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공지

왜 평화 저널리즘인가

[함께읽기]
작성자/Author
관리자
작성일/Date
2019-04-17 10:35
조회/Views
2907
[편집자주]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의 정책연구위원으로 함께하고 있는 아일랜드 더블린 트리니티 컬리지의 김동진 박사가 한국언론진흥재단 <신문과 방송> 4월호 커버스토리로 평화저널리즘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한 글을 공유합니다. 글에서 김동진 박사는 국가 관계, 정부 역할에만 편중된 보도는 북한 주민을 우리의 시야에서 멀게 하거나 비인간화할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하며, 평화 저널리즘이 한반도의 평화를 위해 일하는 수많은 사람들과 다양한 의견에 목소리를 부여해야 한다고 언급했습니다. 



왜 평화 저널리즘인가
평화 원하는 목소리 배제한 보도, 분쟁과 폭력 야기할 위험성 높여


 

김동진 / 아일랜드 더블린대(Trinity College Dublin) IRC 마리퀴리 펠로우*



2019년 2월, 다시 만난 미국 트럼프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위원장에게 세계의 이목이 집중됐다. 제2차 북미정상회담이 개최된 베트남 하노이에 모인 전 세계 언론들은 이들의 두 번째 만남을 보도했다. 2018년 제1차 북미정상회담 및 세 번의 남북정상회담, 그리고 2019년의 제2차 북미정상회담은 한반도 평화가 분명 세계가 주목하는 뉴스임을 보여 주었다.

평화 저널리즘의 올바른 역할

제이크 린치(Jake Lynch), 요한 갈퉁(Johan Galtung) 같은 평화 저널리즘 학자들은 국제적 관심을 받는 뉴스 가운데, 폭력 보도 뉴스가 평화 보도 뉴스 비중보다 훨씬 높다는 점에 우려를 표명해 왔다. 전체 뉴스 양에서 폭력적 사건을 다루는 보도의 편중 현상은 뉴스 소비자에게 왜곡된 세계상을 전달할 소지가 있다(린치 & 갈퉁, 2016). 평화 저널리즘은 요한 갈퉁, 마리 홀름보에 루지(Mari Holmboe Ruge)가 1965년 발표한 논문, ‘해외 뉴스의 구조(The structure of foreign news)’를 그 이론적 논의의 기원으로 두고 있다. 갈퉁과 루지는 이 논문을 통해 어떤 사건이 게이트키퍼를 통과하고 어떤 유통 과정을 통해 뉴스가 되어 대중에게 도달하는지를 밝히려 했다.

일반적으로 주요 언론의 헤드라인을 장식하는 뉴스는 새롭고 놀라운 사건, 또는 뉴스 소비자에게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사건이라고 여겨진다. 그러나 내용상 별로 새로운 점이 없거나, 일반 대중의 삶에 큰 영향을 주는 사건이 아니라도 유명인의 이야기는 그 자체로 뉴스가 되는 경우가 많다. 분쟁 보도의 경우, 이는 어떤 사람인가뿐만 아니라 어떤 지역 국민에게 발생한 사건인가와도 관련이 있다. 뉴스의 가치로 볼 때, 미국인 한 명의 죽음은 아프리카인 1,000명의 죽음과 같다는 조소적 표현도 같은 맥락이다. 논문의 결론에서 갈퉁과 루지는 “유명한 사람의 사건인가, 잘 알려진 국가와 관련된 사건인가, 단기간에 발생한 사건인가, 부정적 사건인가”와 같은 네 가지 조건에 따라 뉴스의 국제적 가치가 결정된다고 보았다. 한 사건이 세계적 뉴스가 되기 위해 이들 조건 중 최대한 많은 수를 충족시켜야 하며, 몇 가지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 하더라도, 각 조건에서 최대한 높은 점수를 받는다면, 뉴스 가치가 높아진다(Galtung & Ruge, 1965).

