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공지

“군비통제(arms control)” 논의를 두려워하지 말라 - 제77회 평화나눔 정책포럼

[스토리]
작성자/Author
관리자
작성일/Date
2023-08-30 15:40
조회/Views
6236
“군비통제(Arms control)” 논의를 두려워하지 말라 - 제77회 평화나눔 정책포럼 

8월 29일 화요일 저녁, 제77회 평화나눔 정책포럼이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회의실에서 열렸습니다. 김성경 평화나눔센터 소장(북한대학원대 교수)의 사회로 진행된 이번 포럼에서는 이정철 서울대 교수가 발제를 맡고, 김태경 국회미래연구원 박사와 손종도 사무국장이 지정 토론자로 함께 했습니다.

이정철 교수는 지난 7월 김여정 부부장의 “대한민국” 발언으로 발표를 시작했습니다. 이 교수는 이것을 북이 이제 ‘두 개의 코리아’ 정책으로 나아가겠다는 것인지, 단순히 남측에 대한 강한 반감의 표시인지 확언할 수 없지만, “이제 남측에 대해 모든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로 읽힐 수 있다며 우려했습니다. 이어, 글로벌 공공재의 부족과 비용 분담 요구 증대, 전쟁 가능한 국제 체제의 현실화, 북한 붕괴론의 붕괴와 정보실패, 미국의 인-태 및 동아시아집단방어체제 구축, 미국의 전략 구축을 위한 한일 정권에 대한 지지라는 글로벌 정책 환경을 소개 했습니다. 이렇듯 변화된 국제 환경으로 인해 안보 위기감이 증대되며 한미일 군사동맹이 가시화되고 있으나, 균형감을 잊어서는 안된다고 이정철 교수는 얘기합니다. 그러면서 이제는 군비통제(arms control)에 대한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디. 우리 사회에서는 아직까지도 군비통제를 이야기하면 ‘북핵을 용인한다는 것이냐’며 반감을 드러내는 이들이 많습니다. 그러나 이 교수는 군비통제를 (군비통제의 작은 일부인) 핵군축으로만 접근하는 프레임을 깨야 한다면서 군비통제 입구론 – 비핵화 출구론을 제시했습니다.

이어진 토론에서 김태경 박사는 우리 사회는 군사 부문에 치중한 미국의 인태전략에 익숙하지만, 사실 유럽 및 여타 국가들의 인태전략은 경제협력, 통합안보, 재난과 위기 대응 등 매우 다양한 비군사적 부문을 비중있게 다룬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그리고 손종도 국장은 ‘외교’는 ‘소프트 옵션(soft option)’이지만 ‘올바른 선택지’라고 한 영국 헤이즐 스미스 교수의 주장을 소개하며, 현재의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대화와 외교의 길을 열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고 얘기했습니다.

마무리 발언을 통해 이정철 교수는 ‘군비통제’ 논의, ‘(구체적인) 평화경제’ 전략, 그리고 ‘다자주의’ 접근법을 통해 한반도 평화구축의 길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무엇 하나 쉽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시민사회단체, 학계, 정부, 그리고 일반 시민들이 함께 논의를 본격화하며 구체적인 평화 로드맵을 그려나가야 합니다. 그렇게 70년 이상 이어진 분단과 정전을 평화로 돌리는 일을 시작해야 합니다.

