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공지

[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2] ‘우리는 적대와 혐오, 편견을 넘을 수 있을까?’

[함께읽기]
작성자/Author
관리자
작성일/Date
2025-05-31 17:39
조회/Views
3560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과 독일 프리드리히 에버트재단은 '평화, 미래를 만나다 - 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2차 평화 대화 이후 참가자가 작성한 후기를 공유합니다 🙂


[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2]



"우리는 적대와 혐오, 편견을 넘을 수 있을까?"


추윤권 (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참가자, 직장인)




5월 27일(화), 『북한, 한 발 떨어져서 바라보기』라는 주제로 『청년 한반도 평화대화』 2회차 대화가 열렸습니다. 이날 모임은 양두리 님의 특별순서 「내가 다녀온 북한, 내가 만난 북한 사람」으로 시작하여, 참가자들이 북한을 보다 입체적으로 이해하고 대화를 이어나갈 수 있는 기반을 자연스럽게 마련해주었습니다. 단순한 강연을 넘어, 참가자들은 경험에서 우러난 이야기를 통해 '북한'이라는 대상에 대해 ‘한 발 떨어져서 바라보는’ 시선을 새롭게 정립해 나갔습니다.

첫인상: 강연보다 가까웠던 체험담

행사는 양두리 선생님의 특별강연으로 문을 열었습니다. 남북교류가 쉽지 않던 시기 직접 북한을 방문했던 이야기는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은 만남의 기록이었습니다. 특히 "내가 다녀온 북한, 내가 만난 북한"이라는 제목에서처럼, 한 명 한 명의 사진 속 북한분들을 '개인'으로 만나고 기억하는 자세가 인상 깊었습니다.

마치 사진 속의 북한 분들을 오래된 친구처럼 설명하시는 이야기를 통해 북한을 바라보는 시선이 단순히 체제나 정치의 문제를 넘어 사람에 닿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했고, 한편으로는 분단의 현실로 한 민족을 만날 수 없다는 비참함도 동시에 느꼈습니다.

콘텐츠로 형성된 이미지와 실제 북한

'북한 관련 콘텐츠와 실제 모습의 괴리'라는 첫 번째 토픽은 모두의 공감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영화, 드라마, 유튜브, 이탈주민의 증언 등에서 접하는 북한의 이미지는 주로 경직되고 비인간적인 체제, 군사적 대치의 이미지였습니다. 그러나 참여자들 사이에서는 '사랑의 불시착'처럼 인간적인 감정을 담은 콘텐츠에 대한 언급도 있었고, 고증의 정확성과 상상력의 공존에 대한 토론이 펼쳐졌습니다.

이 대화를 통해 느낀 것은, 북한은 ‘미디어 프레임’을 통해 접촉되는 대상이라는 점입니다. 따라서 우리가 알고 있는 북한의 모습은 결국 누군가의 렌즈를 통해 굴절된 모습일 수밖에 없고, 그로 인해 생긴 편견과 오해가 북한 주민에 대한 거리감을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는 사실을 실감하게 되었습니다.

‘북한 주민’과 ‘북한이탈주민’은 누구인가

워드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한 이미지 토론에서 인상 깊었던 것은, ‘북한 주민’과 ‘북한이탈주민’을 바라보는 시선 속에 감춰진 우리의 무의식적인 타자화였습니다. 특히 ‘곁에 있지만 곁에 없는 존재’, ‘의심이 많은 사람’이라는 키워드는 남한 사회가 여전히 이들을 사회 구성원으로 온전히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다는 반증처럼 느껴졌습니다.

북한이탈주민과의 직접적인 접촉 경험이 있는 이들은 그들을 ‘개인’으로 기억하고 있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엔 저 역시 그들을 집단적 이미지나 고정관념 속에서 이들을 인식하고 있었습니다. 이는 결국 만남의 부재에서 오는 인식의 한계이자, 접촉 이론(Contact Theory)의 실천이 절실히 필요한 이유로 이어졌습니다.

