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공지

우크라이나 고려인 800여 가구에 생필품 지원 … 향후 두 차례 더 지원 계획

[스토리]
작성자/Author
관리자
작성일/Date
2024-07-10 14:24
조회/Views
11102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은 최근 러시아와의 전쟁으로 피해를 입은 고려인들에게 생필품을 전달했습니다. 전쟁 이후 현재 우크라이나 정부 영향권 아래 있는 지역에 약 3,000명의 고려인들이 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은 약 800가구, 약 2,200여 명에 생필품을 전달했습니다.

(사진) 생필품 상자를 전달받은 고려인들

2022년 2월 발발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의 전쟁은 3년째에 접어들며 그 끝을 기약할 수 없이 장기화하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현지에서 고려인 지원사업을 펼치고 있는 단체에 따르면 전쟁 이후 약 2,600명의 고려인들이 피난을 떠나 한국에 들어왔습니다. 러시아를 비롯해 주변의 다른 국가로 피난을 떠난 고려인들도 약 1,700명에 달합니다. 전쟁 이전 우크라이나 고려인들이 주로 거주하던 지역은 현재 러시아군이 장악하고 있는 헤르손주였습니다. 전쟁 이후 고려인들이 주로 거주하던 지역에서 전투가 벌어지고 러시아가 점령하면서 이들 지역에 거주하던 고려인들은 원 거주지를 떠나 우크라이나의 드니프로페트롭스크주와 수도인 키이우 주변에서 피난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의 고려인들이 겪고 있는 가장 큰 어려움은 대부분 일자리가 없는 것과 연결됩니다.
농촌에 거주하던 고려인들의 대다수가 농업에 종사하다가 전투 지역을 피해 도시 주변으로 피난하면서 일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우크라이나 고려인들의 생활은 더욱 어려워질 수밖에 없습니다. 게다가 지난 5월 말에는 특히 전기요금이 1키로와트/시 2.64흐리브나(UAH; 우크라이나 통화 단위)에서 4.32흐리브나로 64%가 인상되었습니다. 전기요금의 인상은 다른 공산품의 가격 인상으로 이어지면서 우크라이나 주민들의 생활이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세계은행(World Bank)의 최근 자료는 2024년 현재 우크라이나 빈곤층의 비율이 24.2%로 상승했으며 우크라이나 국민의 30%가 빈곤 직전에 놓여 있는 것으로 파악합니다. 그 결과 우크라이나 국민의 25%는 식품을 사는 데 돈이 부족함을 느끼고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사진) 고려인들에게 전달할 생필품 상자를 트럭에 싣는 모습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은 전쟁으로 피해를 입은 고려인들에게 지난해부터 생필품을 전달해 왔습니다. 저희가 전달하는 생필품 상자에는 쌀과 국수와 식용유, 생선과 고기류 통조림, 치약과 비누 등 일상 생활에 반드시 필요한 물품을 담았습니다. 지난해 생필품 상자를 지원받은 고려인들은 물품 중 특히 통조림 등의 식품류가 가장 큰 도움이 되었다고 전해 왔습니다.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은 2024년 올해 약 800여 고려인 가구에 총 3차례 생필품 지원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지난 6월까지 3개월간 진행한 네이버 해피빈 모금함에는 208명의 참여로 128만 8500원이 모였으며, 앞으로도 아래 계좌를 통해 우크라이나 현지 고려인을 위한 후원 모금을 이어갈 예정입니다. 전쟁으로 거주지를 떠나 타지에서 어려운 생활을 하고 있는 우크라이나 고려인들에게도 많은 관심과 후원을 부탁드립니다.

