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공지

리빌딩(Rebuilding) 포럼, ‘희망 재건’을 위해 모이다

[연대]
작성자/Author
관리자
작성일/Date
2024-05-17 11:32
조회/Views
6308
리빌딩(Rebuilding) 포럼, ‘희망 재건’을 위해 모이다

지난 5월 14일 오후, 홍대에 위치한 청년문화공간 JU 카페에서 평화활동가와 연구자 40여명이 <남북관계와 한반도 평화를 위한 리빌딩 포럼>의 첫 워크숍에 참가하기 위해 모였습니다. <무너진 남북관계와 위기의 한반도, 어떻게 보고 무엇을 할 것인가>라는 타이틀로 진행된 이번 워크샵은 장장 4시간 동안 이어졌습니다.

리빌딩 포럼은 시민평화포럼과 한겨레통일문화재단이 함께 추진하는 모임입니다. 이 포럼은 무너진 남북관계와 위태로운 한반도의 상황에 절망만 할 것이 아니라, 연대의 힘으로 ‘다시 희망을 세우자’는 취지로 시작됐습니다. 이를 위해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김성경 평화나눔센터 소장(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과 홍상영 사무총장을 비롯해 10여명의 기획단이 꾸려진 후, 몇 차례의 회의를 거쳐 이번 워크숍이 열렸습니다.

워크숍은 참석자들이 서로를 알아가는 아이스브레이킹으로 시작하여, 정욱식 한겨레평화연구소 소장의 포럼 제안 취지를 설명하는 시간으로 이어졌습니다. 정 소장은 현재의 암울한 상황 속에서 희망의 출발점은 사람이고 우정이라고 강조합니다. 그러면서 뜻을 같이 하는 이들이 서로의 경험과 지혜를 공유하며 ‘희망을 재건’하자고 얘기했습니다.

정 소장의 발표 이후, 워크숍의 하이라이트인 소그룹 토론이 진행됐습니다. 참여자들은 총 4개 그룹으로 나뉘어 1) 무너진 남북관계와 한반도 위기의 원인과 배경 2) 남북관계 재설정과 한반도 평화의 희망을 되살리기 위한 실천방안에 대해 토론했습니다. 정말 다양한 의견들이 제시됐습니다. 무너진 남북관계와 한반도 위기의 원인에 대해서는 많은 이들이 남북 간의 신뢰 부재, 한반도 평화에 대한 우리 사회 무관심, 정부와 시민사회의 역량 부족, 두 체재의 이질성 등을 꼽았습니다. 더불어 현재 동북아를 둘러싼 신냉전과 같은 국제 정세, 북측의 안보우려에 대한 무시, 남남갈등도 함께 언급됐습니다.

그렇다면 현재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우선 남쪽 사회에서 평화와 통일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데 모두가 공감했으며, 이를 위해 시민사회의 역량이 강화돼야 한다는 의견도 함께 제시됐습니다. 또한 ‘평화 우선’, ‘무력 배제’, ‘상호 인정’의 원칙 속에서 현재의 군사적 긴장을 완화하기 위한 남북 간, 국내적, 국제적 옹호활동에 힘을 모아야 한다는 의견이 우세했습니다. 더불어, 다수의 참석자들은 남북 간, 북한과 국제사회 간 접촉면을 확대하며 신뢰의 기반을 만들어 가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한반도 위기의 원인을 설명하는 많은 포스트잇 가운데 하나가 눈에 들어옵니다.
“악플보다 무플이 더 위험하다”.
그 어느 때보다 우발충돌의 위기는 고조되는데 사회적 무관심은 더욱 심화되는 상황속에서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을 비롯한 시민사회가 집중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다시금 고민하게 합니다.