갈퉁과 루지의 논문 이후 활성화된 평화 저널리즘 논의는 전통적 게이트키핑, 보도 방식 및 유통 과정으로 인해 언론이 평화보다는 분쟁과 폭력에 기여할 가능성이 높다고 비판한다. 토니 하컵(Tony Harcup)과 디어드레 오닐(Deirdre O’Neil)은 ‘무엇이 뉴스인가: 갈퉁과 루지에 대한 재해석’(What is news:Galtung and Ruge revisited)이라는 논문에서 갈퉁과 루지의 네 가지 조건에 엔터테인먼트라는 조건을 추가로 제시하며 이러한 비판에 참여했다(Harcup &O’Neil, 2001). 이들 평화 저널리즘 학자들은 언론이 평화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사건이 뉴스로 선택되는 조건과 보도 과정 가운데, 갈등 분석 능력과 갈등 인지력(Conflict Sensitivity)을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한다. 물론 사건을 취재하는 언론의 입장에서, 전체 뉴스의 편중을 고려해 보도 여부를 결정한다는 것은 무리한 요구라는 비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국제 관계 또는 한 국가·사회에 대한 갈등 분석은 언론이 아니라 국제 관계 또는 사회학자들의 전문성에 맡겨져야 한다는 주장, 자칫 잘못하다가는 언론의 목적성이 평화와 같은 정치적 목표를 지향하는 운동으로 변질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제이크 린치와 아나벨 맥골드릭(Annabel McGoldrick)은 이 같은 언론의 전문성과 목적성의 지적에 대해, 평화 저널리즘은 언론인이 학자나 운동가가 돼야 한다는 것은 아니라고 말한다. 평화 저널리즘은 평화를 원하는 사람들의 목소리가 들릴 기회를 제공하고, 보다 진실에 가까운 균형 잡힌 보도를 하기 위한 시도이다. 만일 분쟁 지역 대다수의 사람들이 폭력을 지지한다면, 평화 저널리즘의 역할은 사실상 제한될 수밖에 없다(Lynch &McGoldrick, 2005).

한반도 평화 이슈와 평화 저널리즘

평화 저널리즘의 시각에서, 제2차 북미정상회담에 대한 취재 열기는 평화를 주제로 한 보도이기에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다. 그러나 좀 더 자세히 들여다보면, 트럼프, 김정은의 두 번째 만남에 대한 국제 언론의 관심은 평화 저널리즘 현상보다는 갈퉁과 루지 등이 말하는 뉴스의 취사선택 및 보도 과정을 따르는듯 보인다. 갈퉁과 루지의 ‘부정적 사건’인가에서는 최고 점수를 얻지 못했지만, 유명국가·유명인·단기성 이벤트 그리고 하컵과 오닐이 말한 엔터테인먼트에서 높은 점수를 얻어 세계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는 가정이 가능하다. 결과론적으로 볼 때, 제2차 북미정상회담의 결렬은 부정적 사건의 조건마저 충족시키면서 더 큰 화제가 됐다. 평화 저널리즘으로 바라보면 이 같은 트럼프, 김정은에 편중된 보도는 세계 시민들에게 마치 한반도 평화가 두 정치인의 손에 달려있는 것과 같은 인상을 전달할 수 있다. 2017년만 해도 전쟁 위기 등 부정적 보도가 주를 이루다, 2018년 이후 등장하기 시작한 한반도 평화관련 보도가 모두 한·북·미 사이 정부 주도의 이벤트 보도였다는 점에서 특히 그러하다. 가정에 불과할 수 있겠지만, 만일 트럼프와 김정은이 언론과 전문가의 예측이 가능한 범위에서 점진적 과정에 대한 합의에 도달했다면 향후 이들의 만남은 뉴스로서의 가치가 덜했을 수도 있다. 이는 평화를 지속가능한 프로세스로서가 아니라 일종의 사건으로 오해하게 만들 가능성이 있다.

많은 평화학자들은 평화가 어떤 하나의 사건이 아니라, 점진적 과정이라고 강조한다. 예를 들어, 존 폴 레더라크(John Paul Lederach)와 같은 국제 평화학자는, 자신의 저서, ‘평화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Building Peace)’에서, 1990년대 냉전 이후 맺어진 수많은 평화협정이 깨진 이유가 엘리트 정치인들의 역할에만 중점을 두고 장기적 과정보다는 단기적 사건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그는 일반 국민과 다양한 시민사회 집단이 함께 참여하는 과정 없이 지속가능한 평화는 불가능하다고 주장한다(레더라크, 2012). 이러한 평화학자들의 주장을 받아들여 2000년대 이후, 유엔, OECD 등 국제기구는 지속가능한 발전목표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GDs), 뉴딜(NewDeal) 등과 같은 자신들의 사업 목표에 지역주민 역량강화와 지속가능한 평화구축 활동을 적극적으로 포함시키고 있다. 최근 평화 저널리즘 학자들은 이러한 국제사회 흐름에 발맞춰, 어떻게 하면 언론이 자신들의 전문성을 유지하면서, 전쟁이 아니라 평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인가를 연구해 왔다. 린치와 갈퉁은 자신들의 연구 결과를 다음과 같은 표로 제시한다.

