 평화 축구 프로그램은 2015년부터 대규모의 평화 축구 코치 트레이닝을 진행해 왔는데요. 영국에서 온 교육자들과 한국 각지에서 온 참가자, 그리고 100여 명의 어린이들을 완벽하게 조직해 한국에서 새로운 형태의 평화 교육을 위한 토대를 구축했습니다. 당시 저는 평창 올림픽 조직위원회에서 일했기 때문에 큰 행사를 준비하는 것을 몇 번 봤습니다만,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은 단 서너 명의 활동가로 모든 것을 해냈다는 것에 놀라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또, 거의 매년 개최되었던 대북협력(대북지원) 국제회의도 마찬가지입니다. 세계 각지의 국제기구, 민간 단체, 정부 기관 등 북한 관련 최고 전문가들을 한자리에 모은 덕분에 한국·유럽·북미 간 상호 이해를 증진하고 함께 전략을 만들 수 있었습니다. 어쩌면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은 작은 나라의 작은 조직일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전 세계에서 매년 이런 모임을 만드는 유일한 곳이며, 마치 시계처럼 완벽하게 운영합니다. 정책토론회, 헌 교과서 수거, 후원의 밤, 그밖에 눈에 잘 띄지 않는 모든 사업 또한 파트너들과 섬세하게 협력하여, 효율적으로 완성도 높게 진행합니다.

저는 올해 하반기부터 한국을 떠나 다른 곳에서 지내게 되었습니다만,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에서 배운 ‘하면 된다’, ‘할 수 있다’는 정신은 평생 가져갈 것입니다.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은 기회가 있으면 성과를 내는 단체이고 정말 열심히 일합니다. 우리는 이들이 계속 활동해 나갈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시민의 힘으로 정의롭고 건강한 한반도 평화공동체’를 만들 수 있도록 힘을 보태주세요!

(사진) 2019년 파리에서 열린 <파리평화포럼>에 참여한 평화축구팀과 댄 가즌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을 응원하는 방법💚💌


1.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의 정기후원자 되기!

이번 캠페인을 통해 월 150만원의 정기 후원금을 확보하고자 합니다 🙂

    ① 매달 응원하는 '정기 후원' : 아래 링크를 통해 CMS, 신용카드, 카카오페이 등으로 가입

      후원 가입하러 가기 (클릭) 

    ② 우선 지금 응원하는 '일시 후원' : 아래의 계좌로 응원의 마음을 보낸다.

- 신한은행 100-018-366029 (예금주 :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 입금 후, 확인 전화를 주시면 기부금 영수증을 발급해 드립니다.

2.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의 사업에 참여하기!

정책 포럼과 토론회, 평양탐구학교, 평화축구 등 우리민족에서 진행하는 사업에 함께해 주세요.

3.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의 존재와 그 활동을 널리 알리기!

여러분이 바로 우리민족 홍보대사! 이런 활동을 하는 단체가 있다는 것을 적극적으로 알려주세요.


<2024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후원 캠페인>은 다섯 번의 메일로 진행됩니다.

① ‘적대’를 ‘화해’로! 우리의 목표입니다 – 2024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후원 캠페인을 시작하며

② 안녕하세요, 우리민족 후원자 이정식입니다.

③ 우리의 연대는 더욱 튼튼해져야 합니다 - 우리민족 후원자 최세문입니다.