편견을 넘는 방법: 리프레임(Reframe)과 공동체의 지지

세 번째 토픽에서는 '적대와 혐오, 편견을 넘을 수 있을까?'라는 깊은 질문이 던져졌습니다. 특히, 북한이탈주민이나 북한 주민에 대한 기존의 프레임을 어떻게 바꿀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가 인상적이었습니다. ‘프레임을 없앨 수는 없지만, 다른 프레임으로 바꾸는 것은 가능하다’는 말이 강하게 남았습니다.

예를 들어, ‘북한은 위험하고 낯선 존재’라는 프레임을 ‘북한도 일상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공간’이라는 프레임으로 리프레임 할 때, 편견은 줄고 감정적 거리도 좁아질 수 있습니다. 물론 이러한 시도는 외롭고 위험할 수 있습니다. 저 역시 토론의 장에서 토론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부분에 조심성이 있습니다.

상대를 사람으로 바라보았다는 이유만으로 배신자라는 낙인이 찍히는 현실은 ‘용기 있는 시선’을 사회적으로 지지하는 네트워크의 필요성을 더욱 절감하게 했습니다.

추가로 남한에는 현재 약 3만 5천 명의 북한이탈주민이 살고 있습니다. 이들은 남북한의 상이한 체제와 문화를 모두 경험한 존재로서, 편견과 혐오를 넘어 상호이해로 나아가는 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사람들입니다.

우리는 북한 주민을 직접 만날 수 없습니다. 그러나 북한이탈주민은 그들과 남한 사회 사이를 연결해줄 수 있는 유일한 접점입니다. 그들이 자신의 경험과 이야기를 직접 전달할 때, 우리가 생각하는 왜곡된 북한이 아닌 ‘사람 사는 곳으로서의 북한’이 우리 곁에 다가옵니다.

이들의 삶이 우리 사회에서 ‘예외’가 아니라 ‘가능성’으로 받아들여질 때, 우리는 남과 북이 함께 살아갈 수 있는 미래를 조금 더 가깝고, 편견을 최소화 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앞으로를 위한 성찰

2회차 평화 대화를 통해 얻은 가장 큰 교훈은 “만남의 방식이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단지 접촉을 늘리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만나느냐, 어떤 시선으로 바라보느냐가 더 중요합니다. 단 한 번의 만남도 사람을 적대적으로 만들 수 있고, 반대로 편견을 무너뜨리는 계기가 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이번 대화를 통해 북한 관련 콘텐츠를 객관적으로 바라봐야겠다는 생각과 북한 주민과 이탈주민을  ‘개인’으로 받아들이는 감각을 더 훈련해야겠다고 느꼈습니다.

