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공지

[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2] ‘우리는 적대와 혐오, 편견을 넘을 수 있을까?’

[함께읽기]
작성자/Author
관리자
작성일/Date
2025-05-31 17:39
조회/Views
3892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과 독일 프리드리히 에버트재단은 '평화, 미래를 만나다 - 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2차 평화 대화 이후 참가자가 작성한 후기를 공유합니다 🙂


[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2]



"우리는 적대와 혐오, 편견을 넘을 수 있을까?"


추윤권 (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참가자, 직장인)




5월 27일(화), 『북한, 한 발 떨어져서 바라보기』라는 주제로 『청년 한반도 평화대화』 2회차 대화가 열렸습니다. 이날 모임은 양두리 님의 특별순서 「내가 다녀온 북한, 내가 만난 북한 사람」으로 시작하여, 참가자들이 북한을 보다 입체적으로 이해하고 대화를 이어나갈 수 있는 기반을 자연스럽게 마련해주었습니다. 단순한 강연을 넘어, 참가자들은 경험에서 우러난 이야기를 통해 '북한'이라는 대상에 대해 ‘한 발 떨어져서 바라보는’ 시선을 새롭게 정립해 나갔습니다.

첫인상: 강연보다 가까웠던 체험담

행사는 양두리 선생님의 특별강연으로 문을 열었습니다. 남북교류가 쉽지 않던 시기 직접 북한을 방문했던 이야기는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은 만남의 기록이었습니다. 특히 "내가 다녀온 북한, 내가 만난 북한"이라는 제목에서처럼, 한 명 한 명의 사진 속 북한분들을 '개인'으로 만나고 기억하는 자세가 인상 깊었습니다.

마치 사진 속의 북한 분들을 오래된 친구처럼 설명하시는 이야기를 통해 북한을 바라보는 시선이 단순히 체제나 정치의 문제를 넘어 사람에 닿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했고, 한편으로는 분단의 현실로 한 민족을 만날 수 없다는 비참함도 동시에 느꼈습니다.

콘텐츠로 형성된 이미지와 실제 북한

'북한 관련 콘텐츠와 실제 모습의 괴리'라는 첫 번째 토픽은 모두의 공감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영화, 드라마, 유튜브, 이탈주민의 증언 등에서 접하는 북한의 이미지는 주로 경직되고 비인간적인 체제, 군사적 대치의 이미지였습니다. 그러나 참여자들 사이에서는 '사랑의 불시착'처럼 인간적인 감정을 담은 콘텐츠에 대한 언급도 있었고, 고증의 정확성과 상상력의 공존에 대한 토론이 펼쳐졌습니다.

이 대화를 통해 느낀 것은, 북한은 ‘미디어 프레임’을 통해 접촉되는 대상이라는 점입니다. 따라서 우리가 알고 있는 북한의 모습은 결국 누군가의 렌즈를 통해 굴절된 모습일 수밖에 없고, 그로 인해 생긴 편견과 오해가 북한 주민에 대한 거리감을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는 사실을 실감하게 되었습니다.

‘북한 주민’과 ‘북한이탈주민’은 누구인가

워드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한 이미지 토론에서 인상 깊었던 것은, ‘북한 주민’과 ‘북한이탈주민’을 바라보는 시선 속에 감춰진 우리의 무의식적인 타자화였습니다. 특히 ‘곁에 있지만 곁에 없는 존재’, ‘의심이 많은 사람’이라는 키워드는 남한 사회가 여전히 이들을 사회 구성원으로 온전히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다는 반증처럼 느껴졌습니다.

북한이탈주민과의 직접적인 접촉 경험이 있는 이들은 그들을 ‘개인’으로 기억하고 있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엔 저 역시 그들을 집단적 이미지나 고정관념 속에서 이들을 인식하고 있었습니다. 이는 결국 만남의 부재에서 오는 인식의 한계이자, 접촉 이론(Contact Theory)의 실천이 절실히 필요한 이유로 이어졌습니다.

편견을 넘는 방법: 리프레임(Reframe)과 공동체의 지지

세 번째 토픽에서는 '적대와 혐오, 편견을 넘을 수 있을까?'라는 깊은 질문이 던져졌습니다. 특히, 북한이탈주민이나 북한 주민에 대한 기존의 프레임을 어떻게 바꿀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가 인상적이었습니다. ‘프레임을 없앨 수는 없지만, 다른 프레임으로 바꾸는 것은 가능하다’는 말이 강하게 남았습니다.

예를 들어, ‘북한은 위험하고 낯선 존재’라는 프레임을 ‘북한도 일상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공간’이라는 프레임으로 리프레임 할 때, 편견은 줄고 감정적 거리도 좁아질 수 있습니다. 물론 이러한 시도는 외롭고 위험할 수 있습니다. 저 역시 토론의 장에서 토론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부분에 조심성이 있습니다.

상대를 사람으로 바라보았다는 이유만으로 배신자라는 낙인이 찍히는 현실은 ‘용기 있는 시선’을 사회적으로 지지하는 네트워크의 필요성을 더욱 절감하게 했습니다.

추가로 남한에는 현재 약 3만 5천 명의 북한이탈주민이 살고 있습니다. 이들은 남북한의 상이한 체제와 문화를 모두 경험한 존재로서, 편견과 혐오를 넘어 상호이해로 나아가는 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사람들입니다.

우리는 북한 주민을 직접 만날 수 없습니다. 그러나 북한이탈주민은 그들과 남한 사회 사이를 연결해줄 수 있는 유일한 접점입니다. 그들이 자신의 경험과 이야기를 직접 전달할 때, 우리가 생각하는 왜곡된 북한이 아닌 ‘사람 사는 곳으로서의 북한’이 우리 곁에 다가옵니다.