후원계좌: 신한 100-021-178356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전체 1,414
번호/No 제목/Title 작성자/Author 작성일/Date 조회/Views
공지사항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4] '전쟁'이 사라진다면 '평화'가 올까
관리자 | 2025.06.30 | 조회 524
관리자 2025.06.30 524
공지사항
[스토리]‘새로운 남북관계, 적대 해소를 위한 노력에서부터’ -82차 정책포럼을 마치고
관리자 | 2025.06.27 | 조회 1135
관리자 2025.06.27 1135
공지사항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6) 평화, 가까운 미래에도 충분히 실현 가능하다
관리자 | 2025.06.23 | 조회 2092
관리자 2025.06.23 2092
공지사항
[알림] [제82차 평화나눔 정책포럼] 새로운 남북관계 - 정부와 시민사회, 무엇을 해야 하나?
관리자 | 2025.06.13 | 조회 3034
관리자 2025.06.13 3034
공지사항
[캠페인]‘적대를 멈추고 평화로!’ - DMZ 생명평화걷기, 그리고 평화대회
관리자 | 2025.06.10 | 조회 3109
관리자 2025.06.10 3109
공지사항
[알림]우리민족, ‘민간 남북협력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보고서 발간
관리자 | 2025.05.27 | 조회 3568
관리자 2025.05.27 3568
1408
[알림][제82차 정책포럼 자료집] 새로운 남북관계 - 정부와 시민사회, 무엇을 해야 하나?
관리자 | 2025.06.26 | 조회 737
관리자 2025.06.26 737
1407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3] 다양한 모습으로 존재하는 ‘분단’
관리자 | 2025.06.09 | 조회 2893
관리자 2025.06.09 2893
1406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2] ‘우리는 적대와 혐오, 편견을 넘을 수 있을까?’
관리자 | 2025.05.31 | 조회 3036
관리자 2025.05.31 3036
1405
[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5) 남북관계는 끝난 걸까?
관리자 | 2025.05.31 | 조회 3066
관리자 2025.05.31 3066
1404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1] ‘통일은 먼 이야기지만, 평화는 그렇지 않습니다'
관리자 | 2025.05.25 | 조회 2718
관리자 2025.05.25 2718
1403
[연대]북민협∙민화협∙시민평화포럼과 더불어민주당 선대위가 서명한 정책협약서(전문)
관리자 | 2025.05.22 | 조회 1521
관리자 2025.05.22 1521
1402
[연대]북민협∙민화협∙시민평화포럼, 더불어민주당 선대위와 정책협약 체결
관리자 | 2025.05.22 | 조회 1332
관리자 2025.05.22 1332
1401
[연대]차기 정부에 전달하는 남북관계와 평화통일분야 정책제안 토론회
관리자 | 2025.05.22 | 조회 1551
관리자 2025.05.22 1551
1400
[연대]<초대합니다> 남북관계 및 평화통일분야 정책토론회 - 차기 정부에 바란다!
관리자 | 2025.05.16 | 조회 3392
관리자 2025.05.16 3392
1399
[연대]6.6 모이자 임진각으로! - DMZ순례단과 함께하는 한반도 평화대회
관리자 | 2025.05.15 | 조회 4957
관리자 2025.05.15 4957
1398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4) <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를 준비하는 마음가짐
관리자 | 2025.05.12 | 조회 4377
관리자 2025.05.12 4377
1397
[함께읽기]'아이들은 어떻게 평화를 배우지?' - 계수초 선생님의 평화축구 수업후기
관리자 | 2025.04.28 | 조회 6398
관리자 2025.04.28 6398
1396
[함께읽기]'아일랜드 청년이 바라본 한반도와 그 너머의 평화'
관리자 | 2025.04.22 | 조회 6772
관리자 2025.04.22 6772
1395
[알림]'평화, 미래를 만나다' - 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참가자를 모집합니다!
관리자 | 2025.04.22 | 조회 8439
관리자 2025.04.22 8439
1394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3) 예측 불가능이 희망의 근거
관리자 | 2025.04.21 | 조회 6775
관리자 2025.04.21 6775
1393
[알림]2024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 실적 명세서
관리자 | 2025.04.14 | 조회 3668
관리자 2025.04.14 3668
1392
[알림]2024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사업보고서 발간
관리자 | 2025.04.07 | 조회 6475
관리자 2025.04.07 6475
1391
[알림]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성명서 - 윤석열 파면은 주권자 시민의 승리
관리자 | 2025.04.04 | 조회 7093
관리자 2025.04.04 7093
1390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2) 해방 80년의 남북관계, 어떻게 풀어나갈 것인가?
관리자 | 2025.03.26 | 조회 9253
관리자 2025.03.26 9253
1389
“아버지의 이야기이자 딸 지형의 성장기” - '유령의 시간' 작가와 함께 한 북 콘서트
관리자 | 2025.03.20 | 조회 3799
관리자 2025.03.20 37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