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공지

“군비통제(arms control)” 논의를 두려워하지 말라 - 제77회 평화나눔 정책포럼

[스토리]
작성자/Author
관리자
작성일/Date
2023-08-30 15:40
조회/Views
6140
“군비통제(Arms control)” 논의를 두려워하지 말라 - 제77회 평화나눔 정책포럼 

8월 29일 화요일 저녁, 제77회 평화나눔 정책포럼이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회의실에서 열렸습니다. 김성경 평화나눔센터 소장(북한대학원대 교수)의 사회로 진행된 이번 포럼에서는 이정철 서울대 교수가 발제를 맡고, 김태경 국회미래연구원 박사와 손종도 사무국장이 지정 토론자로 함께 했습니다.

이정철 교수는 지난 7월 김여정 부부장의 “대한민국” 발언으로 발표를 시작했습니다. 이 교수는 이것을 북이 이제 ‘두 개의 코리아’ 정책으로 나아가겠다는 것인지, 단순히 남측에 대한 강한 반감의 표시인지 확언할 수 없지만, “이제 남측에 대해 모든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로 읽힐 수 있다며 우려했습니다. 이어, 글로벌 공공재의 부족과 비용 분담 요구 증대, 전쟁 가능한 국제 체제의 현실화, 북한 붕괴론의 붕괴와 정보실패, 미국의 인-태 및 동아시아집단방어체제 구축, 미국의 전략 구축을 위한 한일 정권에 대한 지지라는 글로벌 정책 환경을 소개 했습니다. 이렇듯 변화된 국제 환경으로 인해 안보 위기감이 증대되며 한미일 군사동맹이 가시화되고 있으나, 균형감을 잊어서는 안된다고 이정철 교수는 얘기합니다. 그러면서 이제는 군비통제(arms control)에 대한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디. 우리 사회에서는 아직까지도 군비통제를 이야기하면 ‘북핵을 용인한다는 것이냐’며 반감을 드러내는 이들이 많습니다. 그러나 이 교수는 군비통제를 (군비통제의 작은 일부인) 핵군축으로만 접근하는 프레임을 깨야 한다면서 군비통제 입구론 – 비핵화 출구론을 제시했습니다.

이어진 토론에서 김태경 박사는 우리 사회는 군사 부문에 치중한 미국의 인태전략에 익숙하지만, 사실 유럽 및 여타 국가들의 인태전략은 경제협력, 통합안보, 재난과 위기 대응 등 매우 다양한 비군사적 부문을 비중있게 다룬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그리고 손종도 국장은 ‘외교’는 ‘소프트 옵션(soft option)’이지만 ‘올바른 선택지’라고 한 영국 헤이즐 스미스 교수의 주장을 소개하며, 현재의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대화와 외교의 길을 열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고 얘기했습니다.

마무리 발언을 통해 이정철 교수는 ‘군비통제’ 논의, ‘(구체적인) 평화경제’ 전략, 그리고 ‘다자주의’ 접근법을 통해 한반도 평화구축의 길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무엇 하나 쉽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시민사회단체, 학계, 정부, 그리고 일반 시민들이 함께 논의를 본격화하며 구체적인 평화 로드맵을 그려나가야 합니다. 그렇게 70년 이상 이어진 분단과 정전을 평화로 돌리는 일을 시작해야 합니다.