균형 잡힌 보도로 진정한 평화에 기여해야

레더라크의 주장과 같이, 평화는 트럼프와 김정은의 만남처럼 주목을 끌만한 엘리트 정치인의 단기적 사건이 아니다. 사회 다양한 일반인들이 함께 참여하는 장기적이며 점진적으로 반복되는 과정이다.



위 평화저널리즘 표에 따르면, 북미정상회담에 대한 보도만큼이나, 한반도에 살고 있는 일반인들과 이들의 평화를 향한 노력에 보도의 균형이 맞춰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개별 언론인의 노력뿐만 아니라, 갈등의 맥락에 대한 이해, 진실 추구, 사람에 대한 관심과 인간화, 그리고 평화 지향적 보도가 가능한 문화와 환경이 마련되어야 한다.

일례로, 최근 유엔은 ‘2019년 북한의 인도지원 필요와 우선순위 보고서(2019 DPR Korea Needs and Priorities)’에서 북한 총인구 2,500만 명 중 1,000만 명이 넘는 인구가 인도적 지원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2018년 식량 생산도 지난 10년 동안 최저치인 495만 톤에 불과했다고 보고했다. 거의 30여 년 동안 이어져온 북한의 인도적 상황이 제2차 북미정상회담과 달리 큰 주목을 받지 못하는 이유는 갈퉁과 루지의 관점으로 설명된다. 문제는 2018년 남북관계의 개선과 북미대화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북한 일반 주민의 삶은 더욱 열악한 상황이라는 역설에 있다. 북한정권의 핵, 미사일 개발, 한반도 평화를 위한 한·북·미 정상의 역할, 중국· 일본 등 주변국 외교 관계에 대한 언론 보도는 분명 중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국가 관계, 정부 역할에만 편중된 보도는 북한 주민을 우리의 시야에서 멀게 하거나, 비인간화할 가능성이 높다. 북한의 인도적 상황이 좀처럼 개선되지 않는 것은 분명 북한 정권에 일차적 책임이 있다. 그러나 대북지원 단체들은 과연 국제사회와 한국 정부가 북한 정권 엘리트에 대한 제재를 보다 효과적으로 강화하면서도, 북한 주민의 인도적 상황을 개선하는 인도적 지원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이 있는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정은혜, 2018). 2019년 유엔 대북제재위원회 전문가 패널 보고서(Final Report the Panel of Experts submitted pursuant to resolution 2407)도 안전보장위원회에 대북제재와 인도적 상황의 관계에 대한 조사 필요성을 권고했지만, 북한 및 관련국 정부 및 기업의 제재위반 사항에 대한 보고내용만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이는 북한 주민의 인권 문제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그간 다양한 유엔기구를 비롯해서, 지속적으로 북한 주민의 인도적 상황 개선, 인권 개선, 그리고 남북 주민 간 평화적 관계 구축을 위해 노력해온 많은 국제기구 및 국내 민간단체들이 있다. 물론 분쟁 지역의 특성상, 정부 차원의 평화협상 과정에서처럼 이들 활동에도 찬반 여론이 존재한다. 그렇지만 이들 활동에 대한 균형 잡힌 보도는 한반도 평화가 단순히 한·북·미 정상 및 주변 강대국 관계에서 이뤄진다는 편견을 넘어, 지속가능한 평화를 위한 한국 시민사회의 역할을 환기시킨다. 또 나아가서는 북한 주민을 포함한 한반도 시민사회에 대한 사회적 상상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 한반도를 비롯한 국제 분쟁 지역에는 폭력보다 평화를 원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이 많다. 그리고 이곳엔 언론의 주목을 받지 못하지만 평화를 위해 일하는 수많은 사람들과 다양한 의견이 존재한다. 평화 저널리즘은 이들에게 목소리를 부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린치와 맥골드릭의 주장과 같이, 평화 저널리즘은 평화활동가가 되는 것이 아니라, 저널리즘의 전문성을 통해 현실 왜곡을 예방하고 보다 진실에 가까운 보도를 하기 위한 시도이다. 평화 저널리즘의 관점에서 한반도 평화가 세계로부터 주목받을 날을 기다려본다.

