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공지

[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2] ‘우리는 적대와 혐오, 편견을 넘을 수 있을까?’

[함께읽기]
작성자/Author
관리자
작성일/Date
2025-05-31 17:39
조회/Views
3570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과 독일 프리드리히 에버트재단은 '평화, 미래를 만나다 - 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2차 평화 대화 이후 참가자가 작성한 후기를 공유합니다 🙂


[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2]



"우리는 적대와 혐오, 편견을 넘을 수 있을까?"


추윤권 (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참가자, 직장인)




5월 27일(화), 『북한, 한 발 떨어져서 바라보기』라는 주제로 『청년 한반도 평화대화』 2회차 대화가 열렸습니다. 이날 모임은 양두리 님의 특별순서 「내가 다녀온 북한, 내가 만난 북한 사람」으로 시작하여, 참가자들이 북한을 보다 입체적으로 이해하고 대화를 이어나갈 수 있는 기반을 자연스럽게 마련해주었습니다. 단순한 강연을 넘어, 참가자들은 경험에서 우러난 이야기를 통해 '북한'이라는 대상에 대해 ‘한 발 떨어져서 바라보는’ 시선을 새롭게 정립해 나갔습니다.

첫인상: 강연보다 가까웠던 체험담

행사는 양두리 선생님의 특별강연으로 문을 열었습니다. 남북교류가 쉽지 않던 시기 직접 북한을 방문했던 이야기는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은 만남의 기록이었습니다. 특히 "내가 다녀온 북한, 내가 만난 북한"이라는 제목에서처럼, 한 명 한 명의 사진 속 북한분들을 '개인'으로 만나고 기억하는 자세가 인상 깊었습니다.

마치 사진 속의 북한 분들을 오래된 친구처럼 설명하시는 이야기를 통해 북한을 바라보는 시선이 단순히 체제나 정치의 문제를 넘어 사람에 닿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했고, 한편으로는 분단의 현실로 한 민족을 만날 수 없다는 비참함도 동시에 느꼈습니다.

콘텐츠로 형성된 이미지와 실제 북한

'북한 관련 콘텐츠와 실제 모습의 괴리'라는 첫 번째 토픽은 모두의 공감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영화, 드라마, 유튜브, 이탈주민의 증언 등에서 접하는 북한의 이미지는 주로 경직되고 비인간적인 체제, 군사적 대치의 이미지였습니다. 그러나 참여자들 사이에서는 '사랑의 불시착'처럼 인간적인 감정을 담은 콘텐츠에 대한 언급도 있었고, 고증의 정확성과 상상력의 공존에 대한 토론이 펼쳐졌습니다.

이 대화를 통해 느낀 것은, 북한은 ‘미디어 프레임’을 통해 접촉되는 대상이라는 점입니다. 따라서 우리가 알고 있는 북한의 모습은 결국 누군가의 렌즈를 통해 굴절된 모습일 수밖에 없고, 그로 인해 생긴 편견과 오해가 북한 주민에 대한 거리감을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는 사실을 실감하게 되었습니다.

‘북한 주민’과 ‘북한이탈주민’은 누구인가

워드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한 이미지 토론에서 인상 깊었던 것은, ‘북한 주민’과 ‘북한이탈주민’을 바라보는 시선 속에 감춰진 우리의 무의식적인 타자화였습니다. 특히 ‘곁에 있지만 곁에 없는 존재’, ‘의심이 많은 사람’이라는 키워드는 남한 사회가 여전히 이들을 사회 구성원으로 온전히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다는 반증처럼 느껴졌습니다.

북한이탈주민과의 직접적인 접촉 경험이 있는 이들은 그들을 ‘개인’으로 기억하고 있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엔 저 역시 그들을 집단적 이미지나 고정관념 속에서 이들을 인식하고 있었습니다. 이는 결국 만남의 부재에서 오는 인식의 한계이자, 접촉 이론(Contact Theory)의 실천이 절실히 필요한 이유로 이어졌습니다.

편견을 넘는 방법: 리프레임(Reframe)과 공동체의 지지

세 번째 토픽에서는 '적대와 혐오, 편견을 넘을 수 있을까?'라는 깊은 질문이 던져졌습니다. 특히, 북한이탈주민이나 북한 주민에 대한 기존의 프레임을 어떻게 바꿀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가 인상적이었습니다. ‘프레임을 없앨 수는 없지만, 다른 프레임으로 바꾸는 것은 가능하다’는 말이 강하게 남았습니다.

예를 들어, ‘북한은 위험하고 낯선 존재’라는 프레임을 ‘북한도 일상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공간’이라는 프레임으로 리프레임 할 때, 편견은 줄고 감정적 거리도 좁아질 수 있습니다. 물론 이러한 시도는 외롭고 위험할 수 있습니다. 저 역시 토론의 장에서 토론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부분에 조심성이 있습니다.

상대를 사람으로 바라보았다는 이유만으로 배신자라는 낙인이 찍히는 현실은 ‘용기 있는 시선’을 사회적으로 지지하는 네트워크의 필요성을 더욱 절감하게 했습니다.

추가로 남한에는 현재 약 3만 5천 명의 북한이탈주민이 살고 있습니다. 이들은 남북한의 상이한 체제와 문화를 모두 경험한 존재로서, 편견과 혐오를 넘어 상호이해로 나아가는 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사람들입니다.

우리는 북한 주민을 직접 만날 수 없습니다. 그러나 북한이탈주민은 그들과 남한 사회 사이를 연결해줄 수 있는 유일한 접점입니다. 그들이 자신의 경험과 이야기를 직접 전달할 때, 우리가 생각하는 왜곡된 북한이 아닌 ‘사람 사는 곳으로서의 북한’이 우리 곁에 다가옵니다.