 
전체 1,410
번호/No 제목/Title 작성자/Author 작성일/Date 조회/Views
공지사항
New [알림] [제82차 평화나눔 정책포럼] 새로운 남북관계 - 정부와 시민사회, 무엇을 해야 하나?
관리자 | 2025.06.13 | 조회 711
관리자 2025.06.13 711
공지사항
[캠페인]‘적대를 멈추고 평화로!’ - DMZ 생명평화걷기, 그리고 평화대회
관리자 | 2025.06.10 | 조회 1948
관리자 2025.06.10 1948
공지사항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3] 다양한 모습으로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분단’
관리자 | 2025.06.09 | 조회 1917
관리자 2025.06.09 1917
공지사항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2] ‘우리는 적대와 혐오, 편견을 넘을 수 있을까?’
관리자 | 2025.05.31 | 조회 2311
관리자 2025.05.31 2311
공지사항
[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5) "남북관계는 끝난 걸까?"
관리자 | 2025.05.31 | 조회 2324
관리자 2025.05.31 2324
공지사항
[알림]우리민족, ‘민간 남북협력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보고서 발간
관리자 | 2025.05.27 | 조회 2283
관리자 2025.05.27 2283
1344
[스토리]정책포럼 후기 - '기후위기의 시대, 협력은 생존을 위한 필수조건입니다'
관리자 | 2024.08.27 | 조회 8028
관리자 2024.08.27 8028
1343
[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5) 우리가 다시 하나 되려면 - 박문수
관리자 | 2024.08.26 | 조회 4926
관리자 2024.08.26 4926
1342
[스토리]우크라이나 고려인 848가구에 1차 생필품 지원 마무리
관리자 | 2024.08.22 | 조회 7616
관리자 2024.08.22 7616
1341
[알림][사전등록중] 기후변화 시대, 2024 북한 수재와 향후 재난 공동대응의 방향은? - 제80회 평화나눔 정책포럼
관리자 | 2024.08.13 | 조회 18054
관리자 2024.08.13 18054
1340
[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4) ‘법제’라는 발판 또는 장벽 - 함보현
관리자 | 2024.08.05 | 조회 7294
관리자 2024.08.05 7294
1339
[함께읽기]<한겨레21> 인터뷰 '오물풍선 시대, 말라리아 공동방역의 추억'
관리자 | 2024.08.05 | 조회 8372
관리자 2024.08.05 8372
1338
[알림]<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성명서> 정부의 대북 수해지원 제안을 환영한다!
관리자 | 2024.08.02 | 조회 23214
관리자 2024.08.02 23214
1337
[알림]2024 나눔문화 프로젝트 '한국문화 다리놓기 프로젝트'에 많은 참여 기대합니다!
관리자 | 2024.07.31 | 조회 10759
관리자 2024.07.31 10759
1336
[연대]7.27 평화대회 – 다시 평화를 이야기하다!
관리자 | 2024.07.29 | 조회 7128
관리자 2024.07.29 7128
1335
[캠페인]결국엔 평화밖에 답이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댄 가즌입니다.
관리자 | 2024.07.25 | 조회 18317
관리자 2024.07.25 18317
1334
[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3) 안보불안과 민족화해 - 백장현
관리자 | 2024.07.11 | 조회 8358
관리자 2024.07.11 8358
1333
[캠페인]우리의 연대는 더욱 튼튼해져야 합니다 - 우리민족 후원자 최세문 입니다.
관리자 | 2024.07.10 | 조회 18391
관리자 2024.07.10 18391
1332
[스토리]우크라이나 고려인 800여 가구에 생필품 지원 … 향후 두 차례 더 지원 계획
관리자 | 2024.07.10 | 조회 10912
관리자 2024.07.10 10912
1331
[연대]7.27 한반도 평화 행동의 날, 임진각에서 만나요~
관리자 | 2024.07.09 | 조회 16181
관리자 2024.07.09 16181
1330
[캠페인]안녕하세요, 우리민족 후원자 이정식입니다.
관리자 | 2024.06.27 | 조회 19392
관리자 2024.06.27 19392
1329
[스토리]정책포럼 후기 - 한반도 평화의 초석을 놓는 22대 국회를 기대하며
관리자 | 2024.06.26 | 조회 10452
관리자 2024.06.26 10452
1328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2) 전쟁을 넘어 평화로
관리자 | 2024.06.25 | 조회 6605
관리자 2024.06.25 6605
1327
[알림]제79회 정책포럼(6.24) - 유튜브 링크입니다
관리자 | 2024.06.24 | 조회 10173
관리자 2024.06.24 10173
1326
[알림][마감] 안중근의 길 역사기행 참가자 모집
관리자 | 2024.06.24 | 조회 8197
관리자 2024.06.24 8197
1325
[스토리]기후변화 대응 몽골 현장 방문 … 북과의 다자 협력 가능성 모색
관리자 | 2024.06.19 | 조회 7599
관리자 2024.06.19 75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