이들의 삶이 우리 사회에서 ‘예외’가 아니라 ‘가능성’으로 받아들여질 때, 우리는 남과 북이 함께 살아갈 수 있는 미래를 조금 더 가깝고, 편견을 최소화 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앞으로를 위한 성찰

2회차 평화 대화를 통해 얻은 가장 큰 교훈은 “만남의 방식이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단지 접촉을 늘리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만나느냐, 어떤 시선으로 바라보느냐가 더 중요합니다. 단 한 번의 만남도 사람을 적대적으로 만들 수 있고, 반대로 편견을 무너뜨리는 계기가 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이번 대화를 통해 북한 관련 콘텐츠를 객관적으로 바라봐야겠다는 생각과 북한 주민과 이탈주민을  ‘개인’으로 받아들이는 감각을 더 훈련해야겠다고 느꼈습니다.

전체 1,419
번호/No 제목/Title 작성자/Author 작성일/Date 조회/Views
공지사항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6] “차이를 존중하며 지속되는 대화 자체가 중요"
관리자 | 2025.07.14 | 조회 1363
관리자 2025.07.14 1363
공지사항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7) 2025 DMZ 생명평화 순례 – 해원상생(解冤相生)의 길
관리자 | 2025.07.13 | 조회 1726
관리자 2025.07.13 1726
공지사항
[알림]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주한 외국 대사관-시민사회 간담회 개최
관리자 | 2025.07.10 | 조회 2154
관리자 2025.07.10 2154
공지사항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5] “청년의 자리에서, 평화를 말하다”
관리자 | 2025.07.07 | 조회 2886
관리자 2025.07.07 2886
공지사항
[스토리]‘새로운 남북관계, 적대 해소를 위한 노력에서부터’ -82차 정책포럼을 마치고
관리자 | 2025.06.27 | 조회 3538
관리자 2025.06.27 3538
공지사항
[알림]우리민족, ‘민간 남북협력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보고서 발간
관리자 | 2025.05.27 | 조회 5493
관리자 2025.05.27 5493
1373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0) 비상계엄과 민주주의, 그리고 평화
관리자 | 2024.12.09 | 조회 9570
관리자 2024.12.09 9570
1372
[알림]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성명서 - 한반도 평화는 굳건한 민주주의에서 시작된다
관리자 | 2024.12.04 | 조회 9621
관리자 2024.12.04 9621
1371
[스토리]홍옥사나의 한국어 이야기_우연이라는 문
관리자 | 2024.11.25 | 조회 5938
관리자 2024.11.25 5938
1370
[스토리]평양개성탐구학교 답사 기행... 교동 무학리 은행나무 이야기
관리자 | 2024.11.25 | 조회 5744
관리자 2024.11.25 5744
1369
[알림]경기도무용단 <세종> 공연에 우리민족 회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관리자 | 2024.11.19 | 조회 9603
관리자 2024.11.19 9603
1368
[스토리]우크라이나에는 ‘고려 샐러드’를 모르는 사람이 없습니다
관리자 | 2024.11.18 | 조회 5909
관리자 2024.11.18 5909
1367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9) 격변을 예고하는 ‘트럼프시즌 2’, ‘우리 민족’은 어디로
관리자 | 2024.11.15 | 조회 11359
관리자 2024.11.15 11359
1366
[캠페인][한반도 평화행동-기자회견]전쟁 프로세스를 평화 프로세스로!
관리자 | 2024.11.12 | 조회 11223
관리자 2024.11.12 11223
1365
[스토리]2024 주한 외국 대사관-시민사회 간담회를 개최했습니다
관리자 | 2024.11.08 | 조회 5715
관리자 2024.11.08 5715
1364
[알림]<19기 씨티-경희대 NGO 인턴십>에 우리민족이 함께 합니다~
관리자 | 2024.11.05 | 조회 6112
관리자 2024.11.05 6112
1363
[스토리]카자흐 코나예프 한글학교, 우리민족이 보낸 도서와 한복 등으로 다양한 프로그램 진행
관리자 | 2024.11.01 | 조회 5498
관리자 2024.11.01 5498
1362
[알림]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KB손해보험 노조의 사회공헌기금 지원단체로 선정
관리자 | 2024.10.30 | 조회 6033
관리자 2024.10.30 6033
1361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8) 오직 평화!
관리자 | 2024.10.24 | 조회 13673
관리자 2024.10.24 13673
1360
[스토리]평양/개성탐구학교, 5년간 이어진 비결은?
관리자 | 2024.10.23 | 조회 6051
관리자 2024.10.23 6051
1359
[스토리]우크라이나 고려인 2,407명 880가구에 올해 3번째 생필품 지원을 시작하였습니다.
관리자 | 2024.10.23 | 조회 5213
관리자 2024.10.23 5213
1358
[스토리]우크라이나에는 잦은 정전으로 휴대용 충전기가 생활 필수품이 되었습니다.
관리자 | 2024.10.21 | 조회 4820
관리자 2024.10.21 4820
1357
[스토리]스위스에서 오랜 친구가 찾아 왔습니다~
관리자 | 2024.10.18 | 조회 4944
관리자 2024.10.18 4944
1356
[캠페인]한반도 평화행동 - 일촉즉발의 남북 충돌 위기를 막아야 합니다
관리자 | 2024.10.18 | 조회 4364
관리자 2024.10.18 4364
1355
[스토리]매슬라분 갈리나의 이야기_풍물놀이에 완전 매료되었어요.
관리자 | 2024.10.11 | 조회 6745
관리자 2024.10.11 6745
1354
[스토리]정책토론회 후기 - “지속가능한 평화와 협력을 위해 우리의 역할을 확장할 때”
관리자 | 2024.10.10 | 조회 16968
관리자 2024.10.10 169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