전체 1,416
번호/No 제목/Title 작성자/Author 작성일/Date 조회/Views
공지사항
[알림]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주한 외국 대사관-시민사회 간담회 개최
관리자 | 2025.07.10 | 조회 1255
관리자 2025.07.10 1255
공지사항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5] “청년의 자리에서, 평화를 말하다”
관리자 | 2025.07.07 | 조회 2260
관리자 2025.07.07 2260
공지사항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4] '전쟁'이 사라진다면 '평화'가 올까
관리자 | 2025.06.30 | 조회 3470
관리자 2025.06.30 3470
공지사항
[스토리]‘새로운 남북관계, 적대 해소를 위한 노력에서부터’ -82차 정책포럼을 마치고
관리자 | 2025.06.27 | 조회 3162
관리자 2025.06.27 3162
공지사항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6) 평화, 가까운 미래에도 충분히 실현 가능하다
관리자 | 2025.06.23 | 조회 3834
관리자 2025.06.23 3834
공지사항
[알림]우리민족, ‘민간 남북협력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보고서 발간
관리자 | 2025.05.27 | 조회 5074
관리자 2025.05.27 5074
1390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2) 해방 80년의 남북관계, 어떻게 풀어나갈 것인가?
관리자 | 2025.03.26 | 조회 9442
관리자 2025.03.26 9442
1389
“아버지의 이야기이자 딸 지형의 성장기” - '유령의 시간' 작가와 함께 한 북 콘서트
관리자 | 2025.03.20 | 조회 3914
관리자 2025.03.20 3914
1388
[알림]<참여신청> 제81회 정책포럼 - '유령의 시간' 김이정 작가와 함께하는 북콘서트
관리자 | 2025.03.04 | 조회 9566
관리자 2025.03.04 9566
1387
[함께읽기]우크라이나에 살고 있는 무국적 고려인들의 안타까운 현실을 전합니다.
관리자 | 2025.03.03 | 조회 4128
관리자 2025.03.03 4128
1386
[스토리]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20기 첫 공동대표 회의가 열렸습니다
관리자 | 2025.02.28 | 조회 4677
관리자 2025.02.28 4677
1385
[캠페인]한반도 평화행동,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서한 발송
관리자 | 2025.02.21 | 조회 10492
관리자 2025.02.21 10492
1384
[스토리]학생들이 기부한 헌 교과서, 한민족어린이를 위한 사업기금이 되었습니다
관리자 | 2025.02.20 | 조회 9721
관리자 2025.02.20 9721
1383
[연대]트럼프 대통령에게 보낸 미국 평화 단체 연합의 서한
관리자 | 2025.02.05 | 조회 9385
관리자 2025.02.05 9385
1382
[스토리]알리나 멘샤코바의 김치 담그기 체험, 그 특별한 순간
관리자 | 2025.01.22 | 조회 5217
관리자 2025.01.22 5217
1381
[함께읽기]2025년, 북은 어떤 신년 메시지를 내놓았을까요? - 신년 토론회 후기
관리자 | 2025.01.06 | 조회 11986
관리자 2025.01.06 11986
1380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1) 공멸의 경쟁으로부터 전환하기 - 공동안보
관리자 | 2025.01.03 | 조회 11951
관리자 2025.01.03 11951
1379
[스토리]전쟁의 비극, 고려인 가족의 부서진 집과 끝나지 않는 피난 생활
관리자 | 2024.12.24 | 조회 6501
관리자 2024.12.24 6501
1378
[연대]동북아의 여성 평화활동가들, 더 나은 미래를 꿈꾸다!
관리자 | 2024.12.19 | 조회 4285
관리자 2024.12.19 4285
1377
[알림]위난에 처한 재외동포 지원방안 모색 토론회 후기
관리자 | 2024.12.19 | 조회 5773
관리자 2024.12.19 5773
1376
[알림]위난에 처한 재외동포 지원방안 모색 토론회를 개최합니다.
관리자 | 2024.12.16 | 조회 7956
관리자 2024.12.16 7956
1375
[알림]2025년 북 신년 메시지 분석과 정세 전망 토론회
관리자 | 2024.12.11 | 조회 10837
관리자 2024.12.11 10837
1374
[알림]2024년 기부금영수증 발급 안내
관리자 | 2024.12.10 | 조회 12680
관리자 2024.12.10 12680
1373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0) 비상계엄과 민주주의, 그리고 평화
관리자 | 2024.12.09 | 조회 9497
관리자 2024.12.09 9497
1372
[알림]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성명서 - 한반도 평화는 굳건한 민주주의에서 시작된다
관리자 | 2024.12.04 | 조회 9553
관리자 2024.12.04 9553
1371
[스토리]홍옥사나의 한국어 이야기_우연이라는 문
관리자 | 2024.11.25 | 조회 5879
관리자 2024.11.25 58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