 
전체 1,414
번호/No 제목/Title 작성자/Author 작성일/Date 조회/Views
공지사항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4] '전쟁'이 사라진다면 '평화'가 올까
관리자 | 2025.06.30 | 조회 1534
관리자 2025.06.30 1534
공지사항
[스토리]‘새로운 남북관계, 적대 해소를 위한 노력에서부터’ -82차 정책포럼을 마치고
관리자 | 2025.06.27 | 조회 1582
관리자 2025.06.27 1582
공지사항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6) 평화, 가까운 미래에도 충분히 실현 가능하다
관리자 | 2025.06.23 | 조회 2390
관리자 2025.06.23 2390
공지사항
[알림] [제82차 평화나눔 정책포럼] 새로운 남북관계 - 정부와 시민사회, 무엇을 해야 하나?
관리자 | 2025.06.13 | 조회 3242
관리자 2025.06.13 3242
공지사항
[캠페인]‘적대를 멈추고 평화로!’ - DMZ 생명평화걷기, 그리고 평화대회
관리자 | 2025.06.10 | 조회 3273
관리자 2025.06.10 3273
공지사항
[알림]우리민족, ‘민간 남북협력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보고서 발간
관리자 | 2025.05.27 | 조회 3810
관리자 2025.05.27 3810
1348
[연대]8.15 통일 독트린 평가 토론회 – ‘적대의 완화’가 가장 중요하다
관리자 | 2024.09.13 | 조회 6004
관리자 2024.09.13 6004
1347
[스토리]중앙아시아 고려인에게 한글도서와 한복 등 발송
관리자 | 2024.09.03 | 조회 7534
관리자 2024.09.03 7534
1346
[알림][국회-시민사회 토론회]윤석열 정부의 8.15 통일 독트린, 어떻게 볼 것인가
관리자 | 2024.09.03 | 조회 8528
관리자 2024.09.03 8528
1345
[알림]개성탐구학교 입학생 모집 (30명 선착순 모집!)
관리자 | 2024.08.28 | 조회 16895
관리자 2024.08.28 16895
1344
[스토리]정책포럼 후기 - '기후위기의 시대, 협력은 생존을 위한 필수조건입니다'
관리자 | 2024.08.27 | 조회 8295
관리자 2024.08.27 8295
1343
[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5) 우리가 다시 하나 되려면 - 박문수
관리자 | 2024.08.26 | 조회 5175
관리자 2024.08.26 5175
1342
[스토리]우크라이나 고려인 848가구에 1차 생필품 지원 마무리
관리자 | 2024.08.22 | 조회 7917
관리자 2024.08.22 7917
1341
[알림][사전등록중] 기후변화 시대, 2024 북한 수재와 향후 재난 공동대응의 방향은? - 제80회 평화나눔 정책포럼
관리자 | 2024.08.13 | 조회 18526
관리자 2024.08.13 18526
1340
[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4) ‘법제’라는 발판 또는 장벽 - 함보현
관리자 | 2024.08.05 | 조회 7537
관리자 2024.08.05 7537
1339
[함께읽기]<한겨레21> 인터뷰 '오물풍선 시대, 말라리아 공동방역의 추억'
관리자 | 2024.08.05 | 조회 8657
관리자 2024.08.05 8657
1338
[알림]<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성명서> 정부의 대북 수해지원 제안을 환영한다!
관리자 | 2024.08.02 | 조회 23706
관리자 2024.08.02 23706
1337
[알림]2024 나눔문화 프로젝트 '한국문화 다리놓기 프로젝트'에 많은 참여 기대합니다!
관리자 | 2024.07.31 | 조회 11052
관리자 2024.07.31 11052
1336
[연대]7.27 평화대회 – 다시 평화를 이야기하다!
관리자 | 2024.07.29 | 조회 7385
관리자 2024.07.29 7385
1335
[캠페인]결국엔 평화밖에 답이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댄 가즌입니다.
관리자 | 2024.07.25 | 조회 18740
관리자 2024.07.25 18740
1334
[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3) 안보불안과 민족화해 - 백장현
관리자 | 2024.07.11 | 조회 8596
관리자 2024.07.11 8596
1333
[캠페인]우리의 연대는 더욱 튼튼해져야 합니다 - 우리민족 후원자 최세문 입니다.
관리자 | 2024.07.10 | 조회 18816
관리자 2024.07.10 18816
1332
[스토리]우크라이나 고려인 800여 가구에 생필품 지원 … 향후 두 차례 더 지원 계획
관리자 | 2024.07.10 | 조회 11162
관리자 2024.07.10 11162
1331
[연대]7.27 한반도 평화 행동의 날, 임진각에서 만나요~
관리자 | 2024.07.09 | 조회 16513
관리자 2024.07.09 16513
1330
[캠페인]안녕하세요, 우리민족 후원자 이정식입니다.
관리자 | 2024.06.27 | 조회 19765
관리자 2024.06.27 19765
1329
[스토리]정책포럼 후기 - 한반도 평화의 초석을 놓는 22대 국회를 기대하며
관리자 | 2024.06.26 | 조회 10673
관리자 2024.06.26 106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