이들의 삶이 우리 사회에서 ‘예외’가 아니라 ‘가능성’으로 받아들여질 때, 우리는 남과 북이 함께 살아갈 수 있는 미래를 조금 더 가깝고, 편견을 최소화 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앞으로를 위한 성찰

2회차 평화 대화를 통해 얻은 가장 큰 교훈은 “만남의 방식이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단지 접촉을 늘리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만나느냐, 어떤 시선으로 바라보느냐가 더 중요합니다. 단 한 번의 만남도 사람을 적대적으로 만들 수 있고, 반대로 편견을 무너뜨리는 계기가 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이번 대화를 통해 북한 관련 콘텐츠를 객관적으로 바라봐야겠다는 생각과 북한 주민과 이탈주민을  ‘개인’으로 받아들이는 감각을 더 훈련해야겠다고 느꼈습니다.

전체 1,416
번호/No 제목/Title 작성자/Author 작성일/Date 조회/Views
공지사항
New [알림]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주한 외국 대사관-시민사회 간담회 개최
관리자 | 16:55 | 조회 258
관리자 16:55 258
공지사항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5] “청년의 자리에서, 평화를 말하다”
관리자 | 2025.07.07 | 조회 1751
관리자 2025.07.07 1751
공지사항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4] '전쟁'이 사라진다면 '평화'가 올까
관리자 | 2025.06.30 | 조회 2930
관리자 2025.06.30 2930
공지사항
[스토리]‘새로운 남북관계, 적대 해소를 위한 노력에서부터’ -82차 정책포럼을 마치고
관리자 | 2025.06.27 | 조회 2732
관리자 2025.06.27 2732
공지사항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6) 평화, 가까운 미래에도 충분히 실현 가능하다
관리자 | 2025.06.23 | 조회 3357
관리자 2025.06.23 3357
공지사항
[알림]우리민족, ‘민간 남북협력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보고서 발간
관리자 | 2025.05.27 | 조회 4497
관리자 2025.05.27 4497
1410
[알림][제82차 정책포럼 자료집] 새로운 남북관계 - 정부와 시민사회, 무엇을 해야 하나?
관리자 | 2025.06.26 | 조회 1623
관리자 2025.06.26 1623
1409
[알림] [제82차 평화나눔 정책포럼] 새로운 남북관계 - 정부와 시민사회, 무엇을 해야 하나?
관리자 | 2025.06.13 | 조회 3769
관리자 2025.06.13 3769
1408
[캠페인]‘적대를 멈추고 평화로!’ - DMZ 생명평화걷기, 그리고 평화대회
관리자 | 2025.06.10 | 조회 3776
관리자 2025.06.10 3776
1407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3] 다양한 모습으로 존재하는 ‘분단’
관리자 | 2025.06.09 | 조회 3219
관리자 2025.06.09 3219
1406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2] ‘우리는 적대와 혐오, 편견을 넘을 수 있을까?’
관리자 | 2025.05.31 | 조회 3570
관리자 2025.05.31 3570
1405
[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5) 남북관계는 끝난 걸까?
관리자 | 2025.05.31 | 조회 3656
관리자 2025.05.31 3656
1404
[함께읽기][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후기 1] ‘통일은 먼 이야기지만, 평화는 그렇지 않습니다'
관리자 | 2025.05.25 | 조회 3403
관리자 2025.05.25 3403
1403
[연대]북민협∙민화협∙시민평화포럼과 더불어민주당 선대위가 서명한 정책협약서(전문)
관리자 | 2025.05.22 | 조회 2036
관리자 2025.05.22 2036
1402
[연대]북민협∙민화협∙시민평화포럼, 더불어민주당 선대위와 정책협약 체결
관리자 | 2025.05.22 | 조회 1812
관리자 2025.05.22 1812
1401
[연대]차기 정부에 전달하는 남북관계와 평화통일분야 정책제안 토론회
관리자 | 2025.05.22 | 조회 2021
관리자 2025.05.22 2021
1400
[연대]<초대합니다> 남북관계 및 평화통일분야 정책토론회 - 차기 정부에 바란다!
관리자 | 2025.05.16 | 조회 3865
관리자 2025.05.16 3865
1399
[연대]6.6 모이자 임진각으로! - DMZ순례단과 함께하는 한반도 평화대회
관리자 | 2025.05.15 | 조회 5446
관리자 2025.05.15 5446
1398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4) <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를 준비하는 마음가짐
관리자 | 2025.05.12 | 조회 4931
관리자 2025.05.12 4931
1397
[함께읽기]'아이들은 어떻게 평화를 배우지?' - 계수초 선생님의 평화축구 수업후기
관리자 | 2025.04.28 | 조회 6877
관리자 2025.04.28 6877
1396
[함께읽기]'아일랜드 청년이 바라본 한반도와 그 너머의 평화'
관리자 | 2025.04.22 | 조회 7190
관리자 2025.04.22 7190
1395
[알림]'평화, 미래를 만나다' - 청년 한반도 평화 대화 참가자를 모집합니다!
관리자 | 2025.04.22 | 조회 8668
관리자 2025.04.22 8668
1394
[함께읽기][가동평연-우리민족 공동칼럼] (13) 예측 불가능이 희망의 근거
관리자 | 2025.04.21 | 조회 6916
관리자 2025.04.21 6916
1393
[알림]2024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 실적 명세서
관리자 | 2025.04.14 | 조회 3815
관리자 2025.04.14 3815
1392
[알림]2024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사업보고서 발간
관리자 | 2025.04.07 | 조회 6633
관리자 2025.04.07 6633
1391
[알림]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성명서 - 윤석열 파면은 주권자 시민의 승리
관리자 | 2025.04.04 | 조회 7290
관리자 2025.04.04 72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