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공지

'아이들은 어떻게 평화를 배우지?' - 계수초 선생님의 평화축구 수업후기

[함께읽기]
작성자/Author
관리자
작성일/Date
2025-04-28 17:44
조회/Views
6202

'아이들은 어떻게 평화를 배우지?'


계수초등학교 교사 하혜원


‘평화 축구’? 참으로 생소한 조합이다. 단체가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이니 무슨 자선활동 기념 체육행사처럼 한반도 평화를 위해 축구대회를 여는 것인가? 그야말로 이기고 지고가 명확한 축구라는 경기에서, 공을 서로 차지하기 위해 몸싸움도 치열하게 벌이는 축구 경기에서 평화는 어디에서 어떻게 연결되는 것일까? 승패가 결정되고 순위가 매겨 지는 경쟁적 활동은 자칫 과정이 결과에 가려질 수 있기 때문에 우리 학교에서는 이러한 경쟁적 활동은 의도적으로 배제하고 보다 협력적이고 과정 자체를 즐길 수 있는 활동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그런데 작년 3, 4학년이 평화 축구라는 활동을 했고 아이들이 무척 좋아했으며 교육적으로도 의미 있었다는 평가가 대다수였다. 무척 궁금했다. ‘평화 축구’가 도대체 무엇일까?

첫날, 세 분의 선생님이 오셨고 구령대에서 아이들과 동그랗게 자리하였다. 한 켠에는 커다란 안내판이 있었는데 거기에는 ‘존중, 책임감, 신뢰, 공평과 포용’이라고 적혀있었다.

‘아하!’

몇 장의 그림을 함께 보면서 그림이 어떤 장면인지, 무엇을 나타내고 있는지, 무엇이 필요한지 이야기를 나누면서 적혀 있는 다섯 가지 가치들에 하나씩 다가갔다. 첫날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진 것은 갈등이 발생했을 때 우리는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 한다는 것이었고 이는 존중을 바탕으로 한다는 점이었다. 하지만 할 이야기가 많은 10살 우리 아이들은 자기가 아는 것을 알려 주고 싶어서 끊임없이 이야기를 쏟아냈고 강조되었던 존중은 저만치 도망을 갔다. 이럴 때 담임선생님은 무척 부끄럽다.



첫 번째 놀이. 선생님이 숫자를 말하면 그 수만큼 아이들이 만나고 서로 이야기를 나누는 활동이다. “저 OO랑 안해요.”라고 말하는 아이, 짝을 찾지 못해 토라진 아이, 그래서 그 친구를 원망하는 아이까지. 이래서 어디 평화를 배울 수 있을까?

드디어 축구. 아이들에게 공평하게 팀을 나누어보라고, 가위바위보는 안된다는 조건이 주어졌다. 가위바위보가 언제나 가장 좋은 해결책이었던 아이들에게 이 조건은 매우 큰 장애물이었다. 문제 상황이 생기면 대화를 해야한다고 큰 소리로 대답하던 아이들은 축구를 잘 하는 친구와 한 편이 되고 싶은 마음이 커서 팀을 어떻게 짜야할 지 허둥대었다. 결국 목소리 큰 몇 명에 의해 어찌어찌 팀이 짜여 졌고 팀을 구분하기 위한 팀 조끼를 누가 입을지 물어보는데 모두 상대팀을 가리켰다. 귀찮고 덥다는 이유에서였다.

‘3월 한 달 나의 가르침은 모두 헛된 것이었구나.’

이제 부끄러움을 넘어 좌절감이 밀려오는 순간이다.



우여곡절 끝에 축구 경기가 시작되었다. 팀 이름과 골 세러머니를 정하고 득점을 하면 함께 모여 골 세러머니를 하고, 모든 아이들이 선수로 뛰는 것이 아니라 2명의 교대선수를 두고 경기 중에 아이들끼리 서로 교대를 해주어야 한다는 것이 아이들에게 주어진 룰이었다. 상대팀과 경쟁하는 운동이지만 팀 안에서는 서로 협력하고 기회를 나누며 응원과 격려하는 경험을 강조하는 것이 평화 축구의 차별성이었다.

‘아하!’