④ 결국엔 평화밖에 답이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댄 가즌입니다.
전체 1,388
번호/No 제목/Title 작성자/Author 작성일/Date 조회/Views
공지사항
[알림]<참여신청> 제81회 정책포럼 - '유령의 시간' 김이정 작가와 함께하는 북콘서트
관리자 | 2025.03.04 | 조회 3048
관리자 2025.03.04 3048
공지사항
[캠페인]한반도 평화행동,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서한 발송
관리자 | 2025.02.21 | 조회 3517
관리자 2025.02.21 3517
공지사항
[스토리]학생들이 기부한 헌 교과서, 한민족어린이를 위한 사업기금이 되었습니다
관리자 | 2025.02.20 | 조회 3514
관리자 2025.02.20 3514
1385
[함께읽기]우크라이나에 살고 있는 무국적 고려인들의 안타까운 현실을 전합니다.
관리자 | 2025.03.03 | 조회 1175
관리자 2025.03.03 1175
1384
[스토리]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20기 첫 공동대표 회의가 열렸습니다
관리자 | 2025.02.28 | 조회 1484
관리자 2025.02.28 1484
1383
[연대]트럼프 대통령에게 보낸 미국 평화 단체 연합의 서한
관리자 | 2025.02.05 | 조회 4282
관리자 2025.02.05 4282
1382
[스토리]알리나 멘샤코바의 김치 담그기 체험, 그 특별한 순간
관리자 | 2025.01.22 | 조회 2378
관리자 2025.01.22 2378
1381
[함께읽기]2025년, 북은 어떤 신년 메시지를 내놓았을까요? - 신년 토론회 후기
관리자 | 2025.01.06 | 조회 8802
관리자 2025.01.06 8802
1380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1) 공멸의 경쟁으로부터 전환하기 - 공동안보
관리자 | 2025.01.03 | 조회 9056
관리자 2025.01.03 9056
1379
[스토리]전쟁의 비극, 고려인 가족의 부서진 집과 끝나지 않는 피난 생활
관리자 | 2024.12.24 | 조회 4115
관리자 2024.12.24 4115
1378
[연대]동북아의 여성 평화활동가들, 더 나은 미래를 꿈꾸다!
관리자 | 2024.12.19 | 조회 2687
관리자 2024.12.19 2687
1377
[알림]위난에 처한 재외동포 지원방안 모색 토론회 후기
관리자 | 2024.12.19 | 조회 3797
관리자 2024.12.19 3797
1376
[알림]위난에 처한 재외동포 지원방안 모색 토론회를 개최합니다.
관리자 | 2024.12.16 | 조회 5808
관리자 2024.12.16 5808
1375
[알림]2025년 북 신년 메시지 분석과 정세 전망 토론회
관리자 | 2024.12.11 | 조회 8217
관리자 2024.12.11 8217
1374
[알림]2024년 기부금영수증 발급 안내
관리자 | 2024.12.10 | 조회 9652
관리자 2024.12.10 9652
1373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0) 비상계엄과 민주주의, 그리고 평화
관리자 | 2024.12.09 | 조회 7136
관리자 2024.12.09 7136
1372
[알림]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성명서 - 한반도 평화는 굳건한 민주주의에서 시작된다
관리자 | 2024.12.04 | 조회 7522
관리자 2024.12.04 7522
1371
[스토리]홍옥사나의 한국어 이야기_우연이라는 문
관리자 | 2024.11.25 | 조회 4262
관리자 2024.11.25 4262
1370
[스토리]평양개성탐구학교 답사 기행... 교동 무학리 은행나무 이야기
관리자 | 2024.11.25 | 조회 4051
관리자 2024.11.25 4051
1369
[알림]경기도무용단 <세종> 공연에 우리민족 회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관리자 | 2024.11.19 | 조회 7651
관리자 2024.11.19 7651
1368
[스토리]우크라이나에는 ‘고려 샐러드’를 모르는 사람이 없습니다
관리자 | 2024.11.18 | 조회 4186
관리자 2024.11.18 4186
1367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9) 격변을 예고하는 ‘트럼프시즌 2’, ‘우리 민족’은 어디로
관리자 | 2024.11.15 | 조회 9398
관리자 2024.11.15 9398
1366
[캠페인][한반도 평화행동-기자회견]전쟁 프로세스를 평화 프로세스로!
관리자 | 2024.11.12 | 조회 9310
관리자 2024.11.12 9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