*  마리 퀴리 펠로우: 아일랜드 연구재단(Irish Research Council) 및 유럽연합(the European Union’s Horizon 2020 research and innovation programme under the Marie Skłodowska-Curie grant agreement No 713279)의 지원을 받는 연구자

*기사 원문 링크

전체 1,311
번호/No 제목/Title 작성자/Author 작성일/Date 조회/Views
공지사항
[알림]북민협 결의문 "한반도 평화와 통일의 근간인 남북 교류협력은 지속되어야 합니다"
관리자 | 2024.02.27 | 조회 4012
관리자 2024.02.27 4012
공지사항
[스토리]'2024년 북한 신년 메시지 분석과 정세 전망' 토론회를 마치고
관리자 | 2024.01.03 | 조회 12371
관리자 2024.01.03 12371
공지사항
[알림]네이버 계정에 잠자고 있는 '콩'을 우리민족에 기부해주세요! 😀
관리자 | 2022.04.01 | 조회 24421
관리자 2022.04.01 24421
1188
[인터뷰]공동대표에게 길을 묻다 카드뉴스 15) 최완규 공동대표
관리자 | 2022.11.07 | 조회 1753
관리자 2022.11.07 1753
1187
[알림]영국 외무부 소속 북한데스크 담당관과 미팅을 진행했습니다.
관리자 | 2022.11.07 | 조회 1595
관리자 2022.11.07 1595
1186
[인터뷰]공동대표에게 길을 묻다 카드뉴스 14) 박준영 공동대표
관리자 | 2022.11.07 | 조회 1728
관리자 2022.11.07 1728
1185
[인터뷰]공동대표에게 길을 묻다 카드뉴스 13) 이수구 공동대표
관리자 | 2022.11.07 | 조회 1888
관리자 2022.11.07 1888
1184
[인터뷰]공동대표에게 길을 묻다 카드뉴스 12) 유완영 공동대표
관리자 | 2022.11.07 | 조회 2260
관리자 2022.11.07 2260
1183
[인터뷰]공동대표에게 길을 묻다 카드뉴스 11) 신경림 공동대표
관리자 | 2022.11.07 | 조회 2640
관리자 2022.11.07 2640
1182
[스토리]<공동대표에게 길을 묻다> 모음집
관리자 | 2022.11.07 | 조회 4102
관리자 2022.11.07 4102
1181
[스토리]‘격강천리’라지만, 희망은 커졌습니다 (개성탐구학교 2기 졸업기념 답사기행)
관리자 | 2022.11.02 | 조회 3687
관리자 2022.11.02 3687
1180
[스토리]2022년 하반기, 숭곡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과 함께한 평화축구!
관리자 | 2022.11.01 | 조회 4318
관리자 2022.11.01 4318
1179
[함께읽기]'우리는 친구가 될 수 있었을까요?' - 개성의 또래에게 보내는 편지
관리자 | 2022.11.01 | 조회 2783
관리자 2022.11.01 2783
1178
[스토리]제76회 평화나눔 정책포럼 개최 - '역사는 확신을 가지고 보되, 장기적인 안목으로 보는 게 옳다'
관리자 | 2022.10.19 | 조회 2262
관리자 2022.10.19 2262
1177
[함께읽기]평화를 위한 두가지 역할과 하나의 빛 - 차소민 인턴의 영화 <크로싱즈> 상영회 참석 후기!
관리자 | 2022.10.07 | 조회 2425
관리자 2022.10.07 2425
1176
[알림][모집] 북미 관계 정상화 : 회고와 전망 - 제76회 평화나눔 정책포럼
관리자 | 2022.10.06 | 조회 4847
관리자 2022.10.06 4847
1175
[인터뷰](공동대표에게 길을 묻다 17) 윤여두 대표, "먹고 사는 일은 이데올로기와 관계 없어… 한반도 차원의 농업•식량 문제 같이 고민해야"
관리자 | 2022.10.06 | 조회 2732
관리자 2022.10.06 2732
1174
[알림]2022년 하반기, 유현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과의 평화축구 프로그램 마무리!
관리자 | 2022.10.06 | 조회 2481
관리자 2022.10.06 2481
1173
[연대]국제 파트너들과 함께 대북협력 재개, 한반도 평화의 길을 모색합니다
관리자 | 2022.10.04 | 조회 2773
관리자 2022.10.04 2773
1172
[캠페인]우리민족 활동가 양두리 입니다 🙂
관리자 | 2022.09.26 | 조회 6694
관리자 2022.09.26 6694
1171
[캠페인]우리민족 후원 방법 알아보기!
관리자 | 2022.09.22 | 조회 7135
관리자 2022.09.22 7135
1170
[알림]한반도 평화 실현을 위해 노력하는 우리민족을 소개하는 영문 카드뉴스 제작
관리자 | 2022.09.22 | 조회 4082
관리자 2022.09.22 4082
1169
[인터뷰](공동대표에게 길을 묻다 16) 김현숙 대표, "시민에게 다가가는 다양한 접근방법 시도해야"
관리자 | 2022.09.22 | 조회 3713
관리자 2022.09.22 3713