전체 1,416
번호/No 제목/Title 작성자/Author 작성일/Date 조회/Views
공지사항
New [알림]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주한 외국 대사관-시민사회 간담회 개최
관리자 | 16:55 | 조회 94
관리자 16:55 94
공지사항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5] “청년의 자리에서, 평화를 말하다”
관리자 | 2025.07.07 | 조회 1678
관리자 2025.07.07 1678
공지사항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4] '전쟁'이 사라진다면 '평화'가 올까
관리자 | 2025.06.30 | 조회 2867
관리자 2025.06.30 2867
공지사항
[스토리]‘새로운 남북관계, 적대 해소를 위한 노력에서부터’ -82차 정책포럼을 마치고
관리자 | 2025.06.27 | 조회 2663
관리자 2025.06.27 2663
공지사항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6) 평화, 가까운 미래에도 충분히 실현 가능하다
관리자 | 2025.06.23 | 조회 3305
관리자 2025.06.23 3305
공지사항
[알림]우리민족, ‘민간 남북협력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보고서 발간
관리자 | 2025.05.27 | 조회 4416
관리자 2025.05.27 4416
150
[스토리] 전라북도와 황해남도 농업협력사업 추진을 위한 대표단 230명 직항로 방북 [등록일 : 2005-09-29]
관리자 | 2017.03.24 | 조회 3641
관리자 2017.03.24 3641
149
[알림] 제17회 평화나눔센터 정책포럼 초대 [등록일 : 2005-09-20]
관리자 | 2017.03.24 | 조회 3582
관리자 2017.03.24 3582
148
[스토리] 농기계생산공장 준공식 대표단 70명, 서해직항로 방북 [등록일 : 2005-09-09]
관리자 | 2017.03.24 | 조회 3761
관리자 2017.03.24 3761
147
[알림] 제16회 평화나눔센터 정책포럼 초대 [등록일 : 2005-08-17]
관리자 | 2017.03.24 | 조회 3413
관리자 2017.03.24 3413
146
[스토리] 평남 강서군 농기계 조립생산공장 착공 [등록일 : 2005-07-26]
관리자 | 2017.03.24 | 조회 3909
관리자 2017.03.24 3909
145
[알림]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창립 9주년 기념토론회에 초대합니다 [등록일 : 2005-07-08]
관리자 | 2017.03.24 | 조회 4077
관리자 2017.03.24 4077
144
[알림] 평화나눔센터 정책토론회 초대 [등록일 : 2005-06-16]
관리자 | 2017.03.24 | 조회 3603
관리자 2017.03.24 3603
143
[알림] 정성수액약품공장 준공 경과보고 [등록일 : 2005-06-16]
관리자 | 2017.03.24 | 조회 4256
관리자 2017.03.24 4256
142
[스토리] 평양 정성수액약품공장 준공식 개최 [등록일 : 2005-06-16]
관리자 | 2017.03.24 | 조회 3718
관리자 2017.03.24 3718
141
[스토리] 민간 148명 南전세기로 평양 방문 [등록일 : 2005-06-07]
관리자 | 2017.03.24 | 조회 3509
관리자 2017.03.24 3509
140
[알림] 제15회 평화나눔센터 정책포럼 초대 [등록일 : 2005-05-12]
관리자 | 2017.03.24 | 조회 3914
관리자 2017.03.24 3914
139
[알림] 홍보편집위원회 및 후원회원가족- 봄나들이 함께가요 [등록일 : 2005-05-10]
관리자 | 2017.03.24 | 조회 3770
관리자 2017.03.24 3770
138
[스토리] 룡천소학교를 다녀왔습니다! [등록일 : 2005-05-09]
관리자 | 2017.03.24 | 조회 3836
관리자 2017.03.24 3836
137
[함께읽기] 아이러브 콘서트- 관련 기사 [등록일 : 2005-04-25]
관리자 | 2017.03.24 | 조회 3483
관리자 2017.03.24 3483
136
[알림] 제14회 평화나눔센터 정책포럼 초대 [등록일 : 2005-04-06]
관리자 | 2017.03.24 | 조회 3761
관리자 2017.03.24 3761
135
[알림] 제13회 평화나눔센터 정책포럼 초대 [등록일 : 2005-03-21]
관리자 | 2017.03.24 | 조회 3620
관리자 2017.03.24 3620
134
[스토리] 민간지원 제1차 못자리용 비닐 900만 평방미터 육로를 통해 북한에 전달 [등록일 : 2005-03-09]
관리자 | 2017.03.24 | 조회 3637
관리자 2017.03.24 3637
133
[캠페인] KT와 함께하는 캠페인 ''집전화로 희망을!!'' [등록일 : 2005-03-09]
관리자 | 2017.03.24 | 조회 3906
관리자 2017.03.24 3906
132
[알림] 북한 어린이 돕기 eye love 콘서트 [등록일 : 2005-02-25]
관리자 | 2017.03.24 | 조회 3682
관리자 2017.03.24 3682
131
[캠페인] 우리민족 아시아지역 지진피해구호 캠페인 [등록일 : 2005-01-27]
관리자 | 2017.03.24 | 조회 3807
관리자 2017.03.24 3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