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공지

[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1] ‘통일은 먼 이야기지만, 평화는 그렇지 않습니다'

[함께읽기]
작성자/Author
관리자
작성일/Date
2025-05-25 17:40
조회/Views
2350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과 독일 프리드리히 에버트재단은 '평화, 미래를 만나다 - 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1차 평화 대화 이후 참가자가 작성한 후기를 공유합니다 🙂



[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1]



"청년세대에게 통일은 먼 이야기지만, 평화는 그렇지 않습니다"


이준 (중앙대학교 정치국제학과 석사과정)


오늘날 많은 이들은 청년세대가 한반도 문제에 관심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의 청년세대는 한국전쟁의 포화와 냉전의 공포를 직접 느껴보지 못했고, 통일이나 민족의 개념은 이미 오래된 이야기가 되어버렸기 때문입니다. 한편 최근까지도 대학생이나 청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반도 관련 활동들은 대체로 ‘통일을 왜 해야하는가’를 중심으로 진행되었고, 민족사의 비극인 식민지배와 분단으로 인한 고통이 얼마나 큰지, 통일이 국민 전체에게 얼마만큼의 의미와 이익이 있는지 등 통일의 당위성과 편익을 중점적으로 다뤘던 경우가 대부분이었습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오늘날 우리 세대에게 통일과 민족은 관성적인 구호 이상의 의미를 갖지 못했고, 한반도 문제 역시 세대 간의 인식 차이 속에서 점차 잊혀져가는 듯 했습니다.

하지만 이번 <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1회차를 통해, ‘정말 우리 세대가 한반도 문제에 대해 관심이 없는가?’ 라는 물음을 던질 수 있었습니다. <평화 대화>에 참석한 다양한 배경의 청년들을 보면서 우리 세대가 한반도 문제에 관심이 없는 것이 아니라 지금까지 통일의 당위성이라는 전제를 벗어난 공간에서 청년들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기회가 없던 것은 아닐지 돌아 보게 되었습니다.



1회차에 진행된 프로그램 중에서 가장 인상깊었던 시간은 참가자 모두가 “북한은 나에게 어떤 존재인가” 라는 물음에 답하는 모습이었습니다. 참가자들은 북한에 대한 네 가지 인식(한 국가/다른 국가/협력대상/적대대상)이 표시된 사분면 위에서 스스로 위치를 선택해 각자 북한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공유할 수 있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같은 세대 안에서도 남북한이 하나의 나라거나 혹은 별개의 국가라는 인식이 나뉘었고, 북한이 우리의 적대대상인지 협력대상인지를 바라보는 시각도 각자 달랐습니다. 특히 기억에 남는 것은 북한을 우리와 한 나라로 생각하는 참가자들보다, 별개의 나라라고 생각하는 이들의 수가 비슷하거나 더 많다는 사실이었습니다. 기존의 교육방침에서 지배적이었던 통일론과는 달리, 청년세대가 북한을 바라보는 시각은 단순히 하나의 입장으로 설명되지 않았던 것입니다.

참가자들은 대부분 북한을 한 국가이자 통일의 대상으로 설명했던 기존의 교육과정을 거쳐왔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에 대한 시각이 이처럼 다양화된 것은 중요한 변화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통일 담론이 중심이던 기존의 시각에서 우리 세대가 얼마나 많이 이동해왔는지를 알게 된 만큼, 이에 맞는 새로운 담론의 장도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는 통일이 아니라 평화를 중심으로 했기에 청년들이 한반도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을 포용할 수 있었습니다.

"오늘날 청년세대에게 통일은 먼 이야기지만, 평화는 그렇지 않습니다"

오늘날 청년세대에게 통일은 먼 이야기지만, 평화는 그렇지 않습니다. 통일이 국가의 문제라면, 평화는 개인 실존의 문제이기도 합니다. 심지어 한반도 문제에 관심이 전혀 없는 이들에게도 평화는 가장 중요한 문제입니다. 한반도의 불안한 평화가 깨지는 순간 그 피해는 그 누구 가릴 것 없이 모두에게 가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청년세대가 한반도 문제에 갖는 의미는 더욱 큽니다. 앞으로 가장 긴 시간을 이 땅에서 살아가야 하는 입장에서 한반도의 지속적인 평화야말로 우리가 원하든 원하지 않든 간과할 수 없는 문제입니다. 청년세대가 기존의 여러 가지 사회 규범에 대해서 ‘이게 정말 맞나?’ 라고 끊임없이 되묻는 것처럼, 우리가 물려받은 한반도의 첨예한 대립 상황에 대해서도 똑같은 질문을 제기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한반도 평화는 정치권이나 기성세대의 문제가 아니라 바로 ‘우리의 문제’여야 합니다"

한반도 평화는 정치권이나 기성세대의 문제가 아니라 바로 ‘우리의 문제’여야 합니다. 청년세대가 한반도 평화에 대해 관심을 갖고 논의할수록, 그 자체로 한반도 평화는 더욱 가까워질 것입니다. 통일의 당위성을 내면화하며 자라나지 않은 세대가 남북문제에 관심을 기울인다는 것이야말로 비로소 우리 사회가 한반도 문제에 대한 충분한 해결 의지를 가지게 되었다는 신호이기 때문입니다. <평화 대화>를 통해 더욱 많은 청년들이 한반도 평화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기를 바라며, 더 나아가 앞으로는 한반도 평화 논의의 장도 청년들이 직접 주도하여 만들 수 있기를 소망합니다.