우선 축구에 자신이 없는 아이, 몸을 움직이는 활동에 소극적인 아이가 첫 교대선수가 되었다. 이후에는 선생님의 계속된 독려에도 몇몇의 정해진 아이들만이 친구와 교대를 해주었다. 축구를 좋아하고 승부욕에 불타는 아이들은 절대 교대를 해주지 않았다. 그러다 보니 어느 순간에는 4:4 경기가 5:4, 6:5 경기가 되어 있었다. 상대팀이 득점하여 골 세러머니를 하면 상대편에 한 명이 더 많았다며 억울해하고 우리편에 누구 탓이라며 화를 내기도 했다.

첫 날 수업이 모두 끝났다. 평화 축구라면서 전혀 평화롭지 않은 첫 날의 수업을 보며 내내 불안불안하고 조마조마했고 그러했기 때문에 이 수업으로 우리 아이들이 평화를 배울 수 있을까 하는 의구심이 가득했다. 교실로 돌아와 언제나처럼 아이들과 한바탕 성토대회를 열고 평화 축구 시간에 있었던 자신과 친구들의 행동에 대한 성찰의 이야기를 나누었다. 우리반은 늘 갈등이 생기면 대화로 문제를 풀어왔었고 그런 문화를 만들고 있다고 자부했었는데 오늘 축구라는 활동을 통해 갈등이 증폭되는 모습을 보고는 평화 축구를 괜히 하나 싶기도 했다.

그러나 아이들은 경험을 통해 성장했다. 아이들은 다음주가 되면 그 전주보다 조금씩 달라져있었다. 팀을 짤 때 각 팀의 구성을 보고 “내가 저쪽으로 갈게.”라며 말하는 아이가 생겼다. 마지막 날에는 팀조끼를 서로 입겠다고 했다. ‘공평과 포용’이 실현되는 순간이었다. 팀 이름과 골 세러머니를 정하는데 자기 의견을 주장만 하지 않고 친구의 의견을 ‘존중’하며 점점 합의에 도달하는 시간이 줄어들었다. 경기를 하다가 골을 넣으면 골 세러머니를 하는 것도 모이는데 한나절 걸리던 것이 점점 일사천리로 이루어졌다. ‘신뢰’의 관계가 점점 무르익어갔다. 첫날 자기는 축구를 못한다며 의기소침하게 활동에 소극적이었던 아이들은 마지막 날에는 땀을 뻘뻘 흘리며 공을 쫓아갔다. 골도 넣고 친구들과 함께 세러머니를 외치며 ‘책임감’의 기쁨을 만끽했다. 자기에게 공이 안 온다며 화를 내던 아이는 마지막 날에는 속상함을 참아내는 모습이 역력했다. 평화 축구를 마치고 서로 칭찬을 해주는 시간, 내가 보았던 아이들의 변화와 성장을 친구들도 알아챘다. 그리고 힘껏 칭찬해주었다. 아이들은 ‘존중, 책임감, 신뢰, 공평과 포용’이 얼마나 중요한 가치인지 평화 축구를 통해 감각적으로 익히고 경험했다. 학교에서 하는 수많은 활동이 평화 축구 시간에 배운 이 가치들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중간중간 멈춰서서 확인하고 서로 격려하는 시간을 갖도록 해야겠다. 그러면서 내면화 하다보면 어느 순간 망설임없이 실천하고 있을 테고 그것은 아이들의 일상생활과 우리가 사는 지역, 한반도와 세계로 연결될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평화는 이렇게 배우는 것이다.