전체 1,410
번호/No 제목/Title 작성자/Author 작성일/Date 조회/Views
공지사항
[알림] [제82차 평화나눔 정책포럼] 새로운 남북관계 - 정부와 시민사회, 무엇을 해야 하나?
관리자 | 2025.06.13 | 조회 2192
관리자 2025.06.13 2192
공지사항
[캠페인]‘적대를 멈추고 평화로!’ - DMZ 생명평화걷기, 그리고 평화대회
관리자 | 2025.06.10 | 조회 2416
관리자 2025.06.10 2416
공지사항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3] 다양한 모습으로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분단’
관리자 | 2025.06.09 | 조회 2442
관리자 2025.06.09 2442
공지사항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2] ‘우리는 적대와 혐오, 편견을 넘을 수 있을까?’
관리자 | 2025.05.31 | 조회 2612
관리자 2025.05.31 2612
공지사항
[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5) "남북관계는 끝난 걸까?"
관리자 | 2025.05.31 | 조회 2620
관리자 2025.05.31 2620
공지사항
[알림]우리민족, ‘민간 남북협력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보고서 발간
관리자 | 2025.05.27 | 조회 2636
관리자 2025.05.27 2636
1404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1] ‘통일은 먼 이야기지만, 평화는 그렇지 않습니다'
관리자 | 2025.05.25 | 조회 2350
관리자 2025.05.25 2350
1403
[연대]북민협∙민화협∙시민평화포럼과 더불어민주당 선대위가 서명한 정책협약서(전문)
관리자 | 2025.05.22 | 조회 1272
관리자 2025.05.22 1272
1402
[연대]북민협∙민화협∙시민평화포럼, 더불어민주당 선대위와 정책협약 체결
관리자 | 2025.05.22 | 조회 1121
관리자 2025.05.22 1121
1401
[연대]차기 정부에 전달하는 남북관계와 평화통일분야 정책제안 토론회
관리자 | 2025.05.22 | 조회 1322
관리자 2025.05.22 1322
1400
[연대]<초대합니다> 남북관계 및 평화통일분야 정책토론회 - 차기 정부에 바란다!
관리자 | 2025.05.16 | 조회 3177
관리자 2025.05.16 3177
1399
[연대]6.6 모이자 임진각으로! - DMZ순례단과 함께하는 한반도 평화대회
관리자 | 2025.05.15 | 조회 4615
관리자 2025.05.15 4615
1398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4) <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를 준비하는 마음가짐
관리자 | 2025.05.12 | 조회 4039
관리자 2025.05.12 4039
1397
[함께읽기]'아이들은 어떻게 평화를 배우지?' - 계수초 선생님의 평화축구 수업후기
관리자 | 2025.04.28 | 조회 6050
관리자 2025.04.28 6050
1396
[함께읽기]'아일랜드 청년이 바라본 한반도와 그 너머의 평화'
관리자 | 2025.04.22 | 조회 6518
관리자 2025.04.22 6518
1395
[알림]'평화, 미래를 만나다' - 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참가자를 모집합니다!
관리자 | 2025.04.22 | 조회 8172
관리자 2025.04.22 8172
1394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3) 예측 불가능이 희망의 근거
관리자 | 2025.04.21 | 조회 6554
관리자 2025.04.21 6554
1393
[알림]2024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 실적 명세서
관리자 | 2025.04.14 | 조회 3416
관리자 2025.04.14 3416
1392
[알림]2024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사업보고서 발간
관리자 | 2025.04.07 | 조회 6272
관리자 2025.04.07 6272
1391
[알림]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성명서 - 윤석열 파면은 주권자 시민의 승리
관리자 | 2025.04.04 | 조회 6895
관리자 2025.04.04 6895
1390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2) 해방 80년의 남북관계, 어떻게 풀어나갈 것인가?
관리자 | 2025.03.26 | 조회 9057
관리자 2025.03.26 9057
1389
“아버지의 이야기이자 딸 지형의 성장기” - '유령의 시간' 작가와 함께 한 북 콘서트
관리자 | 2025.03.20 | 조회 3641
관리자 2025.03.20 3641
1388
[알림]<참여신청> 제81회 정책포럼 - '유령의 시간' 김이정 작가와 함께하는 북콘서트
관리자 | 2025.03.04 | 조회 9159
관리자 2025.03.04 9159
1387
[함께읽기]우크라이나에 살고 있는 무국적 고려인들의 안타까운 현실을 전합니다.
관리자 | 2025.03.03 | 조회 3814
관리자 2025.03.03 3814
1386
[스토리]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20기 첫 공동대표 회의가 열렸습니다
관리자 | 2025.02.28 | 조회 4259
관리자 2025.02.28 4259
1385
[캠페인]한반도 평화행동,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서한 발송
관리자 | 2025.02.21 | 조회 10110
관리자 2025.02.21 1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