전체 1,411
번호/No 제목/Title 작성자/Author 작성일/Date 조회/Views
공지사항
New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6) "평화, 가까운 미래에도 충분히 실현 가능하다"
관리자 | 2025.06.23 | 조회 617
관리자 2025.06.23 617
공지사항
[알림] [제82차 평화나눔 정책포럼] 새로운 남북관계 - 정부와 시민사회, 무엇을 해야 하나?
관리자 | 2025.06.13 | 조회 2526
관리자 2025.06.13 2526
공지사항
[캠페인]‘적대를 멈추고 평화로!’ - DMZ 생명평화걷기, 그리고 평화대회
관리자 | 2025.06.10 | 조회 2668
관리자 2025.06.10 2668
공지사항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3] 다양한 모습으로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분단’
관리자 | 2025.06.09 | 조회 2637
관리자 2025.06.09 2637
공지사항
[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5) "남북관계는 끝난 걸까?"
관리자 | 2025.05.31 | 조회 2780
관리자 2025.05.31 2780
공지사항
[알림]우리민족, ‘민간 남북협력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보고서 발간
관리자 | 2025.05.27 | 조회 2806
관리자 2025.05.27 2806
1245
[스토리]선생님들의 참여에 마음이 든든해진 5.20 한반도 종전평화 캠페인 거리 서명!
관리자 | 2023.05.24 | 조회 5615
관리자 2023.05.24 5615
1244
[스토리]평화나눔센터 정책연구위원회, 다시 도약합니다!
관리자 | 2023.05.23 | 조회 6212
관리자 2023.05.23 6212
1243
[캠페인]'우리가 바쁜 이유' -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정기후원자 확대 캠페인을 시작하며
관리자 | 2023.05.18 | 조회 9683
관리자 2023.05.18 9683
1242
[스토리]우리민족은 한글 도서 수거 중! 중앙아시아 고려인 지원을 위해 도서 3,251권 기증
관리자 | 2023.05.12 | 조회 6612
관리자 2023.05.12 6612
1241
[연대]‘서로의 어깨를 토닥이며...’ - 4.27 온라인 평화회의
관리자 | 2023.05.12 | 조회 4986
관리자 2023.05.12 4986
1240
[스토리]박 이고리와 타찌야나 가족 이야기 - 우크라이나 고려인 긴급 지원사업(4)
관리자 | 2023.05.11 | 조회 6044
관리자 2023.05.11 6044
1239
[알림]카라칸다주에서 온 따뜻한 소식! 여러분의 나눔이 또 다른 나눔을 낳습니다.
관리자 | 2023.05.04 | 조회 5839
관리자 2023.05.04 5839
1238
[알림]2023년 우리민족의 활동 방향을 논의한 제96차 공동대표회의!
관리자 | 2023.05.04 | 조회 5194
관리자 2023.05.04 5194
1237
[알림]평양탐구학교[경기도]가 개강합니다! (30명 선착순 모집)
관리자 | 2023.05.02 | 조회 5265
관리자 2023.05.02 5265
1236
[알림]2022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관리자 | 2023.05.02 | 조회 4702
관리자 2023.05.02 4702
1235
[스토리]4월 20일 장애인의 날을 맞이해 진행한 장애인식개선교육
관리자 | 2023.04.26 | 조회 4480
관리자 2023.04.26 4480
1234
[함께읽기]정전 70주년 - 정전을 종전으로, 종전을 평화로
관리자 | 2023.04.25 | 조회 4818
관리자 2023.04.25 4818
1233
[인터뷰]우리민족에 '생일 기부'를 실천한 서준희 씨의 이야기
관리자 | 2023.04.20 | 조회 4792
관리자 2023.04.20 4792
1232
[스토리]평화축구가 시흥 계수초등학교 어린이들을 찾아갔습니다~
관리자 | 2023.04.17 | 조회 5107
관리자 2023.04.17 5107
1231
[캠페인]우크라이나 고려인 긴급지원사업(3) 고려인 동포 대상 긴급구호물자 지원 과정
관리자 | 2023.04.06 | 조회 6465
관리자 2023.04.06 6465
1230
[함께읽기]해마다 반복되는 북한의 식량난, 부족량 추산 방법은?
관리자 | 2023.04.06 | 조회 5220
관리자 2023.04.06 5220
1229
[스토리]러시아 볼고그라드 고려인 한글문화센터 23년도 1학기 한국어 말하기 수업 시작
관리자 | 2023.04.04 | 조회 4424
관리자 2023.04.04 4424
1228
[스토리]우리민족 경기지부, 수원 제일중학교에서 자원봉사 기본 교육 진행
관리자 | 2023.04.04 | 조회 5434
관리자 2023.04.04 5434
1227
[알림]한글 도서 방문 수거 현장! 수원의 한 교회 도서관에서 도서를 기증해주셨습니다
관리자 | 2023.03.22 | 조회 5186
관리자 2023.03.22 5186
1226
[캠페인]우크라이나 고려인 긴급지원사업(2) 현재까지 3회에 걸쳐 총 4,800여 명의 고려인 동포에게 구호물품을 전달했습니다.
관리자 | 2023.03.14 | 조회 5901
관리자 2023.03.14 5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